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other1=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rd1=굴리엘모 비카리오/2023-24 시즌)] [include(틀:토트넘 홋스퍼 FC/간략)]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urs_no13(23/24).png|width=100%]]}}} || ||<-4> '''{{{#0b1c56 토트넘 홋스퍼 FC No. 13}}}''' || ||<-4> '''{{{#ffffff {{{+1 굴리엘모 비카리오}}} [br] Guglielmo Vicario}}}''' || ||<|2><-2> '''출생''' ||<-2>[[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 ||<-2>{{{-1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이탈리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우디네]] }}}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 '''신체''' ||<-2>[[키(신체)|키]] 194cm[* [[https://www.premierleague.com/players/71923/Guglielmo-Vicario/overview|프리미어리그 공식 웹사이트 프로필]]] / [[체중]] 83kg || ||<-2> '''포지션''' ||<-2>[[골키퍼]] || ||<-2> '''주발''' ||<-2>오른발[* 볼터치는 주발인 오른발로 주로 하지만 킥은 왼발로도 자주 찬다.] || ||<|2><-2> '''등번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대표팀]] || '''12''' || ||[[토트넘 홋스퍼 FC]] || '''13''' || ||<|2> '''소속''' || '''유스''' ||<-2>[[우디네세 칼초]] (2013~2014) || || '''선수''' ||<-2>[[우디네세 칼초]] (2014~2015) [br] → {{{-2 ASDC 폰타나프레다 (2014~2015 / ^^임대^^)}}} [br] [[베네치아 FC]] (2015~2019) [br] [[칼리아리 칼초]] (2019~2022) [br] → {{{-1 [[AC 페루자 칼초]] (2019~2020 / ^^임대^^)}}} [br] → '''{{{-1 [[엠폴리 FC]] (2021~2022 / ^^임대^^)}}}''' [br]''' [[엠폴리 FC]] (2022~2023)''' [br]''' [[토트넘 홋스퍼 FC]] (2023~ )''' || ||<-2> '''국가대표''' ||<-2>0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022~ )^^ || ||<-2> '''SNS''' ||<-2>[[https://www.instagram.com/guglielmovicari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4>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역대 등번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대표팀]] - 21번, '''12번'''[br][[우디네세 칼초]] - 40번[br]ASDC 폰타나프레다 - 40번, 1번[br][[베네치아 FC]] - 1번, 22번, 12번[br][[칼리아리 칼초]] - 31번[br][[AC 페루자 칼초]] - 1번[br][[엠폴리 FC]] - 13번[br][[토트넘 홋스퍼 FC]] - '''13번''' || ||<-2> '''가족''' ||아버지 마이클 비카리오[br]어머니 모니카 비카리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국적의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 클럽 경력 == [[우디네세 칼초]] 유스 출신이지만 1군에서 데뷔는 못하고 임대 및 2군 경기 출전만 하다가 2015년 여름 [[베네치아 FC]]로 이적해 총 89경기 92실점을 기록했다. 2019년 여름 [[칼리아리 칼초]]로 이적하였지만 곧바로 [[AC 페루자 칼초]]로 임대 이적했다. 2020-21 시즌의 경우 원 소속팀인 칼리아리로 복귀했지만 팀의 주전 골키퍼 [[알레시오 크라뇨]]의 존재가 매우 건재한 만큼 세컨드 골키퍼로 밀리면서 리그 4경기, 코파 이탈리아 3경기를 더해 시즌 총 7경기 출전에 그쳤다. === [[엠폴리 FC]] === 결국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이번 시즌 승격팀 엠폴리로 임대 이적했다. 2021-22 시즌 선수 본인의 폼은 매우 좋았으나 수비진의 부진이 매우 심각해 리그에서 경기당 1.8실점도 더 찍은 리그 70실점을 기록하고 말았다. 그래도 소속팀은 리그 14위를 기록해 잔류에 성공했다. '''2021/22 시즌: 39경기 72실점 7경기 무실점''' 세리에 A: 38경기 70실점 7클린시트 (%) 코파 이탈리아: 1경기 2실점 ==== 2022-23 시즌 ==== 2022-23 시즌을 앞두고 엠폴리로 완전 이적하였다. 2022-23 시즌 어마어마한 선방쇼를 보여주며 이번 시즌 리그 베스트 골키퍼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활약이 계속될 경우 2022-23 시즌 세리에 A 최우수 골키퍼에도 선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 이러한 엄청난 활약으로 겨울 이적시장에서 [[마누엘 노이어]]의 시즌아웃으로 새로운 골키퍼가 필요해진 '''[[FC 바이에른 뮌헨]]'''의 이적설이 뜨고 있었지만 [[얀 조머]] 영입으로 끝났다. 21R [[AS 로마]]와의 경기에서는 비록 2대0으로 패배하긴 했지만 무려 3연속 슈퍼세이브를 보여주며 많은 로마 팬들을 충격에 빠지게 했다.[* 디발라와 만치니의 연이은 슈팅을 쳐내더니, 에이브러햄의 헤더를 '''바닥에 쓰러진 상태에서 다리를 뻗어 발끝으로 쳐냈다.'''] 다만, 후반기 때 부상으로 인해 3~4월을 통째로 이탈하면서 전반기보다는 아쉬운 후반기를 보냈으며 결국 이 부상으로 인해 2022-23 시즌 세리에 A 최우수 골키퍼 후보 최종 3인의 명단에도 포함되지 못하였다. 리그 총 31경기 39실점 7클린시트를 기록했다. 표면 상의 스탯은 저조하지만, 지난 시즌 엠폴리는 리그에서 무려 70실점을 했으나 이번 시즌 단 39실점을 기록하면서 팀의 실점 수를 절반 가까이 줄여내는데 성공하였고 이에 힘입어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 특히, 이번 시즌 비카리오가 없었다면 엠폴리는 리그 14위는 커녕 아예 세리에 B로 강등되었을 것이라는 반응이 엠폴리 팬들을 포함한 모든 세리에 A 팬들에게서 나왔을 정도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2022/23 시즌: 32경기 41실점 7경기 무실점''' '''선방률 70%''' 세리에 A: 31경기 39실점 7클린시트 (71%) 코파 이탈리아: 1경기 2실점 (33%) ===== 이적 사가 ===== 같은 세리에 A의 [[유벤투스 FC]], [[SSC 나폴리]],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로의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이 3팀의 경우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알렉스 메렛]], [[안드레 오나나]]라는 확실한 주전 골키퍼를 보유하고 있지만 3팀 모두 주전 골키퍼들이 타 구단으로의 이적설이 나오는 등 2023-24 시즌을 앞두고 거취가 불분명한 상황이라 이들이 팀을 떠날 경우 대체자로 노리는 중이다. 특히 인테르의 경우 오나나를 매각 리스트에 올렸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3팀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비카리오의 영입을 노리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AS 로마]] 역시 [[후이 파트리시우]]의 나이로 인해 후계자를 찾는 중으로 그 후보군 중 하나로 비카리오를 낙점하였다. 하지만 얼마 후 유벤투스의 경우 아예 영입전에서 철수하고 영입 타겟을 [[마르코 카르네세키]]로 선회했다고 한다. 나폴리 역시 메렛과의 재계약 작업을 아직 진행하고 있으며 [[피에를루이지 골리니]]를 세컨드 골키퍼로 완전 영입할 가능성이 생긴 상황이다. 로마 역시 고질적인 FFP 문제가 발목을 잡으면서 방출을 우선으로 해야하는 상황이라 당분간은 영입전에서 멀어질 전망이다. 가장 가능성이 높아보였던 인테르 역시 오나나의 이적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리그 내 이적 작업은 장기전으로 이어질 것만 같은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2023년 6월 21일 갑자기 프리미어 리그의 [[토트넘 홋스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원래 토트넘은 [[브렌트포드 FC]]의 [[다비드 라야]]를 2023년 여름 이적시장 골키퍼 메인 타겟으로 노렸고 개인 협상까지 순조로웠으나 브렌트포드에서 계약이 1년 남은 라야의 이적료를 £40M를 강경히 고수해 협상이 깨지면서 비카리오로 타겟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세리에 A 구단들이 비카리오 영입전에서 사실상 멀어진 상황이라 토트넘으로의 이적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후 스카이 스포츠에 따르면 토트넘이 €20M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엠폴리와의 구두 합의를 마쳤다고 한다.[* 화폐 단위를 라야에 대한 브렌트포드의 요구금액과 같은 파운드로 환산하면 £17.2m으로, 비카리오의 이적료는 라야의 요구 금액에 절반 이하에 해당하는 금액이므로 훨씬 싸다.] 이후 한국 시각으로 6월 23일 새벽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Here We Go를 외치며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이적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 [[토트넘 홋스퍼 FC]] === 한국시간으로 6월 28일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2028년까지 계약으로 등번호는 전에 [[미셸 포름]]이 사용했던 13번이며 추정 이적료는 €20M이라고 한다. 이는 엠폴리의 클럽 레코드이다. ==== [[토트넘 홋스퍼 FC/2023-24 시즌|2023-24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굴리엘모 비카리오/2023-24 시즌)] == 국가대표 경력 == 2022-23 시즌 리그에서 리그베스트급 폼을 보여주며 주목 받기 시작했고 결국 2022년 9월 A매치 명단에 포함되었다. 장기적으로 역시 리그베스트급 폼을 보여주는 [[마르코 카르네세키]], [[이반 프로베델]]과 3순위 골키퍼를 놓고 경쟁이 유력하다. 2023년 6월 UEFA 네이션스리그와 9월 유로 2024 예선을 치르는 이탈리아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지만 아직까지 데뷔전을 가지지는 못했다. 앞서 언급된 3순위 키퍼를 다투는 둘을 제외하고도 자신보다 어리지만 이미 일찍이 대표팀에 자리잡은 '''[[잔루이지 돈나룸마]]''', [[알렉스 메렛]]의 두 명의 1,2순위 키퍼 체제가 공고하기 때문에. 따라서 대표팀 데뷔는 다음으로 미루게 되었다. 2023년 10월 소속팀 토트넘에서의 활약으로 유로 예선 명단에 발탁되었으나 2경기 모두 벤치에서 있었다. 이탈리아 팬들은 [[잔루이지 돈나룸마]]의 활약이 예전만큼 못하다며 비카리오를 1경기라도 선발출전 시켰으면 아쉬워하는 반응들도 있었다. 현 폼을 계속 유지하면서 선발자리를 노려야할 것으로 보인다. == 플레이 스타일 == 현대 축구 속 골키퍼에게 필요한 대부분의 능력치를 두루 갖춘 육각형 골키퍼로, 골키퍼의 기본 소양인 특출난 반사 신경과 운동 능력, 깔끔한 핸들링, 뛰어난 집중력에서 나오는 안정감, 준수한 빌드업 등 필요한 것들은 전부 갖추고 있다. 긴 팔다리를 이용한 역동적인 선방을 자주 구사한다. 땅볼로 깔려오는 공은 [[마누엘 노이어]]처럼 다리를 길게 뻗어서 막는 풋 세이브를 자주 시도하고, 공중으로 날아오는 공은 긴 팔로 안정적으로 쳐내는데 이는 리치가 길고 핸들링이 좋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페널티 킥]] 선방에서 강점을 드러내는 등 위기 상황에서의 선방 능력이 뛰어나다. 공에 대한 집중력이 좋기 때문인데, 수비적으로 운영하는 [[엠폴리]]에서 상대 팀이 공격을 퍼부을 때도 집중력 있게 공을 보고 선방하는 스타일이라 수비 안정감이 상당하다. 1대1 찬스에서도 강하며, 펀칭이 다소 불안정할 때가 있지만 리바운드 볼을 잘 막아낸다. 과거에는 빌드업에서 큰 지적을 받아 이를 인지하고 훈련을 통해 발밑과 킥을 연습한 결과, 비카리오의 롱 킥이 엠폴리의 빌드업의 한 축을 맡았을 정도로 빌드업에 있어서도 준수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압박을 당하는 순간에는 무모한 패스를 시도하지 않고 성공률 높은 패스로 확실하게 공을 처리한다. == 여담 == * [[프리미어 리그]] 입성 전부터 영어를 열심히 공부한 덕에 영어를 훌륭하게 구사하는 편이다. 입단 인터뷰를 모국어인 이탈리아어가 아닌 영어로 진행했을 정도. 그의 아버지인 마이클 비카리오에 의하면, [[엔지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비카리오와 통화를 하면서 그가 영어를 이미 능숙히 구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감명받았다고 한다. * 2022년 3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피해 드니프로에서 이탈리아로 넘어온 '한나'와 '밀란'이라는 모자를 집으로 맞이했다. 한나의 남편이자 밀란의 아버지는 현재 우크라이나에 남아 전선에서 맞서싸우고 있다고 한다. 비카리오는 한나와 밀란 모자를 부모님이 살고 있는 고향 [[우디네]]의 집에 살게 해주었고, 그들로 하여금 원하는 만큼 자신의 고향집에 머물 수 있도록 했다. 비카리오도 밀란을 남동생처럼 여기고 있으며, 이따금 고향집에 찾아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축구를 좋아하는 밀란을 위해 이탈리아의 축구 학교를 물색하는 등 여러 부문에서 지원해주고 있다고.[* [[파일:Vicario_hosting_Ukrainian.jpg|width=280]]] * [[토트넘 홋스퍼 FC]] 입단 후, 첫 시즌 초반부터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이며 '''빛카리오'''라는 별명이 붙었다. * 진중하고 과묵해 보이는 인상과 달리 경기 중에는 에너지가 넘치는 모습으로, 종종 역동적인 선방을 보이기도 하여 [[위고 요리스]]보다는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와 비슷한 인상을 준다. 이외에도 경기 중 표정이 매우 다양한 편. * 큰 키와 더불어 머리가 굉장히 작아 10등신에 육박하는 비율을 자랑한다. 덤으로 비카리오의 인스타그램에서 머리를 짧게 깎고 수염을 기르기 전의 사진들을 볼 수 있는데, 지금과 이미지가 매우 다를 뿐더러 꽤나 잘생겼다는 반응이 많다. * 오른발이 주발임에도 왼발을 꽤 사용하는 편이지만 [[EA FC]]에서는 약발이 무려 '''1'''이다. 거기다 신장은 실제로 194cm이지만 게임에서는 188cm로 나와 있다.[* 특히 [[FC 온라인]]에서는 골키퍼의 키가 클수록 유리하다. 게임 속 비카리오는 188cm로 골키퍼 치고는 작은 키인 데다 능력치가 높은 시즌이 없어 사용하는 유저들이 거의 없다. 애초에 토트넘 케미를 하는 사람들이 오랜 기간 토트넘의 주전 골키퍼였던 [[위고 요리스]] 대신 [[조 하트]]와 [[프레이저 포스터]]를 주로 사용하는 것도 바로 그 키 때문. 이 때문에 비카리오의 새 시즌 능력치가 좋아지고 실제 신장으로 바뀌기를 기다리는 유저들이 많다.] * 한 [[https://www.gazzetta.it/Calcio/Premier-League/26-10-2023/vicario-io-la-premier-il-tottenham-udogie-postecoglou.shtml|인터뷰]]에서 토트넘으로 이적할 수 있다는 기회를 듣자마자 [[혈서|피로 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이탈리아에서 런던까지 걸어왔을 것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실제로 2023년 여름 이적시장 당시 [[엔지 포스테코글루|포스테코글루]] 감독은 단순히 이전 팀을 떠나고 싶어하는 것보다는 정말로 토트넘에 합류하기를 열망하는 선수인지를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트넘 홋스퍼 FC)] [include(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6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우디네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우디네세 칼초/은퇴, 이적]][[분류:베네치아 FC/은퇴, 이적]][[분류:칼리아리 칼초/은퇴, 이적]][[분류:AC 페루자 칼초/은퇴, 이적]][[분류:엠폴리 FC/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현역]][[분류:골키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