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퓨전 소환]][[분류:푸른 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퓨전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青眼の究極竜(SD0A).jpg|width=100%]] || [[파일:青眼の究極竜(ORR).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한글판명칭=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미발매), 일어판명칭=青眼の究極竜(ブルーアイズ・アルティメッ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ue-Eyes Ultimate Dragon (미발매), 속성=빛, 레벨=12, 공격력=4500, 수비력=3800, 종족=드래곤족, 소재="푸른 눈의 백룡" + "푸른 눈의 백룡" +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카드이자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궁극의 푸른 눈 전설]]의 커버 카드. 퓨전 소재인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이 [[레전드 카드]]로 지정된 러시 듀얼 특성상, 기재된 소재로 온전히 정규 퓨전 소환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발매 전에는 [[해피레이디즈]]의 전례가 있었으므로 "[[맥시멈 소환|맥시멈 몬스터]]로 리메이크되는 거 아니냐"라는 추측도 있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같이 데뷔한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을 비롯한 푸른 눈의 백룡으로 취급되는 몬스터들을 같이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전제된다. 하지만 그런 대체 소재들을 감안해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카드가 많고[* 일단 상급인 백룡 3마리를 꺼내는 거 자체가 다른 효과 없이는 불가능하다.] 처음 공개된 서포트 카드들이 묘지에서 푸른 눈의 백룡으로 취급되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과 궁합이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전용 융합인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궁극의 푸른 눈 전설|궁극의 푸른 눈 전설]]과 [[미러링 와이반]], [[융합(유희왕 러시 듀얼)|융합]]같은 드래곤족과 퓨전 소환 서포트 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중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은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드래곤의 절대자|드래곤의 절대자]]로 유사 서치가 가능하며 효과 파괴 내성까지 주기에 이 카드를 뽑기에 가장 유용하다. [[F·G·D(유희왕 러시 듀얼)|F·G·D]]와 똑같은[* 장점은 높은 레벨과 타점, 단점은 유틸리티의 부재.] 장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F·G·D보다 소재를 덜 요구하는 대신 F·G·D와 달리 전투 내성이 전무하다. 대신 F.G.D는 받을 수 없는 궁극의 푸른 눈 전설의 효과 파괴 내성을 얻을 수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03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S01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特典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관련 카드 == === 퓨전 소재 몬스터 === ====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 ==== === 기타 관련 카드 === ====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궁극의 푸른 눈 전설|궁극의 푸른 눈 전설]] ==== ====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푸른 눈의 비전 드래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