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군위군 마을버스]] [include(틀:군위군 마을버스)] [목차] == 노선정보 == ||<-6> [[파일:군위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군위군 농어촌버스 군위-둔덕}}} || ||<-2> 기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군위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부계면 둔덕리(둔덕)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7:15 || || 막차 || 18:10 || 막차 || 18:55 || ||<-2> 배차간격 ||<-4> 1일 7회 || ||<-2> 운수사명 || [[군위교통]]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군위 - 효령 - 부계 - 둔덕 || ||<-2> 노선 ||<-4> 군위 - 효령 - 부계 - 가호 - 둔덕 || ||<-2> 노선 ||<-4> 군위 - 수서공단 - 효령 - 부계 - 둔덕 || ||<-2> 노선(통학) ||<-4> 군위 ← 군위중고 ← 수서공단 ← 효령 ← 부계 ← 둔덕 || == 개요 == == 역사 == * 2022년 1월 노선 조정 및 시간표 개편이 있었다. * 2023년 7월 1일부터 농어촌버스운송사업면허가 대구광역시 관할로 이전 되었다. * 2023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농어촌버스]]로 운행된다. * 2024년 1월 2일부터 [[마을버스]]로 전환되고 노선번호 4번를 부여 받았다. == 특징 == * BIS상에 표시되는 번호는 1, 2, 3번이다. * 둔덕에서 5.5km 도보시 한티재휴게소가 나오며, 거기서 동명-대구로 가는 [[칠곡 버스 38|38번]]과 연계된다. *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의 군위-둔덕간 완행버스이자 입석버스 역할을 맡는다. 다만 급행9번은 지나치게 느려 상황에 따라서는 이 버스가 오히려 더 빠른 경우가 있다.[* 안심-하양 구간에서 대구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보다 경산 [[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의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 [[경산 버스 818|818번]], [[경산 버스 818-1|818-1번]], [[영천교통]]의 [[영천 버스 55, 555|55번, 555번]]이 더 빠른 것과 비슷하다.] * [[제2석굴암]]에서 더 들어가면 나오는 둔덕리에서 회차한다. [[제2석굴암]]을 비롯한 남산리 일대는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과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번]]이 운행을 하지 않아 남산리에서는 군위로 가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이 버스를 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거기다가 대구나 칠곡이 목적지라면 더더욱. === 일평균 승차량 === == 연계 철도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