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clude(틀:국민대학교)] ---- ||<-2> {{{#ffffff '''{{{+1 학교법인 국민학원}}}'''}}}[br]{{{#ffffff 學校法人 國民學園}}}[br]{{{#ffce44 '''KOOKMIN UNIVERSITY FOUNDATION'''}}} || || {{{#ffffff '''국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한민국|{{{#004f9f,#60aeff 대한민국}}}]] || || {{{#ffffff '''분류'''}}} || {{{#004f9f,#60aeff 사립학교법인 (교육재단)}}} || || {{{#ffffff '''설립일자'''}}} || [[1946년|{{{#004f9f,#60aeff 1964년}}}]] || || {{{#ffffff '''설립자'''}}} || [[김성곤|{{{#004f9f,#60aeff 김성곤}}}]] || || {{{#ffffff '''이사장'''}}} || {{{#004f9f,#60aeff 23대 김지용}}} || || {{{#fff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004f9f,#60aeff 서울특별시}}}]] [[성북구|{{{#004f9f,#60aeff 성북구}}}]] [[정릉로|{{{#004f9f,#60aeff 정릉로}}}]] {{{#004f9f,#60aeff 77 }}} || [목차] == 개요 == ||
[[파일:학교법인 국민학원.png|width=100%]]|| || {{{#ffffff 학교법인 국민학원 현판}}} || 학교법인 국민학원은 [[대한민국]]의 [[학교법인]]이다. == 고등교육기관 == >'''제1조 (목적)''' 이 법인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 '''[[교육기본법]] 제2조(교육이념)'''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人類共榮)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에 의거하여 고등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명칭)''' 이 법인은 학교법인 국민학원(이하 “법인”이라 한다)이라 한다. >'''제3조 (설치학교)''' 이 법인은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민대학교]](이하 “학교”라 한다)를 설치·경영한다. >---- >[[https://reg.kookmin.ac.kr/site/foundation/articles_of_association.htm| {{{#000000,#e5e5e5 학교법인 국민학원 정관}}} ]] 제1장 총칙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대학교)] == 역대 이사장 == [include(틀:역대 학교법인 국민학원 이사장)] == 임원진 == ||<-5>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width=30]] {{{+1 '''{{{#fff 학교법인 국민학원 이사진}}}'''}}} || || 직 위 || 성 명 || 생 년 || 주요경력 || 임 기 || || 이사장 || 김지용[* [[김석원(기업인)|김석원]] 전 쌍용그룹 회장의 아들, [[김성곤]] 쌍용그룹 창업주의 손자] || 1973년 || 태아산업주식회사[* 과거 [[쌍용그룹]]이 소유했던 고속도로 휴게소 사업회사. 지금은 쌍용그룹 3세인 김지용 이사장, 김지태, 김지명 3형제 소유이며 중부고속도로 음성휴게소(양방향)와 영동고속도로 여주휴게소(강릉방향)을 운영한다.] 부사장, 학교법인 구암학원[*A 대구 현풍중, 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과거 쌍용그룹 산하의 학교법인] 이사장 || 2021.10.22 ~ 2025.10.21 || || 이 사 || 김경석 || 1977년 ||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 2019.08.27 - 2023.08.26 || || 이 사 || 임홍재 || 1956년 || 국민대학교 12대 총장 || 2019.09.01 - 2023.08.31 || || 이 사 || 박지은 || 1977년 || 대구과학대학교 총장 || 2019.10.17 - 2023.10.16 || || 이 사 || 김석준[* [[김성곤]] 쌍용그룹 창업주의 둘째 아들] || 1953년 || 쌍용건설 회장 || 2021.01.23 ~ 2025.01.22 || || 이 사 || 백정수 || 1968년 || OBS문화재단 이사장 || 2021.01.23 ~ 2025.01.22 || || 이 사 || [[예종석]] || 1953년 || 前 [[한양대학교]] 교수 || 2021.01.23 ~ 2025.01.22 || || 이 사 || 김상섭 || 1950년 || 前 [[국민대학교]] 교수 || 2021.01.23 ~ 2025.01.22 || || 이 사 || 박해진[* 2017년부터 국민대 총동문회 회장 재임 중] || 1957년 || 우상건설㈜ 대표이사 || 2021.01.23 ~ 2025.01.22 || || 이 사 || 최용혁[* [[최원석(기업인)|최원석]] 前 [[동아그룹]] 회장의 3남] || 1978년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총장 || 2021.04.02 ~ 2025.04.01 || || 이 사 || 허용수 || 1968년 || [[GS|GS에너지]] 대표이사 || 2021.10.22 ~ 2025.10.21 || || 이 사 || 이승희 || 1965년 || [[서울대학교]] 교수 || 2022.08.24 ~ 2026.08.23 || || 감 사 || 정성숙 || 1972년 || 용인대학교 교수 || 2021.10.22 ~ 2023.10.21 || || 감 사 || 정세연 || 1967년 || 삼일회계법인 부대표, 공인회계사 || 2023.02.11 ~ 2025.02.10 || == 수입사업 == [[쌍용그룹]]으로부터 레미콘, 콘크리트 사업 일부를 이전받아 '국민레미콘 주식회사', '국민콘크리트 주식회사'를 운영하였으나 1998-1999년 쌍용그룹으로 도로 이전하였다. 1956년부터 강원도 영월군·정선군 등지의 석탄광 1,638 [[헥타르]]를 소유한 적도 있으나 수익성이 없어 장부상으로만 보유하고 있다가 1995년 처분하였다. 그 외에 쌍용으로부터 기증받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강남 소재지의 국민제1,2빌딩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도심 외곽에 떨어진 숲이나 들판이다. === 대치동 부동산 임대 사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대학교/교외 시설, 문단=2.4)] 강남구 대치동 소재의 국민제1빌딩, 국민제2빌딩을 소유하고 있다. === 매점 운영 사업 === 국민대학교 교내 매점들은 [[대학생활협동조합|생활협동조합]]이 운영하나, 국민대학교 예술관 건물의 매점만은 학교법인이 직접 운영한다. === 미술품 매입 및 임대 사업 === 단원 [[김홍도]]의 <경직도>를 매입하여 임대 수익을 내고 있다. == 수익재산 평가 == 2019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83%이다. (전국 평균 69.3%^^(2019년)^^) 2019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에 따르면 운용수입중 등록금 비율이 64.9%이다. (전국 평균 63.2%^^(2015년)^^) == 특징 == [[쌍용그룹]]과 관련된 인사가 이사진에 많이 있다. 역대 이사장들은 쌍용그룹에서 고위 임직원을 역임한 인물 위주로 선출되었다. 현 이사장은 쌍용 3세인 김지용이다. 재계에서는 사실상 쌍용그룹의 정신적 후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 관련 문서 == * [[국민대학교]] * [[쌍용그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국민대학교, version=1240, paragraph=2)] [[분류:국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