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 ||<-3> {{{+1 {{{#ffffff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 [br] {{{#ffffff '''國債報償運動基念圖書館'''}}} [br] {{{#fffff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Memorial Library'''}}} || ||<-3>  [br][[파일:국보도서관로고.png|width=80%]][br] || ||<-2> {{{#fff '''표어'''}}} || '''시민과 함께한 100년, 새로운 도약의 100년[br]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 || ||<-2> {{{#fff '''구분'''}}} || [[대구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제외 1,2층은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라는 사단법인에서 민간 위탁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 ||<-2> {{{#fff '''관장'''}}} || 제49대 문희규 || ||<-2> {{{#fff '''개관일'''}}} || [[1919년]] [[8월 10일]] 대구부립도서관 || ||<-2> {{{#fff '''전신'''}}} ||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br] || ||<|3> {{{#fff '''자료'''}}} || {{{#fff '''도서'''}}} || 529,001권 ([[2023년]] 기준) || || {{{#fff '''비도서'''}}} || 17,159점 ([[2023년]] 기준) || || {{{#fff '''정기간행물'''}}} || 23종 ([[2023년]] 기준) || ||<-2> {{{#fff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공평로(대구)|공평로10길]] 25 ([[동인동2가]]) || ||<-3> [include(틀:지도, 장소=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 너비=100%, 높이=100%)] || ||<-2> {{{#fff '''홈페이지'''}}} || [[https://library.daegu.go.kr/gukbo/index.do|[[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tglnetlib/|[[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공평로10길 25(舊 동인동2가 42)에 위치한 [[도서관]]. 2023년 7월 이전까지의 명칭은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이었다. 약칭 국보도서관. == 상세 == 1919년에 개관했으니 100년도 넘은 나름 역사가 깊은 도서관이다. 다만 옛 [[경상북도청|경북도청]] 부지(현 [[경상감영공원]])에 있었던 최초로 지어진 건물은 진작에 헐렸고, 1975년 [[대구백화점]] 본점 신관 터의 옛 [[대구고등법원]] 자리로 옮겼다가[* 도서관 이전 후 이 건물은 대백 별관으로 활용되다 1999년 철거 후 [[대구백화점]] 본점 신관이 들어섰다.[[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102010000120|#]] ] 1986년에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의 4층 건물로 신축해 이전했었다. 그 후 시설의 노후화로 새로운 대구의 대표도서관인 [[대구도서관]]의 건설이 확정되며 중앙도서관 또한 리모델링이 확정되었고, 그로 인해 2021년 4월 1일부터 2023년 7월까지 문을 닫고 인근 진석타워즈 건물 7층 703호에서 임시자료실을 운영했었다. 그 후 재개관 관계로 6월 말부터 임시자료실 또한 문을 닫았었다. 2023년 7월 31일 재개관과 동시에 도서관 이름을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에서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으로 개명하였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부에 있으니[* 기념도서관에 전화를 걸면 이렇게 안내를 한다. 사실 도서관을 둘러싸고 공원이 생겨난 것에 가깝지만...] 시간이 있다면 국채보상운동기념관도 한 번 들러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 시설 안내 == === 지하 1층 === 각종 북토크 등의 행사를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 가온과 누구나 즐기고 휴식할 수 있는 쉼터, 보존서고로 구성되어 있다. === 지상 1,2층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관,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관 및 정신관, 나눔과 책임관, 기획 전시관, 수장고 등 전시 시설이 있다. 개관 후 지상 1층에 북카페도 추가 개관하였다. === 지상 3층 === 종합자료실(사회과학(300), 자연과학(400), 기술과학(500), 언어(700), 다문화도서 등), 유아·어린이자료실이 있다. === 지상 4층 === 인문자료실(총류(000), 철학(100), 종교(200), 예술(600), 문학(800), 역사(900), DVD 등) 등 도서 공간이 비치되어 있다. === 이용 안내 === ||
'''도서자료''' || 2주일 10권 || || '''휴관일''' || 매월 1,3주째 월요일 || || {{{#000000 '''자료실'''[br]}}} ||||<:> 평일(월~금요일) ||||<:> 주말(토,일요일) || || ||<#008837> {{{#fff '''종합자료실'''[br]}}} ||||<:> 09:00 - 20:00 ||||<:> 09:00 - 17:00 || || ||<#008837> {{{#fff '''인문자료실'''[br]}}} ||||<:> 09:00 - 22:00 ||||<:> 09:00 - 17:00 || || ||<#008837> {{{#fff '''어린이·유아자료실'''[br]}}} ||||<:> 09:00 - 18:00 ||||<:> 09:00 - 17:00 || || ||<#008837> {{{#fff '''기록전시관'''[br]}}} ||||<:> 09:00 - 18:00 ||||<:> 07:00 - 22:00 || || == 교통 == === 도시철도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2번 출구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 1번 출구 === 버스 === * 삼덕성당/삼덕교회 정류장 * [[대구 버스 234]] * [[대구 버스 240]] * [[대구 버스 309]] * [[대구, 경산 버스 939]] * [[대구 버스 동구2]]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경북대학교병원 정류장 * [[대구 버스 306]] * [[대구 버스 323, 323-1]] * [[대구 버스 403]] * [[대구 버스 805]] * CGV대구한일/2.28기념중앙공원 정류장 * [[대구 버스 급행1]] * [[대구 버스 급행3]] * [[대구 버스 급행5]] * [[대구 버스 급행6]] * [[대구 버스 156]] * [[대구 버스 425]] * [[대구 버스 518]] * [[대구 버스 524]] * [[대구 버스 650]] * [[대구 버스 724]] * [[대구 버스 909]] * [[대구 버스 980]] * [[대구 버스 가창2]][* 칠성시장 방향만 경유. 역방향은 중구청 정류장 승하차.] == 기타 == * 중앙도서관 시절 구내식당과 열람실이 존재하였으나, 재개관 이후 없어졌다.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목록]] == 둘러보기 == [include(틀:광역대표도서관)] [include(틀:대구광역시교육청 도서관)] [[분류:대구광역시의 도서관]][[분류:중구(대구)]][[분류:1919년 설립]][[분류:광역대표도서관]][[분류:대구광역시교육청]][[분류:국채보상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