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반달 국왕)] ||<-3><#40E0D0> '''{{{#FFF 반달 왕국 6대 군주}}}''' [br] {{{+2 {{{#FFF '''Gunthamund | 군타문드'''}}}}}} || ||<-3> [[파일:군타문드.jpg|width=100%]] || ||<|2><#40E0D0> '''{{{#FFF 제호}}}''' ||<#40E0D0> '''[[한국어|{{{#FFF 한국어}}}]]''' ||군타문드 || ||<#40E0D0> '''[[라틴어|{{{#FFF 라틴어}}}]]''' ||Gunthamund 또는 Gunthamundus || ||<-2><#40E0D0> '''{{{#FFF 생몰 년도}}}''' ||450년경 ~ 496년 || ||<|4><-2><#40E0D0> '''{{{#FFF 재위 기간}}}''' ||484년 12월 23일 ~ 49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반달 왕국]] 6대 군주. 정교 박해 정책을 완화하고 내치에 전념했다. == 행적 == 반달족이 북아프리카에 정착하는 걸 이끌어낸 [[가이세리크]]의 넷째 아들 겐토의 아들이다. 아버지 겐토는 용맹한 전사로서 가이세리크의 전쟁에서 활약했다. 특히 468년 [[본 곶 해전]]에서 서로마-동로마 연합 함대 궤멸에 한 몫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가이세리크보다 일찍 죽었고, 그는 가이세리크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후네리크]]가 잠재적인 왕위 경쟁자들을 숙청할 때 은거했다. 484년 후네리크가 사망했을 때, 그가 살아남은 왕실 구성원 중 나이가 가장 많았기에 왕으로 선포되었다. 그는 왕위에 오른 뒤 후네리크에 의해 추방된 정교 주교들이 교구르 돌아올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산타길레오 대성당을 정교 예배로 되돌려놓았다. 이후 경제를 회복하는 데 공을 들였고, 왕국을 잇따라 침략하는 [[베르베르]]를 상대로 수차례 원정군을 파견했다. 원정군은 베르베르인들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지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491년 [[오도아케르]]와 [[테오도리크 대왕]]이 이탈리아의 패권을 놓고 맞붙은 틈을 타 시칠리아를 공략하고자 시칠리아 섬으로 파견했으나, 곧 이탈리아의 패권을 장악한 [[동고트 왕국]]에 의해 축출되었다. 496년 사슴 사냥을 하던 중 급사했고, 동생 [[트라사문드]]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분류:반달 국왕]][[분류:아리우스파 기독교도 군주]][[분류:450년 출생]][[분류:49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