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君主 == [[군주]] 문서로. == 郡主 == [include(틀:황실/왕실)] 본래 [[중국]] 황제국에서 [[친왕]]의 딸, 즉 [[황제]]의 손녀에게 주는 칭호다. [[외명부/중국]] 참조. [[조선]]에서는 [[외명부]]의 직책으로 [[세자]]의 적녀[* [[세자빈]]이 낳은 딸.]에게만 부르는 호칭으로 사용했고 정2품이었다. 세자의 서녀([[후궁]]이 낳은 딸)는[* [[왕]]과 별도로 세자의 후궁이 따로 있었다. [[세종대왕]] 때 [[문종(조선)|세자 이향]]에게 후사가 없어 고민하다가 세자에게도 [[후궁]]을 들일 수 있게 했는데, 왕의 후궁보다는 품계가 낮았다. 이때 들인 후궁인 [[현덕왕후|승휘 권씨]]는 훗날 세자빈까지 되지만 [[단종(조선)|아들]]을 낳은 후 요절하고 만다. 나중에 왕후로 추존되기는 하나...] [[현주]](縣主)라고 하여 종2품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중국처럼 [[대군]]의 딸들에게도 군주의 호칭을 붙였다. 특기할만한 것은 왕 대접을 못 받던 [[정종(조선)|정종]]의 딸들에게도 일괄적으로 군주의 호칭을 붙였는데[* 세종은 정종을 임금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신하]]들도 이에 동의하였다. 심지어 [[하륜]]은 정종을 두고 "기생한 임금"이라고 칭하기까지 했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310014_004|실록 기사]].], 이들은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310018_003|세종 13년 10월 18일]]에 일괄적으로 군주로 봉해졌다. 참고로 이 날 함께 군주에 봉해진 한산군주는 [[진안대군]]의 장녀 경혜옹주, 무진군주는 [[익안대군]]의 장녀 선혜옹주, 재령군주는 [[양녕대군]]의 장녀이다. 재미있는 것은, 왕의 [[유모]]였던 봉보부인[* 주로 비슷한 시기에 출산을 한 현숙한 [[양반]] 여인이 맡았다. 왕들이 생모 이상으로 공경했다.]은 종 1품으로 세자의 딸들보다 품계가 높았다는 점. 다만 군주는 정2품 현주는 정3품이었으나, [[고종황제]] 때 정1품으로 승격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0507010_001]] 좋은 뜻을 가진 미칭을 작호로 주었던 [[공주]]나 [[옹주]]와 달리, 조선 초기에는 군주나 [[현주]]의 경우는 앞에 [[지역]] 이름을 붙였다. [[경혜공주]]도 아버지 [[문종(조선)|문종]]이 세자일 시절에는 평창군주였고 [[명숙공주]]는 아버지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기 전까지 태안군주로 불렸었다. 인조 때가 돼서야 군주와 현주도 미칭을 썼고 공주와 옹주로 진급되어도 군주, 현주 때 썼던 미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숙안공주]]는 아버지 효종이 세자일 시절에 숙안군주로 불렸고 공주가 되자 군주때 썼던 미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아버지인 세자가 왕위를 물려받으면 딸들 또한 [[공주]]와 [[옹주]]로 승격하게 되며, 품계는 무계가 된다. 세자가 아닌 [[대군]]의 딸은 '향주'라고 한다. 본래 대군의 적녀는 [[현주]]였으나 경국대전 반포 이후 세자의 서녀만 주는 품계로 바뀌고, 대군의 적녀와 서녀 모두 향주로 하였다. [[인평대군]]의 적장녀 향주 이금온(남편 조기수)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적차녀(남편 정중만)가 있고 [[능창대군]]이 첩에게서 얻은 유일한 친자식 얼녀 향주 이영온(남편 허서)이 있다. === 실존인물 === 왕이 되지 못한 세자의 딸만 기록한다. * 경숙군주, 경녕군주, 경순군주[* 이외에도 어릴 적 [[요절]]한 딸이 2명 더 있었다.] - [[소현세자]]와 [[민회빈 강씨]]의 딸. * [[청연공주|청연군주]], [[청선공주|청선군주]][* [[고종황제]] 대에 [[사도세자]]가 왕(장조)으로 추증되면서 [[공주]]로 추증.]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딸. == 軍主 == [[신라]] 왕조의 직위로 [[주(행정구역)]]의 [[장관]]을 "군주(軍主)"라고 했다. 현대로 치면 [[도지사]]겠지만 전쟁이 잦았던 [[삼국시대]]인 만큼 [[삼국통일]] 이전에는 행정관이라기보다는 각 주의 군대를 통솔하는 장군의 역할이 컸다. 삼국통일 이후에는 명칭을 총관(摠管), [[도독]](都督)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전쟁이 없어지면서 관직의 성격도 행정관리 역할로 변한다. 이하는 역임자이다. * [[이사부]] - [[삼척시|실직주]], 아슬라주 군주 * [[김무력]] - 신주(新州) 군주 * [[김유신]] - 압량주 군주 * [[김인문(신라)|김인문]] - 압독주 군주 == 軍酒 == 곧 입대할 사람을 격려하기 위해 차리는 술자리. 입대주라고도 한다. 보통은 입대할 사람들을 맞이해서 평범하게 먹이고 예비군 선배들이 자기 군 생활 이야기를 하면서 군 생활은 이렇게 해야 하니 등등 여러가지 충고를 주는게 목적이다. 보통은 평범하게 술을 먹이는데, 생일주와 비슷하게 온갖 술을 섞어서 먹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도 격려가 주 목적이기 때문에 [[생일주]]처럼 별별 불건전한 것은 안타는 편이다. 그런데 과거엔 멀쩡한 술을 '''군화'''나 '''부츠'''에 따르고 먹이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 ~~[[다스부츠]]?~~ 반대말은 제대주. 혹은 전역주. 이때는 곧 전역하거나 막 전역한 사람을 축하하기 위해 먹인다. 이때는 예외없이 군화도 부츠도 없고 그냥 평범하게 술을 먹이는게 암묵의 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군주, version=204)]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