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2> [[파일:백일문.svg|width=35]][br]{{{+2 {{{#fff '''국민정부 군사위원회'''}}}}}}[br]{{{#fff '''國民政府軍事委員會'''[br]'''Military Affairs Commiss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 ||<-2> [[파일:중화민국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주석 깃발.svg|width=70%]] || || '''국가''' ||[[중화민국 국민정부]][* 위의 깃발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의 기이다.] || || '''설립일''' ||[[1925년]] [[7월 1일]][br][[1932년]] [[3월 5일]](재설치) || || '''폐지일''' ||[[1946년]] [[5월 1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蔣介石.jpg|width=100%]]}}}|| || '''가장 널리 알려진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장제스|{{{#fff 장제스}}}]]'''[* 통칭 '''총사령관''', 영어로는 '''Generalissimo Chiang'''으로 통한다.] || [[중국국민당]]의 [[당군]]인 [[국민혁명군]]의 최고 통수 기관. 당시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국군을 두지 않고 당군이 국군 역할을 대신했다. 장제스가 변변한 직위 없이도 당시 [[중화민국 국민정부|중화민국]]의 [[최고지도자]]로 올라설 수 있었던 이유는 '''전부 이 기관의 수장 자리 덕분이었다.''' == 상세 == 1925년 7월 1일 [[중화민국 국민정부#s-4.1|광저우 국민정부]]가 수립되면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도 출범하였다. 군사위원회 주석은 명목상 국민정부 주석이 임명할 수 있었지만, [[국민혁명|북벌]]이 진행되며 군사가 정치와 혁명을 압도하게 됨에 따라 군사위원회는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고 그 군사위원회의 수장 [[장제스]]는 군권을 바탕으로 [[행정원]], [[입법원]], [[사법원]]을 전부 접수하여 [[최고지도자|국가원수 및 정부수반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군사위원회는 이름상 위원합의제였으나 실제로는 위원장 혼자 국정을 총괄하고 그 밖의 위원들은 위원장이 권력을 잘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밖에 할 수 없었다. 이후 [[중일전쟁]]을 거치며 군사위원회의 위상과 중요성은 더더욱 증가했지만 [[국공내전]] 전야 국민정부가 훈정을 끝내고 헌정을 실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국민정부 폐지 직전 군사위원회는 폐지되었다. 이후 군사위원회의 기능은 [[대만 국방부]]가 넘겨받게 된다. == 역대 군사위원회 위원장 == * '''군사위원회 주석''' * 초대 [[왕징웨이]](1925년 7월 1일 ~ 1926년 4월 9일, 총 282일) :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 * 제2대 [[장제스]](1926년 4월 16일 ~ 1927년 3월 10일, 총 328일) : 이후 상임위원제로 대체. * 제3대 [[후한민]](1927년 9월 20일 ~ 1928년 1월 4일, 총 106일) * 제4대 [[장제스]](1928년 2월 7일 ~ 1928년 11월 7일, 총 274알) : 이후 군사위원회 주석직 폐지. * '''군사위원회 위원장''' * 초대 [[장제스]](1932년 3월 6일 ~ 1946년 5월 15일, '''총 14년 70일''') : 이후 헌정 실시, 군사위원회 폐지. == 참고문헌 == * [[https://zh.wikipedia.org/wiki/%E5%9C%8B%E6%B0%91%E6%94%BF%E5%BA%9C%E8%BB%8D%E4%BA%8B%E5%A7%94%E5%93%A1%E6%9C%83|위키피디아 중국어판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문서.]] * [[https://en.wikipedia.org/wiki/Military_Affairs_Commission|위키피디아 영어판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문서.]] == 관련 둘러보기 == [include(틀:장제스)] [include(틀:왕징웨이)] [각주] [[분류:중화민국의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