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랑제콜]][[분류:그랑테스트의 대학]][[분류:1945년 개교]][[분류:2022년 폐교]] [[파일:국립행정학교 로고.svg|align=center&width=300]] École nationale d'administration 에콜 나시오날 다드미니스트라시옹, 약칭은 '에나(ÉNA)'[* 다만 관사와 함께 레나(L'ÉNA)라고 말해도 된다.] [[http://www.ena.fr|홈페이지]][* [[2022년]] [[1월 1일]]부로 [[폐교]]했기 때문에 홈페이지 업데이트도 중지했다.] [목차] == 개요 == [[스트라스부르]][* 예전에 본교-[[파리(프랑스)|파리]]/분교-[[스트라스부르]]였으나 [[1991년]]에 본교가 스트라스부르로 완전 이전했다. 참고로 스트라스부르는 [[유럽연합]]의 [[유럽의회]]의 소재지다.]에 위치한 [[프랑스]]의 특수[[고등교육기관]] 중 하나. 고급관료를 양성하고 [[재교육]]하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설립되었으며 [[그랑제콜]] 중에서도 정/관계로는 가장 권위있는 곳으로 통한다. 매년 80명에서 90명의 졸업생이 배출되며 프랑스의 유력 [[정치인]]들이 필수적으로 거쳐간 곳이다보니 저명한 [[정치인]] 및 [[관료]] 중 이 학교 출신이 아닌 인물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다. [[프랑스 대통령]] 중에선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자크 시라크]],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등이 이곳 출신이고, 그외 유력 정치인들로는 [[세골렌 루아얄]] 의원, [[도미니크 드빌팽]] 장관, [[리오넬 조스팽]] 전 [[프랑스 총리]] 등이 대표적이다. [[아시아]]계([[한국계 프랑스인]])로서는 최초로 장관이 된 [[플뢰르 펠르랭]]도 이 학교 출신이다. [[한국]]에서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법조계&의료계에서 가지는 위상 이상으로 '''프랑스의 정/관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이너 서클을 에나르크(énarques)라 부를 정도. 또한 국립행정학교에 입학하는 사람들은 거의 [[파리 정치대학]] 졸업생인데 파리 정치대학 → 국립행정학교 → 정치가, 관료 순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 막상 프랑스 정계의 좌우익을 대표하는 샤를 드 골과 프랑수아 미테랑은 이 학교 출신은 아니다. 샤를 드 골은 군인 출신이었으며, 프랑수아 미테랑은 파리정치대학 학사학위만 받았다.(원래 그랑제꼴에선 석사학위까지 받아야 학력이 인정된다) 이 학교 출신이 아니다라는 이유만으로 핸디캡이 있었다고 한다.] 파리 정치대학을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고급관료가 되기 위해 오는 학교다보니 학생들이 나이대가 있고, [[사회인]] 차림으로 등교한다고 한다. 80여명의 선발인원 중 15등까지 grand corps라고 부르는데, 여기 속한 사람들이 재정감사원 등 프랑스 중요 기관에 들어간다. ÉNA 출신으로 재정감사원에 들어간 사람들은 국립행정학교 [[파벌]]을 최대한 넓게 퍼뜨리기 위해 몇 년만 재정감사원에서 일하고 다른 부처로 이동하거나 [[에마뉘엘 마크롱]]처럼 자진사직하도록 하는 압박이 있다. 이 곳을 졸업하면 10년간 의무적으로 [[공무원]][* 한국의 사무관급부터 시작]으로 일해야 한다. 현 [[프랑스 대통령]]인 [[에마뉘엘 마크롱]]은 과거에 이 규정을 어기고 공무원 복무 중에 [[투자은행]]에 취업해서 6천만 원을 환수당했다.[* 하지만 투자은행에서 마크롱이 4년간 번 돈이 3백만 [[유로]](한화 약 40억 [[대한민국 원|원]])이다.] 물론 [[외국인]] 유학생들은 해당사항이 없다. == 입학 == 국립행정학교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9월에 실시되는 입학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시험은 [[주관식]] [[서술형]] 시험과 [[구술]] [[면접]] 시험이 있다. 먼저 주관식 서술형 시험은 [[헌법]]과 [[행정법]]을 포함한 [[공법]], 일반상식, 사회정책, [[재정학]], [[경제학]] 5과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서술형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구술 면접 시험을 실시한다. 구술 면접 시험은 [[국제정치학]], [[영어]], 사회정책 과목으로 이루어져있다. 여기에다 마지막으로 [[자기소개서]]에 기반한 질문을 받게 된다. 최종적인 합격자 발표는 12월에 난다. === 표준 과정 === ==== [[프랑스인]] 입시 ====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 외부 경쟁 : [[학사]] [[학위]]를 소지한 사람이 입학시험을 거쳐서 들어가는 과정. 주로 대학에서의 국립행정학교 준비반(prep'ENA)을 거쳐 들어간다. [[2002년]]에는 608명이 응시해 50명이 합격했다. 이 외부 경쟁은 대부분 [[파리 정치대학]] 출신이 합격하는데, [[2001년]]에는 60명 중 54명이 해당학교 출신이었다. * 내부 경쟁 : 4년 이상 근무한 [[공무원]]으로 내부 경쟁시험을 거친 사람. [[2002년]]에는 307명이 응시해 45명이 합격했다. * 제3 경쟁 : 8년 이상 [[노조]], [[지방의원]], [[시민단체|사회단체]] 등에서 민간경력을 쌓은 사람. [[미테랑]] 대통령 집권 이후 추가된 전형으로, 2002년에는 93명 응시해 5명이 합격했다. 시험 문제 예시 [[2016년]], 공법 (헌법, 행정법 등), 5시간 >법은 사회 변화의 도구가 될 수 있는가?[* Le droit peut-il être un instrument des mutations de l’État ?] 참고자료로 13쪽 분량의 텍스트가 제시됨. ==== [[외국인]] 입시 ==== ===== 장기 석사 ===== (Long International Cycle : CIL) 총 교육과정은 16개월 과정이다. 입학 자격은 다음과 같다. (1) [[중간관리직]] 이상의 [[공무원]]. 또는 그런 자리에 올라갈 [[간부후보생]].[* [[주한프랑스대사관]]은 '사무관급'이라고 써 놓고 있다.] (2) [[석사]] 1년 수료 이상 학력 (3) 유창한 [[프랑스어]]: 쓰기와 말하기 시험. 입학시험 교재로 [[유럽언어기준]] C1을 추천하고 있다. (4) 유창한 [[영어]] (5) 입학 시험: [[필기]] 시험은 [[행정학]], [[국제관계학]] 택 1. 대개 [[객관식]]이고 일부 문제는 [[단답형]] [[주관식]]. 합격하면 면접을 본다. * '젊은' 공무원을 뽑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과거에는 만 35세로 제한을 걸었다. [[등록금]]은 [[무료]]이다. 단, 생활비를 자부담해야 하는데 학교측에서는 [[2015년]] 기준 생활비를 월 1400유로 (월 200만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매년 40여명을 선발한다. [[한국인]]은 [[2002년]]까지 15명, [[2013년]]까지 24명 선발되었다.[* [[김동희]] [[서울대]] 명예교수가 여기 출신이다.] [[외국인]]은 2013년까지 3천명 정도 졸업했다. [[미국]], [[중국]], [[영국]], [[러시아]], [[독일]] 등 [[선진국]]이나 좀 힘 있는 나라에서 2~3명씩 들어가지, 대부분 국가에서는 한 나라에 1명 들어갈까말까 하다. 필기시험 예시 (2015) - 1시간, 5문제 >4. [[전자정부]]에 대한 [[2014년]] [[UN]] 보고서에 대한 다음 자료 표를 분석하고 논하여라. (80단어) >(문제에서 제시된 참고자료) 세계 전자정부 순위: 1위 [[대한민국]], 2위 [[호주]], 3위 [[싱가포르]], 4위 [[프랑스]], 5위 [[네덜란드]] >5. 두 주제 중 하나를 골라 논하여라. (최소 300단어) 정확한 사례와 짜임새 있는 작문을 하여라. 지원자의 국가나 거주지의 상황을 이용하여 작문의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다. >주제 1: 오늘날 세계에서 [[국경]]은 실체가 있는가? >주제 2: [[프랑스 정부]]가 시도한 국내 개혁 중 지원자의 국가에 가장 의미있고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단기 ===== 단기는 꼭 사무관급 아니라도 들어갈 수 있다. 프로그램은 1~4주 진행되며 [[프랑스어]] 또는 [[영어]]로 진행된다. [[학비]]는 보험료를 제외하고 주당 800유로 정도다. 선발대상 * 신분 :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로 최소 3년 경력 * 학력 : [[석사]]과정 1년 수료 이상 * 프랑스어(프랑스어 과정) : 매우 높은 수준의 프랑스어를 구사 == 폐교 == [[2021년]] [[3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이너서클 타파를 위해 국립행정학교 '''[[폐교]]'''를 공표했다. 이후 공식적으로 마크롱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2022년]] 폐교'''될 예정이며, 에나의 역할은 공공서비스연구소(ISP)가 승계받는다.[[https://news.v.daum.net/v/20210408191932318|#]] 그러자 시앙스포([[파리 정치대학]]) 학생들을 포함하여 "마크롱 대통령이 대안도 내놓지 않은 채 무조건 폐교만 하려한다"고 비판했다. 참고로 ÉNA 폐교는 [[2009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도 [[양극화]] 해소 등을 위해 추진했지만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프랑스의 보수성향 [[싱크탱크]] 사회과학정치경제연구소(ISSEP) 마리옹 마레샬 르펜 소장은 “우수한 [[공무원]]을 육성하지 못하면 국력이 약화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고등교육 준비반 교사협회(Aphec)의 알랭 조이외 회장 또한 “[[그랑제콜]]의 긍정적 역할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가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351710|#]] [[2022년]] [[1월 1일]]부로 국립행정학교는 그 기능을 정지했고, 모든 기능이 공공서비스연구소로 이관되었다. == 교육과정 ==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다. 프랑스인 학생은 다음과 같다. 2017.2 (1개월) : 입학해서 학업 준비과정 4개월 : 국제 과정 2개월 : 기업 과정 5개월 : 지역 과정. INET[* 지방행정학교. [[지방공무원]]을 교육하는 프랑스 그랑제콜.] 학생과 함께 수업함. 2018.2-2018.10 (9개월): 이 기간만큼은 ENA 외국인 학생과 동일함. 8월에는 스트라스부르에서 1달간 수업 진행. 2018.11-2018.12 (2개월): 부처 배치. 10년간 의무 복무. 2017년 외국인 장기과정 입학생의 예정을 들자면 2016.9.20 - 11.20 : 원서 접수 (인터넷) 11.10-11.30 : 사전 면접 (현지 프랑스 대사관) 12.14-12.20 : 자격 시험 (현지 프랑스 대사관) 2017.3-4 : 입학시험 4월 말 : 합격자 발표 2017.9 (1개월) : 입학해서 학업 준비과정 2017.12-2018.1 (4개월): 공적 프로젝트에 대한 [[인턴십]][*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국제기구]] 등을 선택 가능] 2018.2-2018.10 (9개월): 이 기간만큼은 ENA 프랑스인 학생과 동일함. 8월에는 스트라스부르에서 1달간 수업 진행. 2018.11-2018.12 (2개월):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싶은 학생은 2달간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여 제출함. * 외국인 학생의 석사 취득 ENA 외국인 학생은 3개의 석사 과정 중 하나에 등록할 수 있다. (1) 유럽 공공정책학 석사 :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과 연계 교육한다. 국가 공공정책 분석론, 유럽연합 [[정책학]][* 활동주체, 권력, 거버넌스], 행정 사회학, 국가별 공공정책[* 프랑스, 영국, 독일], [[의사소통]] 과정, 공공활동의 참여-통제-평가 등의 과목을 수강한다. (2) [[행정학]] 석사 :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파리 정치대학]]과 연계 교육한다. '행정학 개론' 과목에서는 세계의 법제도, 비교행정학, 특별행정법, 공공재무론, 공공회계학, 행정과학 등에 대해 다룬다. '행정경제' 과목에서는 공공예산 관리, 민관 협력, 산업 상업 공공영역 관리, 경제 규제 및 통제론 등에 대해 다룬다. '재무행정' 과목에서는 공공재무 거버넌스의 원리와 작동방식, 공공영역 성과의 관리에 대해 다룬다. 이후 행정학에 대한 [[논문]]을 쓰게 된다. (3) 공공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 [[소르본 대학교]]의 CELSA([[커뮤니케이션학]])과 연계 교육한다. 정치나 공적 영역에 있어서의 [[의사소통]]에 대해 배우고 논문을 쓴다. * [[스포츠]] 다음 중 1개의 스포츠를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일반 체력단련, [[승마]], [[펜싱]], [[댄스]] 및 현대 [[재즈]], 장거리 [[달리기]], 단거리 달리기, [[조정]], 남자 [[축구]], 여자 축구, 남자 [[야구]], 여자 야구, 남자 [[농구]], 여자 농구, 남자 [[배구]], 여자 배구, 남자 [[럭비]], [[골프]], [[헬스]], [[수영]], [[스쿼시]], [[테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