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군구)]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는 국토가 워낙 [[크고 아름다운]] 탓에 [[군구]]를 설치해둘 수 밖에 없다. [[러시아]]는 넓은 영토 때문에 [[군종]]에 [[방공군]]과 [[전략로켓군]]도 있었다.[* 현재 방공군은 [[러시아 항공우주군]] 예하 편제로 들어가 있다.] 현재 사령관은 [[상장(계급)|상장]] 혹은 [[대장(계급)|대장]]이다. == 역사 == === [[러시아 제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0px-Map_of_Military_Districts_of_Russian_Empire_1913.png]] [[러시아 제국]] 시절의 군구. 페테르부르크 군관구(파란색): [[상트페테르부르크]], 올로네츠, [[아르한겔스크]],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에스토니아]], [[리보니아]] 일부 지역 담당. 빌노 군관구(연두색): [[빌뉴스]], [[흐로드나|그로드나]], [[카우나스]], 쿠를란트, [[리보니아]], [[비쳅스크]], [[마힐료우]], [[민스크]], [[수바우키]] 담당. 바르샤바 군관구(하늘색): [[러시아령 폴란드]] 지역의 일부 담당. 키예프 군관구(살구색): [[키이우|키예프]], 포돌리아, [[볼린(동음이의어)|볼린]], [[체르니히우]], [[폴타바]], [[하르키우|하리코프]], [[쿠르스크]] 담당. 오데사 군관구(민트색): [[베사라비아]], [[헤르손]], [[예카테린부르크]], 타우리다 담당. 모스크바 군관구(빨간색): [[모스크바]], [[스몰렌스크]], 트베르, [[야로슬라블]], [[코스트로마]], [[볼로그다]], [[블라디미르]], [[니즈니 노브고로드]], [[칼루가]], [[툴라]], [[랴잔]], [[오룔]], [[탐보프]], [[보로네시]] 담당. 카잔 군관구(황토색): [[카잔]], 뱟카, [[페름]], [[우파(러시아)|우파]], [[울리야놉스크]], [[사마라(러시아)|사마라]], [[펜자]], [[사라토프]], [[아스트라한]] 담당. 캅카스 군관구(분홍색): [[스타브로폴]], 남캅카스 담당. 투르키스탄 군관구(갈색): 시르다리야, [[사마르칸트]], [[페르가나]] 담당. 옴스크 군관구(자주색): [[토볼스크]], [[톰스크]], [[아크몰린스크]], [[세미팔라틴스크]], 제티수 담당. 이르쿠츠크 군관구(초록색): [[이르쿠츠크]], 예니세이스크, [[야쿠츠크]] 담당. 아무르 군관구(보라색): [[아무르주]], [[자바이칼 지방]], [[사할린]] 담당. 돈스코이 군관구(남색): [[로스토프]], [[볼고그라드]] 담당. === [[소련]] === [[파일:Soviet_Military_Districts.svg.png|width=90%]] [[소련군]]은 처음엔 6곳의 군관구만을 두었으나,[* 야로슬라블 군관구, 모스크바 군관구, 오룔 군관구, 백해 군관구, 우랄군관구, 볼가 군관구.] [[2차대전]] 이후로는 위 사진처럼 대폭 확장했다. 대개 대전 중에 편제된 전선군이 그대로 군관구가 된 케이스이다. 발트 군관구(자주색): [[발트해]] 전선 지원, 서부 최전선 담당. 본부는 [[리가]]. 벨로루시 군관구(연주황색)[*A 유사시 서유럽 침공이 가능했던 군관구.]: 서부 전선 방공 및 공중 지원 담당. 본부는 [[민스크]]. 카르파티아 군관구(청록색)[*A]: [[우크라이나]] 지역 최전선 담당. 본부는 [[르비우|리보프]]. 중앙아시아 군관구(갈색)[* [[소련-중국 국경분쟁]]으로 인한 신설]: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타쉬켄트]] > [[알마티]]. 극동 군관구(주황색): [[오호츠크 해]] 연안 방어, [[태평양]] 전선, 동부 최전선 담당. 본부는 [[하바롭스크]]. 키예프 군관구(검은색)[*A]: [[우크라이나]] 전선 전투 지원 담당. 본부는 [[키이우|키예프]]. 레닌그라드 군관구(파란색): [[발트해]], [[북극해]] 연안 방어, 북부 전선 전투 및 방공,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군관구(보라색)[* 보통 최전방에 신형 장비가 배치되는 것과 달리 해당 군관구에 온갖 최신 장비들이 모여있었다.]: 주요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모스크바]]. 북캅카스 군관구(초록색): [[흑해]], [[카스피해]] 전선 지원, 남부 전선 방공 및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로스토프나도누|로스토프 온 돈]]. 오데사 군관구(연갈색)[*A]: [[흑해]] 연안 방어, 동부 전선 전투 지원 담당. 본부는 [[오데사]]. 시베리아 군관구(민트색): [[북극해]] 전선, [[시베리아]] 전선 후방 지원 담당. 본부는 [[치타(러시아)|치타]]. 자바이칼 군관구(하늘색): 공중 지원 담당. 본부는 [[치타(러시아)|치타]]. 자캅카스 군관구(연노란색): 남부 최전선 담당. 본부는 [[트빌리시]]. 투르키스탄 군관구(분홍색): 남부 전선 방공 및 전투 지원 담당. 본부는 [[타슈켄트]]. 우랄 군관구(황토색): 후방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스베르들롭스크주]]와 [[첼랴빈스크주]]. 볼가 군관구(베이지색): 후방 전투 지원 담당. 본부는 [[사마라(러시아)|사마라]]. === [[러시아]] === [[소련 해체]] 이후로는 여러 번의 개편이 있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Military_districts_of_Russia|변천사]] [[파일:Military_districts_of_Russia_2016.svg.png|width=90%]] [[2010년]] 이후 러시아는 네 곳의 군구를 유지하고 있다가 [[2014년]], 북방함대 합동전략사령부를 신설, 결국 [[2021년]]에는 북부군관구로 승격시켜 현재는 5군관구 체제가 되었다. 서부군관구(빨간색): 서부 전선 및 [[발트해]] 전선 담당. 본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남부군관구(갈색): 남부 전선 및 [[흑해]], [[카스피해]] 전선 담당. 본부는 [[로스토프나도누]]. 중앙군관구(연두색): 후방 전력 지원 담당. 본부는 [[예카테린부르크]]. 동부군관구(황토색): 동부 전선 및 [[오호츠크 해]], [[태평양]] 전선 담당. 본부는 [[하바롭스크]]. 북부군관구(파란색): 전력 지원, [[북극해]] 전선 담당. 본부는 세베로모르스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군구, version=229, paragraph=16)] [[분류:러시아군]][[분류:소련군]][[분류:러시아 제국군]][[분류:군사 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