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특정 이해당사자[* 주로 노동계급만을 필두로 하는 정당이나 반대로 기업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정당, 과거 [[독일 국가인민당]]처럼 귀족 이익을 지지하는 정당은 국민정당이 아니라 계급정당이다.]가 이닌 모든 국민을 대표하는 정당을 의미한다. 이념적으로 [[사회자유주의]]나 [[기독교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당들이 주를 이룬다. 간혹 [[민족주의]] 정당도 국민정당을 자칭하기도 한다.[*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가 대표적인데 여기서 국민정당은 영어로 People's Party이며 독일어로 Volkspartei로 번역된다.] == 국민정당이 아닌 경우 == 국민정당은 보통 계급정당(ex. [[부르주아 정당]]과 [[프롤레타리아 정당]])과 대비되는 의미이다. 물론 국민정당이 아닌 정당의 사례가 항상 계급정당만 있는 것은 아니고, 가령 북유럽 중앙당 같이 [[농민]] 위주로 대변하는 [[농본주의]] 정당들도 국민정당과는 거리가 멀다. 네덜란드의 [[덴크]]같이 [[정체성 정치]]를 대놓고 지지하는 정당들도 국민정당이라고 보기 어렵다. == 명칭 == 독일어 Volkspartei에서 가져온 용어이며, Volk는 [[국민]], [[민족]], [[인민]]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Volkspartei란 민족정당을 의미할 수 있다. == 사례 == 좌익 진영 내부에서 국민정당과 계급정당을 나뉘기도 한다. 독일로 치면 현 [[독일 사회민주당]][*국민정당]과 [[좌파당(독일)|좌파당]][*계급정당], 일본에선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국민정당]과 [[신사회당]][*계급정당], 한국에선 [[정의당]][*국민정당]과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계급정당]의 사례가 있다. === 독일 === 독일의 경우 비록 기독교 라는 명칭이 들어가긴 하지만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은 창당 초기부터 국민정당을 표방하였다. [[독일 사회민주당]]은 전통적으로 계급정당이였으나 [[고데스베르크 강령]] 이후 국민정당으로 변화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 사회민주당은 노동자 계급정당, [[독일 인민당]]은 친기업 부르주아 계급정당이였다면 [[독일 중앙당]]과 [[독일 민주당]]이 국민정당으로 분류되었다. === 독일 이외의 독일어 문화권 === 보수 성향의 [[오스트리아 인민당]], [[스위스 인민당]] 등은 대놓고 Volkspartei라는 당명을 사용중이다. === 러시아 === 현대 러시아 정치에서 이것을 칼같이 나누기는 어렵지만,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러시아 제국 시절 [[진보당(러시아)|진보당]],[[10월 17일 연합]]이 지본가들과 리버럴 귀족의 이익을 대변했다면 [[사회혁명당]]과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노동계급의 이익을 대변했다. 반면에 [[입헌민주당(러시아)|입헌민주당]]은 노동자,자본가,리버럴 귀족을 모두 아우르는 초계급적 정당, 즉 국민정당을 지향하였다. === 일본 === 일본의 경우 냉전시대에 이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계급정당인 [[일본 사회당]]에 대조되어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을 국민정당이라고 지칭하였다. 그러나 일본사회당은 [[도이 다카코]]의 마돈나 열풍,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를 거치며 말에 국민정당으로 변모하였고, 이후 [[일본 사회민주당]]은 계급주의적 의제보다는 대중주의적 의제[* 가령 뚜렷한 노동계급 정치보다 '국민의 이익'을 해치는 신자유주의 반대를 내세우는 등]를 더 중시하게 되었다. 자민당을 필두로 한 전후 일본 보수진영은 강력한 민족주의 성향을 보이지만, 부르주아 계급적 이익이니 기업,상류층 이익을 대변하기 보다는 '''초계급적인 노선'''을 걸어왔다. 최근에도 [[아베 신조]]가 자본가,기업과 친화적이면서도 그들을 압박해 최저임금을 올리는 등 노동자 국민들의 이익도 증진시킨 바 있으며, [[기시다 후미오]]가 친노동조합 성향을 보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민당의 국민정당 지향 성격은 일본에서 자민당 외의 대안이 없게 만들었다.[* 유럽에서조차 기독교 민주주의 계열 일부들을 제외하면 전통적으로 보수정당들은 '''귀족의 이익'''을 대변해왔으며, 20세기와 그 이후부터는 '''부르주아의 이익'''에 더 가까운 정책을 펴 왔다.] [[분류:정당]][[분류: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