||<-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권규섭}}}'''[br]'''權奎燮[* 안동권씨대동세보 21권 439쪽에는 權'''{{{+1 圭}}}'''燮으로 등재되어 있다.]'''}}}}}} || || '''자''' ||인숙(仁淑) || || '''본관''' ||[[안동 권씨]][* 복야공파 중륜(中倫)계 35세 오(五) 항렬. 본인은 항렬자를 쓰지 않았으나, 남동생 권오성(權五星, 1887 ~ 1963. 3. 7)·권오곤(權五坤, 1898 ~ 1960. 5. 8)은 항렬자를 사용했다.] || ||<|2> '''출생''' ||[[1883년]] [[7월 15일]] || ||[[경상도]] 신녕현 대량면 하신기[br](현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대기리 하신기마을)[* 인근의 가상리와 함께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07년]] [[9월 1일]][* 양력 10월 7일.[[http://yeongcheon.grandculture.net/yeongcheon/toc/GC05101403|#]] 안동권씨대동세보 21권 439쪽에는 1966년 음력 8월 30일로 오기되어 있다.] || ||[[경상북도]] [[청하면(포항)|청하군]] 죽남면 입암리[br](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죽장면]] 입암리)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39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권규섭은 1883년 7월 15일 경상도 신녕현 대량면 하신기(현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대기리 하신기마을)에서 아버지 권영식(權英植, 1858 ~ 1929. 10. 11)과 어머니 [[경주 최씨]](1862 ~ ?. 12. 6)[* 최해한(崔海翰)의 딸이다.]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06년 3월 경북 영천군, 신녕군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동했고 정용기가 이끄는 산남의진(山南義陣)에 참가했다. 정용기가 경주진위대에게 체포된 후 귀가했다가 1907년 4월 정용기가 다시 의병을 일으키자 가담하여 좌영장(左營將)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907년 9월 1일 영일군 죽장면 입암리에서 벌어진 입암 전투에서 정용기, [[이한구(1870년 9월)|이한구]], 손영각 등과 더불어 전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권규섭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당초 영천시 화산면 대기1리에 안장되어 있던 유해를 2010년 5월 11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안동 권씨 복야공파]][[분류:영천시 출신 인물]][[분류:1883년 출생]][[분류:190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