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분증]][[분류:학생]][[분류:학사 행정]] [include(틀:신분증)] [[파일:ISIC 로고.svg|width=250&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문자 그대로 해외에서 통용되는 학생증이다. 원칙적으로 해외에서 공신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학생증과 달리[* 다만 공신력이 미치지 않는다 해도 학생입장할인 정도는 국내학생증도 받아주는 경우가 많다.--어차피 그거 확인하는 사람은 당연하겠지만 자기나라 대학도 다 못 외운다.--], 해외의 인증기관이 주체가 되어 발급하는 국제학생증은 인증기관의 공신력이 인정받는 모든 지역에서 신분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인증기관으로 [[http://www.isic.org/|ISIC]]([[https://www.isic.co.kr/|한국 홈페이지]])와 [[http://www.isecard.com/|ISEC]]([[http://www.isecard.co.kr/|한국 홈페이지]])가 있다. 또한 국제학생증은 기본적으로 '''유료 발급'''이다. 때문에, 인증기관 측에서 학생 복지 내지는 판촉 차원에서 이런저런 혜택을 준비해준다. 가장 큰 혜택은 아무래도 '''국제학생증 소지자 특별 항공권'''인데 사실 그렇게 싸지는 않다. 또한 [[유로스타]]나 [[암트랙]]에는 ISIC 소지자 특별 할인요금이 존재하며, 관광지나 숙소에서도 간혹 할인이 적용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탑승권이 6,900원에 할인 판매되고 있으니 참고할 것.[* ISIC외에도 몇 종류의 국제학생증 소지시 할인이 되는 듯하다.] 사실 해외에서의 신분을 증명은 '''[[여권]]을 제시하면 되나''' 학생할인을 위해 발급받는 경우도 많은 편. == 상세 == === ISIC === [[파일:external/sos.hanyang.ac.kr/img28.gif|width=300]] ISIC 구카드. 이걸 가지고 있다면 2006년 3월 31일 이전 발급분이다.[* 2006년 4월 1일자로 [[조흥은행]]은 [[신한은행]]과 통합했다.] [[파일:external/www.isic.co.kr/kisesCard.jpg|width=300]] 2009년부터 풀리기 시작한 신카드는 디자인이 좀 더 쌈박하게 바뀌었다. 2013년까지 모든 대학이 이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즉, 일부 대학은 2012년에도 옛 디자인으로 발급해줬다. [[파일:ISIC999.png|width=300]] 위의 것도 구형이고, 2022년 기준으로는 이런 식으로 나온다. 국내에서는 종로YMCA의 [[http://www.kises.co.kr|키세스여행사]]에서 발급하며, 여기에서 발급받으면 [[외환은행]] 국제현금카드 기능을 넣을 수 있다. 각 대학교 담당 부서에서 발급받으면 학교 주거래은행과 제휴한 카드 내지 기본형에 학교 로고를 새긴 카드를 발급해 준다. ([[https://www.isic.co.kr/issuing_office/#univ|학교별 발급 장소]]) || [[파일:external/www.isic.co.kr/cardYoungHana.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isic.co.kr/hanaVivaG.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isic.co.kr/shinhan.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isic.co.kr/card_ibk.png|width=200]] || [[하나은행]] 제휴인 경우 영하나 체크카드[* 윙고체크는 영하나 브랜드 출범과 함께 단종되었다.]와 [[VIVA G 하나카드|VIVA G]] Platinum [[체크카드]]로 발급하고[* 하나-외환 통합 이전에 구(舊) 하나은행에서는 하나월드플러스 ISIC로 발급되었으나 KEB하나은행 출범과 함께 발급이 중단되었다.], [[신한은행]] 제휴인 경우 [[신한카드]] [[신한카드 Love|러브체크 ISIC]]로 발급된다. 2016년 5월 31일부터 [[중소기업은행|기업은행]] 제휴 카드도 발급되고 있다. 다만, 기업은행으로 신청할 경우 타 은행 발급과 달리 수령까지 1~2주 정도 소요되므로 출국일이 급하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가장 빠르고 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은 그냥 KEB 겸용형으로 신청하는 것. 이따금 학교와 제휴하여 발급비를 면제해주는 이벤트가 있기도 하니 종종 확인해볼 것을 권한다. || [[파일:external/www.isic.co.kr/kyungnam.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isic.co.kr/keimyung.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isic.co.kr/silla.jpg|width=200]] || 대학제휴카드의 경우 위의 사진처럼 [[경남은행]] 제휴, [[대구은행]] 제휴에 [[대경교통카드]], [[부산은행]] [[마이비카드]] 탑재같은 엽기적인 카드도 있다. 발급비는 1년 17000원이고 ISIC 유효기간이 끝나면 무조건 재발급 받아야 한다. 단 [[인하대학교]]처럼 학생증이 곧 국제학생증인 학교 학생의 경우 연장스티커를 통해 연장 가능하다. 연장 스티커 발급은 신규 카드 발급보다 약간 저렴하다. [[전주대학교]]는 [[우리은행]]과 제휴를 맺었음에도 후술할 ISEC가 아닌 ISIC를 발급한다. 신입생에게 일괄적으로 우리V체크카드 Uni를 발급해주나 국제학생증 혜택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1년 9000원을 지불하고 연장 스티커를 발급받아야 한다. ISIC 한국 대리점인 키세스투어는 유네스코 인증 허위 광고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2004년, 2019년 2회 경고를 받았다. 유네스코가 단순히 ISIC에 유네스코 로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휴한 것을 마치 유네스코 인증 국제학생증인 것처럼 허위 광고를 하다가 걸려 경고 처벌을 받았다. 이 허위 광고(사기) 행위는 약 20년 동안 진행되었었다. === ISEC === 이 외에 [[우리은행]]에서 발급대행하는 [[http://www.isecard.co.kr/|ISEC]]도 있다. ISEC는 1958년 미국 일리노이의 학생교류프로그램에서 시작한 국제학생증이며, 국제학생증 이외에도 국제유스증, 국제교직원증 등의 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국제교사증, 국제청소년증은 ISIC에서도 발급 가능] ISEC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로는 유럽 및 미국 주요 미술관과 박물관 입장 할인이 있으며 그 외에도 호스텔, 호텔 할인과 렌터카 이용 할인, 유레일패스 할인, 철도 할인 등이 있다. 2017년 3월 현재 발급비는 유효기간 1년이 15,000원이고 2년이 30,000원이라고 한다. ISEC에서는 2016년 처음으로 국제학생증 모바일 카드도 개발하여, 유럽에서 지갑이나 가방을 도난당하거나 분실해도 국제학생증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2017년 7월 현재, ISIC도 어플 사용이 가능하다] 모바일 카드의 경우, 가끔씩 무료 발급 이벤트도 하고 있는 것 같으니 그 때를 노려보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모든 관광지에서 확정적으로 받아주지는 않는다. 유럽권은 그래도 많이 인정해주는 편이라고.] 개인정보 해킹 위험때문에 모바일 국제학생증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대신 안심서비스라고 동일한 카드를 두개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isecard.co.kr/1_1_3.png]] ISEC 같은 경우 [[우리은행]]과 제휴를 맺고 우리은행 국제학생증 체크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2017년 3월 현재, 우리은행 국제학생증 체크카드 2년 유효기간 발급비가 14,000원이다! [[파일:external/www.isecard.co.kr/1_2_1.png]] 또한, 우리은행 국제학생증 체크카드를 발급하면 [[CGV]]나 [[메가박스]], [[롯데시네마]]에서 영화 할인도 가능하고 [[에버랜드]]나 [[롯데월드 어드벤처]] 자유이용권 할인은 물론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TGI Fridays]], [[스타벅스]]에서도 할인이 가능하다. 또한 [[토익]] 응시료도 할인 된다고 하니 우리은행을 이용중이라면 우리은행 국제학생증 체크카드를 발급받는 것이 이득인듯 하다. ISIC 와 ISEC 중 어느 것을 사용 할 지는 본인 선택에 달렸다. 항간에는 ISIC가 유네스코 인증을 받은 카드이고 ISEC가 미국 사기업이 발행하는 카드이므로, 유럽여행 시 ISIC가, 미국 여행 시 ISEC가 유용하다는 말이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둘 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카드이므로 어느 국가에서는 어떤 카드가 혜택 범위가 더 넓다고 말하기 어렵다. 가장 큰 차이점은 체크카드 겸용형 기준으로 신청자의 주거래 은행이 어디냐일 듯 하다. == 여담 == 국제학생증도 효력기간이 있다. 따로 지정하지 않았으면 발급한 달부터 1년 후까지[* 예를 들어 2016년 6월에 발급했으면 2017년 6월까지 효력을 가진다.] 효력기간(valid for)이며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2년으로 기본 효력기간을 늘릴 수 있다. 그런데 간혹 효력기간을 꼼꼼이 보는 곳에서는 효력기간이 지난 국제학생증 소지자를 학생으로 인정 안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출국 전 학생증의 효력기간을 꼭 확인하고 갱신하길. 전공이 건축, 예술 계열 학과일 경우 국제학생증에 학과를 기입할 수 있는데 주로 유럽권에서 건축,예술 계열 전공자에게 박물관,미술관 등의 무료입장 혜택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사실 국내에서 발급받은 학생증의 경우에도 학교이름과 사진, Student ID라는 표시만 적혀있으면 해외에서 학생 신분을 증명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위에 국내 발행 학생증이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는다고 했는데, 틀린 말은 아니지만 사실 학생증이라는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신분증도 아니고 위에 언급된 ISIC나 ISEC 모두 공인된 신분증이 아닌 사기업이 발행하는 회원카드일 뿐이다. 2020년 현재 단종된 [[신한카드 Love|신한 러브체크]]를 발급받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법 중 하나다. 다만 비싼 발급비가 문제. 그리고 금융계열 카드와 일체형인 국제학생증 발급시, 재학중인 대학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국적이 한국인데 외국 대학에 재학중이라면, 한국에 일시귀국했을 때 한국의 금융기관에서 재학중인 외국 대학의 학생증[* 재학증명서(영문)는 기관마다 다르니 주의할 것. 그래도 있으면 좋다.]을 제시하면 외국 대학이름으로 된 국제학생증 발급이 가능하다. 또한, ISIC의 경우 해외에서 발급받은 ISIC도 키세스여행사를 통해 비금융형에 한해 발급이 가능하다. 발급비용은 3500원이며, 무료로 방문수령하거나 일반등기 3000원 또는 빠른등기 4000원의 옵션이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 신청은 방문신청하거나 카카오톡 또는 전화로 연락해서 신청해야 하며, 온라인 신청은 불가하다. == 관련 문서 == * [[신분증]] * [[학생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