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속공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究極融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궁극 융합, 일어판 명칭=究極融合(アルティメット・フュージョン), 영어판 명칭=Ultimate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리고\, "푸른 눈의 백룡" 또는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융합 소재로 하는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그 후\, 그 융합 소재로 한 필드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를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드디어 등장한 [[푸른 눈]] 전용 융합 카드. 궁극융합이라 쓰고 얼티미트 퓨전이라 읽는다. 백룡과 궁극룡의 이름이 표기되어 있어서 [[빙고머신 GO! GO!]]나 [[진정한 빛]]으로 서치가 가능하다. 패 / 필드 / 묘지에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되돌리고 [[푸른 눈의 백룡]] 또는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추가로 그 융합 소재로 사용한 필드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수만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대상 비지정으로 파괴할 수 있다. 덱 융합까지는 아니지만 푸른 눈의 백룡과 아백룡은 서치나 덤핑이 쉬운 편이라 융합 소재 마련은 어렵지가 않고 패와 필드에서만 소재를 사용하는 일반 [[융합(마법 카드)|융합]], 묘지까지 사용할 수 있지만 제외라는 요소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용의 거울]]을 반 강제로 써야만 했던 융합 백룡 덱에게는 상당히 좋은 지원. 덤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채용했던 [[F·G·D]]도 사용하지 않게되었다. 또한 [[용의 영묘]], [[드래곤의 독재자]], [[전설의 백석]]/[[태고의 백석]] 덤핑콤보로 이 카드나 [[빙고머신 GO! GO!]]중 하나가 패에 있다면 보스급 몬스터인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을 원턴으로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백룡을 덱으로 되돌려 [[드래곤 자각의 선율]]이나 [[태고의 백석]] 등으로 다시 우려먹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효과 몬스터 2체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를 사용해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을 최후의 보험삼아 소환할 수 있으며, 조건을 매우 많이 타긴 하지만 아나콘다로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뽑고, 아나콘다를 상대 몹에 자폭 후 진궁푸 트리플 어택 조건을 만족시켜 킬각을 잡는 것도 가능하다. 속공 마법이므로 발동 조건만 충족하면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 한정으로 융합 소재를 덱으로 되돌려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만 보면 좋은 카드로 보이지만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단점. 푸른 눈은 대부분의 효과가 패/필드/묘지에 백룡이 존재할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있는데, 이 카드는 덱으로 되돌려 버리기 때문에 발동하는 순간 쌓아둔 아드가 모조리 날아가는 셈이 된다. 되돌린 다음 우려먹을 수 있단 것도 결국 날려먹은 아드를 되찾기 위해 패를 더 소모하는 게 이득이라는 어불성설에 불과하다. 덱으로 되돌리는 게 이익인 상황은 제외되어 쓸 수 없는 카드를 재활용할 때 정도인데, 정작 제외 존은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이 카드의 큰 단점.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없으므로 턴킬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막상 그렇게 아드를 날려먹으면서 나온 백룡 융합체의 내성이나 효과가 대부분 그리 대단하지도 않다는 점이 이 카드를 더욱 초라하게 만든다. 때문에 결국 이 카드의 역할은 에이스 몬스터 융합 '''소환'''이 아닌, '''상대 메인 페이즈 비대상 파괴'''의 견제 카드로서의 비중이 더 크며, OCG 실전 푸른 눈에게 있어서 만화 원작과 달리 싱크로가 주력이며 융합 기믹은 주력이 아니라는 설계 방향을 계승한다. 따라서 실전 푸른 눈 덱에서 보통 투입 및 소환하는 몬스터는 융합 소재 제약이 백룡 외 드래곤족 1장뿐이라 백룡을 최소한으로 소모하는 [[푸른 눈의 타이란트 드래곤]] 1장만이 대부분이고, 잘 쳐줘서 이 카드로 2장 이상 파괴가 가능하고 자체 내성이 우수한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정도까지만 사용하게 된다. 기존 싱크로 백룡에서는 [[진정한 빛]]으로 서치가 가능한 견제 카드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셈. 효과 텍스트에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융합 소재로 하는 몬스터를 언급해서 [[궁극룡 기사]]의 소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직까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이 융합 소재인 것은 궁극룡 기사 하나 뿐이지만 추후 더 나오면 더욱 강해질 것이다. 일러스트는 기존 융합의 악마와 드래곤 대신, 푸른 눈의 백룡 3체가 회오리에 빨려 들어가는 형태를 띠고 그 중심에는 [[멸망의 폭렬질풍탄]]으로 보이는 구체의 모습이 보인다. 한글판은 루비 쪽이 아닌 한자 표기 쪽을 기준으로 해서 번역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배틀 오브 카오스|BATTLE OF CHAOS]] || BACH-JP05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 카드의 효과로 융합 소환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 일람 == * 레벨 8 * [[푸른 눈의 타이란트 드래곤]] * 레벨 10 * [[푸른 눈의 쌍폭렬룡]] * 레벨 12 *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 [[궁극룡 기사]] == 관련 카드 == * [[푸른 눈의 백룡]] *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분류:푸른 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푸른 눈/서포트 카드, version=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