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디시인사이드)] [include(틀:국내야구 갤러리)] ||<-2> '''{{{+1 국내야구 갤러리}}}[br]Baseball Gallery''' || ||<-2> {{{#!wiki style="margin: 15px 15px 0" [[파일:야갤1.png|width=100%]]}}}[br][* [[노무현 갤러리]] 로고, '야벤져스' 짤 등을 만든 유저가 비공식 로고로 제작했으나, 개념글을 염탐하던 야갤 [[알바(디시인사이드)|알바]]가 갤러리 정보 탭에 해당 로고를 빛의 속도로 업로드하며 공식 로고가 되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10&no=2506033|#]]-- 이 때문에 댓글엔 온통 로고도 횡령하는 [[김유식|윾싀머튽]]이란 드립이 달렸다.] || || '''분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 '''개설''' ||[[2004년]] [[8월 25일]]|| || '''주제''' ||--[[야구]]--[* 그러나 명목상일 뿐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이미 2000년대 후반 부터 국내 10개팀 구단별 각각 갤러리가 개설되면서 야구 이야기는 그쪽으로 넘어갔다. 국내에서 야구 경기가 있을 때 야구 이야기가 나오긴 하나, 다른 이야기에 전부 묻혀버린다.], '''정치'''[* 2021년 이후 고연령층 유입이 늘어나며, 사실상 현 시점에서는 정치 갤러리에 가까워졌다. 간간이 보이던 시사 관련 글이나 아이돌 관련 글들도 사실상 소멸된 상태.] || || '''카테고리''' ||[[스포츠]] || || '''링크''' ||[[https://gall.dcinside.com/board/lists?id=baseball_new11|[[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디시인사이드]]의 갤러리 중 하나. 약칭은 ''''야갤''''. [[코갤]] 몰락 이후 오랜기간 [[디시인사이드]] 내의 주요 갤러리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었던 단일 커뮤니티 중 하나이다. 한때 디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인터넷 밈의 수도로 작용했었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한국 인터넷 트렌드나 각종 드립을 선도하는 디시인사이드의 [[수도(행정구역)|수도]]라는 상징성 때문에, 설령 소규모 갤러리만 이용하는 유저일지라도 야갤만큼은 예외로 병행하는 디시 유저들이 과거엔 매우 많았었다. [[2010년대]] 이후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코갤]]의 뒤를 이어 디시 수도 자리를 고수해와서 그런지 2022년 기준 판갈이가 12번이나 되었다.[* 즉, 현재 국내야구갤러리는 국내야구갤러리의 13번째 버전이다. 야구갤러리 시절까지 포함하면 16번째.] 따라서 이전 갤러리 표시도 연도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판갈이가 된 갤러리에 부여받는 주소인 gall.dcinside.com/(갤주소)_new(n)도 11이 되었다.[* baseball ➡️ baseball_new ➡️ baseball_new1 ➡️ baseball_new2 ➡️ ••• ➡️ baseball_new11] 즉, baseball_new11. 그러나 2020년대부터는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가 생겨 메인 종합 인기글 게시판 역할을, [[싱글벙글 지구촌 마이너 갤러리]]가 유머/잡지식 업로드 게시판의 역할을 빼앗아가게 되자 견고했던 위상이 점차 흔들리기 시작했고,[* 2021년 상반기에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서비스가 론칭되면서 서서히 기울어가고 있었으나, 쇠퇴에 쐐기를 박은 것은 정치글이 범람하기 시작한 [[2021년]] 하반기부터이다.] 2022년 들어서부턴 소위 [[정치병]]에 걸린 고령층 유저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정치망갤화가 진행되며 몰락하였다. 대부분의 개념글 조회수가 10만을 가볍게 넘기던 전성기 시절^^(2019년 ~ 2021년 상반기)^^에 비해 평균 1~2만회로 과거의 10분의 1토막 가까이 나버린 상태. 사실상 원래 야갤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대부분이 나갔고 일베나 정치유튜브에서 유입된 [[정게할배]]들만 야갤에 남은 것이다. == 설명 == {{{#!folding 혐짤 주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avenger2020.png|width=100%]]}}}|| || [[2020년]] 막바지 야갤의 주요 떡밥이나 [[밈(인터넷 용어)|밈]]을 망라해 놓은 포스터.[br]이 배너만으로 야갤의 성향을 한눈에 알 수 있다.[* 포스터에 있는 인물들은 첫 번째 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추미애]], [[문재인]]([[문크 예거]]), [[윤석열]], [[박원순]], [[고양이|핑키]], [[윤미향]], [[조주빈]], [[이근]], [[장대호]], [[김성모]], [[이명박]], [[나연]], [[국뽕#s-6|케이크좌]], [[조국(인물)|조국]], [[배리나]], [[김장훈]], [[강형욱]], [[김성근]], [[엄준식]], [[양현종]], 베폰, [[변희재]], [[국내야구 갤러리/용어#s-3|너구리]], [[윤서인]], [[리섭]], [[정준하]], [[페페 더 프로그|성공한 야붕이]], [[고양이|스밀라]], [[노무현]], [[오리]], [[잇시키 이로하#바젤|바젤좌]], [[군인|막짤갑]], [[냐아아 도키도키시테타]], [[문코리타]], [[Kei]], [[키리사키 치토게|치토게]], [[일베저장소 박카스 할머니 나체사진 유포 사건|박카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벤져스2021.png|width=100%]]}}}|| || [[2021년]] 막바지 야갤의 주요 떡밥이나 [[밈(인터넷 용어)|밈]]을 망라해 놓은 포스터.[* 잡탕 유머갤의 특성이 거의 사라지고 완전한 정치사회갤로 굳어진 모습이 드러난다.][*NFT] ||}}} 2010년대의 야갤은 자타공인 디시인사이드의 수도이자 디시 내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갤러리였다. 2011년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의 몰락으로 흩어진 기존 코갤러들이 2013년 야갤에 집결했고, 이들에 힘입어 야갤은 2015년대 후반 기타 경쟁 갤러리들을 누르고 규모 면에서 정점을 찍으며 최전성기를 달리게 된다. 특히 이는 2010년대부터 시작된 디시인사이드 내의 문화적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 2000년대 [[와갤]], [[코갤]], [[막갤]] 등으로 대변되는 폐인 문화에서, 2010년대부턴 아이돌 갤러리, 취미 갤러리, 게임 갤러리 등으로 대변되는 오타쿠 문화로 디시인사이드의 정체성이 이동했기 때문이다.[* 특히 [[마이너 갤러리]] 서비스 런칭 직후부터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잡다한 이야기를 풀어놓고, 주요 이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유게시판과 같은 갤러리는 디시인사이드 내에서 자연스레 줄어들 수 밖에 없었고, 결국 2010년대부터 [[야갤]], [[고갤]], [[주갤]]이 역할을 분담하며 서로를 견제하는 구도가 생겨났던 것이다. 이후 2015년 [[고갤]], [[주갤]]의 몰락으로 다시금 야갤의 독주 체재가 확립되었으나 2020년대에 들어서는 급격한 유입의 증가, 정치글의 범람,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의 개설,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의 성장 등으로 인해 디시인사이드는 다시 수도 공백기에 접어들게 된 상태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 기존 국내야구 갤러리의 개념글을 네가지 키워드로 요약한다면 대부분은 [[정치]], 유머글[*a 2022년 기준으로는 정치글에 밀려 거의 사라졌다.], [[걸그룹]]글[*a], [[안티페미니즘]], 그리고 일반글 대부분은 [[/중계|중계]]이다. 일단 대한민국의 [[야구]]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 중에서는 [[엠엘비파크]]와 함께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 하지만 국내'야구' 갤러리라는 '''이름이 무색하게도 야구 이야기는 거의 오가지 않으며'''[* 지금은 그냥 '''아예''' 안한다. KBO를 보려거든 각 팀 갤러리를 가거나 [[해외야구 갤러리]]를 가야 한다.], 사실상 아무 주제나 다룰 수 있는 자유게시판 내지는 인터넷 놀이터에 가깝다. 이러한 이유로 야갤은 야구 커뮤니티로 취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코갤러 이주후 중계 문화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음악 방송, 예능, 드라마, 뉴스, 저널리즘 등 그야말로 모든 것을 중계하는 갤러리가 되었고,그중 [[걸그룹]] 떡밥이 야구를 대체해 야갤의 가장 큰 떡밥이 되었다.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코갤]]의 뒤를 이은 막장 갤러리로 꼽히긴 하지만 막갤→코갤로 이어지는 직계 세습과는 그 역사가 살짝 다른데, 막장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게 아니라 코갤을 흡수하는 식으로 변화했다. 정확히 말하면 2011년을 전후로 코갤러들이 대거 야갤로 유입되면서 갤러리 성향이 바뀐 것이다. 다만 막갤, 코갤, 깊갤이 망해버린 것과 다르게 야갤은 [[야구]]라는 구심점이 있었기에 커뮤니티로서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다. 실제로 시즌 초반(3월~5월)과 [[KBO 포스트시즌]] 시기(10월)에는 야구 떡밥으로 갤러리 분위기가 뜨거워지며, 이는 야갤이 숱한 정체성 변화를 겪으면서도 커뮤니티로서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외부 유입이 급증한 대부분의 [[디시인사이드/갤러리#s-4.3|변질된 갤러리]]들은 초창기와는 성향이 판이하게 달라지다가 화제의 [[떡밥]]이 꺼지면 쇠락의 길을 걷는다. 그러나 야갤은 [[KBO 리그]]로 인해 필연적으로 6개월 주기마다 떡밥이 리셋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상당한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평소의 야갤 글을 보면 예능, 연예인 관련 글이나 일반 유머글이 대부분으로 야구 커뮤니티로서의 정체성이 약해보이지만, 시즌이 시작되면 프로야구와 관련된 드립으로 이루어진 개념글들이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 [[파일:시즌기야갤.png]]] 방향성은 다르지만 어쨌든 야구는 분명 야갤을 존속시키는 구심점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코갤이나 막갤의 전성기가 1~2년 정도였던 것에 비해 야갤은 2020년을 넘어서도 수도 갤러리로서 장기집권 중이었다. 여태까지 망했던 수도급 갤러리들의 패망 원인들을 따져 보면, 특정 고정닉들 위주의 과도한 친목, 그리고 갤러리의 주제와는 관련이 없는 잡담이 주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야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고스란히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도 갤러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건, 본 시즌이 시작되면 야구 경기 이야기가 올라오면서 평소에 친목질로 갤을 어지럽히는 고닉들과 유동닉들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야구 중계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즉, 2021년까지는 갤러리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면서 유입에 대한 배척이 없는 자유로움이 디시인사이드의 최대 갤러리로서 야갤을 지속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 쇠퇴 === ==== 배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정게.png|width=100%]]}}}|| || [[일베저장소/정치 게시판|정게]]의 재림이 되어버린 야념글의 모습. || 2020년대 들어 유튜브발 고연령층 외부 유입이 급격히 늘어나고 코로나 사태로 야구 개막이 늦어지자 점차 야구 이야기가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2021년 쯤이 되자 실북갤1위를 거의 독차지하던 2010년대와는 달리 7~9위까지 내려가기도 하는등 그 세가 예전보다는 많이 줄었다. 특히,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와 [[싱글벙글 지구촌 마이너 갤러리]]가 생긴 이후로는 분위기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또한 [[뻑가]], [[가로세로연구소]]등의 [[사이버렉카]] 유튜버들이 야념글을 인용하고 언론에서도 야갤을 간보기 시작하자 기존 방임주의였던 운영자들의 방침이 바뀌어 많은 념글 삭제와 통제로 이어졌다. 이 때 20대 사이에서 야갤의 영향력이 강하다는 정보를 알아챈 [[정게할배|60대 이상 노년층]]이 엄청난 수로 유입되었다. 이들은 기존 야갤만의 문화인 유머, 안티페미, 세대혐오, 여성혐오등의 농담식 극단주의적 글에 반감을 가지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러한 글들을 밀어내고 더 많은 정치글을 채워냈다. 결국 기존 야갤의 모두까기 성향과 재미중심주의는 완전히 희석되었고 야념글의 성향은 일베 정게와 똑같은 [[정치극단주의|정치 과몰입]]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코갤 이후 디시인사이드 내에서 엄청난 유입 인원을 끌어들여 야갤의 덩치를 불려 주던 근원은 바로 정치와는 거리가 멀면서도 파격적이었던 유머글들이었다.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를 즐기기 위해 야갤을 찾은 것이라는 간단한 원리를 망각한 결과, 일베와 비슷한 위치에 놓이게 된 셈이다. ==== 결과 ==== 윤석열을 지지하라는 내용의 정치글을 제외한다고 쳐도 야갤에 남아있는 것은 [[MZ세대]]라는 노인들의 유행어를 사용하여 10대에서 40대까지 싸잡아서 욕하는 글들 뿐이다. 일반적인 인터넷 사이트는 대개 오프라인보다 연령대가 낮아서 40대면 나이가 많은 취급을 받는데, 현재 야갤은 40대조차도 '''본인들보다 어리다''' 라고 말할 정도이니 사실상 원래 야갤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다 나갔고 일베나 정치유튜브에서 유입된 [[정게할배]]들만 야갤에 남은 것이다. 결국 야갤은 기존에 [[야민정음]]을 비롯한 수많은 인터넷 문화들을 만들어내며 디시 문화를 주도하던 과거가 무색하게 자체적인 컨텐츠 생산능력이 완전히 사라졌고 대신 언론사나 SNS 등지에서 긁어온 정치사회 이슈글을 퍼먹는 일종의 [[사이버렉카]] 커뮤니티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디시 문화에 대한 영향력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는데,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가 등장한 이후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이 야념글이었기 때문이다. [[김유식]]이 본격적으로 혐오장사에 눈을 뜨고 나서 일부러 자극적인 논쟁거리가 될 만한 글들을 골라서 실베에 올리기 시작하자 야갤산 정치글들이 실베의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고 심지어 제목부터 속보, 야념요청 등의 단어를 넣어가며 대놓고 단톡방 주작글이라고 광고하는 글까지 무지성으로 실베에 올라가자[* 이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야념주작 단톡방과 실베 알바 사이에 커넥션이 있다는 설이나, 심지어 알바가 자기가 쓴 글을 직접 실베에 올리는 게 아니냐는 설까지 나돌고 있다.] 야갤은 실베글을 올리기 위한 일종의 징검다리로 이용되었다. ==== 쇠퇴 이후 ==== 이전부터 망갤 소리를 듣고 있었지만 [[2023년]] 이후로는 더 심각하게 망해버렸다. 그래도 디시인사이드의 수도라는 명목으로 정치망갤화를 어찌저찌 버티고 있었지만 지속적인 유입과 더욱더 심해지는 정치화, [[2023년 대한민국 다발적 흉기난동 사태|칼부림 예고글]]로 인한 VPN막힘, 등의 이유로 그나마 남아있던 기존 유저들도 다른 갤러리나 다른 커뮤니티 사이트로 이동하며 10년 이상 달았던 [[디시인사이드|디시]]의 수도라는 타이틀마저 무너진 상태다. 이전에는 24시간 내내 흥갤순위 탑을 달리고 있었지만 지금은 5위 이상을 유지하기도 힘들고 순위 1페이지에서 내려오는 일도 많다. == [[/특징|특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내야구 갤러리/특징)] == [[/비판|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내야구 갤러리/비판)]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내야구 갤러리/역사)] 디시인사이드가 여러 게시판을 생성하며 본격적인 포탈화를 거치던 2004년도 가을에 스포츠 갤러리에서 독립하며 만들어졌다. == [[/용어|관련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내야구 갤러리/용어)] == [[/중계|중계 문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내야구 갤러리/중계)] == 다른 커뮤니티 및 갤러리와의 관계 == === 타 사이트와의 관계 === * [[엠엘비파크]] : 정 반대의 정치 성향으로 인해 서로 관계가 상당히 나빴으나 [[조국 사태]]등을 거치면서 엠팍이 반문, 반민주당으로 돌아서자 같은 반문 진영인지라 칭찬도 종종 나오고 관계가 원만해졌다. 다만 정치 성향만 반문으로 공통분모일 뿐 깊게 들어가면 연령대도 다르고[* 야갤은 엠팍보다 연령대가 훨씬 어렸다. 허나 지금 야갤은 비슷하거나 나이가 더 많은 수준.] 엠팍의 보수 성향이 훨씬 온건하기에[* 엠팍은 극중주의 내지 중도우파 성향이 아주 강하다. 반면 야갤은 우파 성향이 훨씬 강한데, 이는 야갤과 엠팍의 연령대가 큰 요소로 작용한다.] 아주 원만하지는 않다. [[미국-베트남 관계]]와 비슷한 면이 있다. 악화된 관계가 상당 부분 해소된 덕분에 이제는 언급 자체가 잘 안되는 상태. 거기다 야갤이 야구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상실한 것을 잘 알기에 야구 커뮤니티 취급도 하지 않는다. * [[루리웹]]: 디시와 가장 적대적인 사이트이기에 당연히 야갤러들 역시 루리웹을 혐오한다. 정치적인 스탠스가 반대이고(극[[친문]]) 야갤에서 혐오하는 [[오타쿠]]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라 대립하고 있다. 이따금씩 박제돼서 개념글에 올라가는데, 루리웹의 '바젤'이라는 유저의 글을 [[마무리 투수]]마냥 항상 마지막에 놓고[* 일명 '막짤갑'이라고 하는 문화다. 바젤좌 말고도 종류가 많다.] "바젤좌" 라고 하는 것이 전통이다.[* 루리웹을 까는 글의 막짤에 이 유저의 글이 안보이면 '바젤좌 어디 갔노'라는 반응이 나온다.] 참고로 바젤좌는 이 때문인지 루리웹에서도 미운털이 박혀 밴을 당했다. * [[클리앙]]: 강성 [[문빠]] 성향 및 야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연령대로 인해. '[[틀니앙]]' 등으로 부르면서 멸시한다. 다만 최근 야갤을 점령한 정게 할배들의 연령대는 클리앙과 비슷하거나 더 높다. 가끔 글을 박제해서 ~~바젤좌를 필수요소로 끼우고~~ 유머거리로 쓰는 루리웹과 달리 이쪽은 루리웹보다도 성향이 극좌로 치우쳐졌~~으며 바젤좌 같이 웃긴 유저도 없~~기 때문에 현재는 루리웹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취급이 나쁘다.[* 2021년 재보궐선거 결과가 나오고나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비판이 쏟아져 나올 때 그 루리웹까지 정부랑 여당 비판글이 나올 정도로 살벌했다. ~~야갤에서는 드디어 근첩들이 대가리 깨졌다고 난리가 났다.~~ 이런 와중에도 유일하게 문재인 정부를 옹호했던 곳이 클리앙이라 야갤에서 적대 사이트가 바뀌게 되었다.] * [[에펨코리아]] : [[엠엘비파크]]와 마찬가지로 정치 성향으로 인해 서로 관계가 상당히 나빴으나 [[2019년]]의 [[조국 사태]]를 기점으로 반문, 반민주당 성향으로 돌아서면서 그 이전에 비해 관계가 원만해졌다. 다만 정치 성향만 반문으로 공통분모일 뿐 깊게 들어가면 정치 떡밥에 대한 운영진의 지나친 규제 등으로 인해 야갤에서는 펨코를 '[[축리웹]]'이라 부르며 비꼬는 유저들이 여전히 적지 않다. 그러나 펨코의 포텐 중 적지 않은 비중이 야념글을 퍼온 상황이기도 하며, 펨코 유저 중 상당수가 [[디시인사이드]]의 [[해외축구 갤러리]] 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사실에 개의치 않아 한다. 반면 펨코에서는 야갤의 막장성을 비난하는 댓글에 온갖 궤변을 늘어놓으며 비추테러를 하고 야갤을 병행하는 유저들이 은연중에 야갤 부심을 부리는 등 야갤에 굉장히 호의적이다. 특히 [[퐁퐁단]] 밈과 관련해서는 서로 영향을 줬었다. 그러나 20대 대선이 다가올 쯤에 펨코 유저들이 야갤에서 정치분탕을 치러 오자 야갤에서 펨코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빠졌고,[* 국민의힘 경선 당시에 [[홍준표]]를 밀어주다가 윤석열이 대선 후보로 확정되자 이재명 찍고 탈조선 하겠다는 말같지도 않은 현실도피성 발언을 일삼아서 이들이나 대깨문이나 다름없다는 인식이 퍼졌다.] 이들이 [[이대남|20대 남성]] 대표를 자처하자 기존의 야갤러들은 '축대남'이라는 멸칭을 쓰면서 꺼지라는 식으로 욕하는 중이다. 즉 현재 야갤은 펨코를 굉장히 나쁘게 보고 있다. * [[일베저장소]] : 본인들 입으로야 일베가 하도 막장이라 손절했다고는 하지만, 사실 일베의 아버지라는 멸칭을 듣는 만큼 정치 성향도 같고 유머 코드도 비슷하다.[* 노무현에 대한 드립을 즐긴다거나 전라도를 혐오하는 등.] 현재는 일베의 쇠락으로 많은 일베 유저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 그 외 [[남초사이트]]: 타 사이트들 내에서의 인식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알게 모르게 야갤 자료들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출처를 간단히 '디시'라고 적어놓은 경우 높은 확률로 야갤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야갤은 싫어하면서 야갤 똥은 다 받아먹는다'라고 깐다. * [[네이버 뉴스]] : 야갤의 멀티, 혹은 야갤러들보다 더한 [[패륜]]적 드립을 구사하는 사탄 취급을 받는다. 그래서 별명도 '''그린일베'''. 물론 진보, 친문 성향의 댓글러들도 무시 못 할 정도이기 때문에 야갤 멀티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야갤러들의 주 활동 무대 중 하나인 것은 사실이며 특히 [[스포츠]] 뉴스란의 야구 게시판과 축구 게시판은 야갤러들과 [[해충갤]]러들의 식민지나 다름없다. * [[디시위키]] : 주요 관리자들이 모두 국내야구 갤러리 사용자들이며 글의 성향 전체가 국내야구 갤러리의 성향과 동일하며 드립이랑 관리도 비슷하다. 허나 디시위키의 성향이 점점 나무위키에 가깝게 바뀌면서 야갤러들은 그딴 데는 나무위키 [[차단]]자나 루리웹 놈들이나 하는 것이라며 신경도 안 쓴다. * [[네이버 뿜]] : 성향이 거의 똑같아지는 중이다. === 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와의 관계 === ==== 야구 관련 갤러리 ==== * [[해외야구 갤러리]] : 일명 '''해야갤 또는 개야갤.''' 야갤이 코갤러와 일게이들의 칩입으로 야구 커뮤니티의 기능을 사실상 잃어버리자 기존의 야구 이야기가 하고 싶은 사람들이 이주해 있다. 때문에 지금의 야갤에 대한 감정은 좋지 못한 편. 이런 이유로 해외야구 갤러리에서 야구 이야기를 하지 않고 이상한 떡밥만 돌리는 유저들을 보고 코갤러라고 적대감을 보인다. * 각 팀갤들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를 시작으로 차례차례 분화되었다. 국내야구 갤러리가 사실상 야구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상실한 이후부터는 각 팀 갤러리가 실질적인 디시인사이드의 국내야구 커뮤니티 역할을 하고 있다. 팀갤들의 성향은 각기 다른 편이고 [[해외야구 갤러리]]나 [[마구마구 갤러리]]처럼 야구 이야기를 하지 않는 코갤러, 일베충들에게 밀려난 기존의 야갤러들이 많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야갤에 대한 감정이 좋지 못한 편이다. 하지만 2022년에 들어서 야갤에서 야구 이야기가 완전히 사라지면서 아래의 내용들은 이미 과거의 이야기가 되었고 각 팀갤들에 대해서 언급이나 관심자체를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일명 '''[[8888577|꼴갤]]'''. 팀 갤 중 최초로 분화된 갤러리로, [[꼴리건]]들을 분할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는 인식이 강해서인지 "[[수용소]]", "똥푸산" 등으로 조롱당한다. * [[LG 트윈스 갤러리]] : 일명 '''쥐갤, 북쥐갤'''(돡갤 한정). 팀 갤 중에 야갤과 성향이 가장 비슷하며 쥐갤러 중 한 명이 [[일베저장소]]의 탄생에 기여한 바 있다. * [[두산 베어스 갤러리]] : 일명 '''돡갤, 범갤, 북칰갤'''(접갤 한정), '''짭쥐갤'''(꼴갤, 쥐갤 한정). *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 : 일명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논란|칩갤]], 통갤'''. * [[SSG 랜더스 갤러리]] : 일명 '''쏵갤'''. 전신인 [[SK 와이번스]]가 창단했을 때 전주를 연고로 했던 [[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단을 고용 승계한 이유로 '''북홍갤'''로도 불린다. * [[한화 이글스 갤러리]] : 일명 '''똥칰갤, [[5886899|칰갤]]'''. 원래 "살아 있는 부처"로 불렸으나 [[김성근]] 감독이 한화를 휩쓸고 난 이후에는 "[[칰키워]]", "[[노리타(김성근)|노리타]]", "최단기 퇴물"로 조롱과 멸시를 받으며 동네북 취급당했다. * [[KIA 타이거즈 갤러리]] : 일명 '''홍갤, 7갤'''. 원조 동네북. 야갤은 극우 성향의 갤러리이기 때문에 반호남 정서가 강하며 2009년 [[기아 타이거즈]]가 한국 시리즈를 우승하고 나서 기아 팬들이 온갖 어그로를 끌고 다니는 통에 야갤의 [[유대인]] 취급 받는다. "피떡", "[[홍어드립|홍어]]"라 불리며 야갤러들에게 얻어맞는 게 이들의 일상. *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 : 일명 '''겆갤'''. * [[NC 다이노스 갤러리]] : 일명 '''접갤, 남쥐갤'''(돡갤 한정), '''마홍갤'''(꼴갤 한정). [[마산아재]]들의 갤러리. 창원을 기반으로 한 팀이다 보니 옆의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꼴리건]]들과 사이가 좋지 못하다. 그리고 2020년 심판 접대논란이 일자 해당 사건이 무혐의로 종결된 것과 별개로 접대로 불리고 있다. * [[kt 위즈 갤러리]] : 일명 '''콱갤'''. * [[마구마구 갤러리]] : 2009년 9월 11일 오후 5시를 기해 개설되었다. 연관 갤러리가 게임 관련이 아닌 야구 갤러리라는 것이 웃긴 포인트. * 선수들 관련 갤러리 : 이들은 야갤이나 팀갤들보다 팬클럽적인 특징이 더 두드러진다. * [[박찬호]] 갤러리 * [[이승엽]] 갤러리 * [[류현진 갤러리]] ==== 기타 관련 갤러리 ==== *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 2022년 기준 야갤의 실질적인 본체이자 야갤이 망해가는 원인 중 하나. 실베 알바들이 어그로 끌기 좋은 자극적인 야념글들을 실베에 자주 퍼올리고 그렇게 올라간 야갤산 실베글을 통해 유입된 급식들과 정치충들이 야갤의 망갤화를 가속시키는 악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 : 코갤러들이 야갤로 많이 유입되어 2015년 이후 코갤의 기능도 일부 수행하고 있다. * [[(구)정치, 사회 갤러리]] : 이름만 놓고보면 이 둘이 무슨 관련이 있나 싶겠지만 2009년 야갤에 반호남 정서가 만연해져 있을 때 극우 성향의 구 정사갤러들이 유입되면서 야갤이 지금과 같은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어찌보면 야갤의 막장화에 가장 크게 기여한 갤러리. * [[해외축구 갤러리]] : 한때는 서로 패드립을 치며 대립했었으나 야갤과 해축갤의 몸집 차이가 크게 벌어진 이후로는 서로 건드리지 않는다. 오히려 스포츠 갤러리의 특성상 남초일 수밖에 없다는 점, 그리고 해축갤 역시 대놓고는 아니더라도 보수 성향의 갤러리이기 때문에 의외로 코드가 맞는다.[* 실제로도 이들이 치는 각종 [[패드립]]을 보면 누가 야갤이고 누가 해축갤인지 분간이 안 갈 지경.] 드립 또한 서로 공유하는 것이 많으며, 실제로도 두 곳에서 활동하는 고정닉들이나 유동닉들도 많다. 그래서인지 서로에 대한 게시물이 올라오면 자기네들보다 더한 놈들이라며 낄낄거린다. * [[남자 연예인 갤러리]] → [[여자 연예인 갤러리]] : 과거 해축갤 이상으로 사이가 안 좋다. 원래 서로 신경을 끄고 사는 사이였으나 미투 운동의 확산과 그 여파로 배우 [[조민기]]가 자살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야갤로 넘어와서 분탕을 치기 시작했다. 야갤러들은 이에 맞서 조민기를 동정하며 왜 미투 운동이 살인 운동이라며 "너네는 당할 일 없는데 왜 호들갑이냐"라고조롱했다. 참고로 이 남연갤은 [[메갈리아]] → [[워마드]]의 탄생에 기여한 장본인들이다. 그러나 재미있게도, 두 갤러리는 성별만 빼면 가장 유사한 성향을 가졌다. [[노무현]]에 대한 [[고인드립/사례/대한민국 대통령#s-6.2|기묘한 집착]], 반 민주당 정치성향, [[고인드립]]과 [[패드립]]을 서슴지 않고 연예인에 대한 성희롱을 일상적으로 일삼는, 재미를 추구하며 윤리적 판단은 필요하지 않다는 태도 등등. 그리고 항상 여연갤이 야갤에게 털린다(...) 주 루트는 여연갤이 타갤침공->침공당한 갤러리가 야갤에게 도움요청->여연갤 털리는 구조다. * [[러블리즈 갤러리]] : 야갤러들의 주의를 끌 만한 러블리즈 관련 정보가 야갤에 퍼지면, 귀신같이 몰려들어 가 분탕질을 치는 관계로 러블리즈 갤러리 유저들은 야갤러들을 극도로 혐오한다. 야벨단과 같이 잡덕 남초 성향의 러블리즈 팬덤들은 서지수 갤러리에서 터전을 잡고 활동 중이다. * [[레드벨벳 갤러리]] : 야갤에서 레드벨벳을 찬양하는 이른바 ‘야벨단’들이 지속적인 분탕질을 통해 기존의 원주민 갤러들을 [[레드벨벳의레벨업 마이너 갤러리]]로 [[https://m.dcinside.com/view.php?id=redvelvetreveluv&no=24863|이주시키게끔 만들고]], 기존의 갤러리를 차지해 버렸다. * [[스타크래프트 갤러리]] : 디시의 전성기를 함께 빛냈던 갤러리. 한때는 서로 "오른손으로 [[딸근]]만 움직이면서 발달시키는 것도 스포츠냐", "니네도 [[방구석 여포|방구석]]에서 중계질이나 하질 않냐"로 싸우면서 털리고 털리길 반복했다. 디시의 자유게시판인 야갤답게 스갤 출신 유입들도 꽤 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 : [[롤챔스]], [[롤드컵]]의 인기와 함께 [[롤챔스]], [[롤드컵]], [[Mid-Season Invitational|MSI]] 중계를 시도하는 롤갤러들도 보인다. 최근에는 롤갤러들이 야갤의 중계 문화를 벤치마킹해 가서 위클리 LCK 등을 중계하고 있다. * [[노무현 갤러리]] : 일베와 야갤의 공동 멀티로 야갤러들이 노무현 합성물을 보려고 자주 들어갔다. 현재는 급식충 밭에 좆목갤이 돼서 반쯤 손절했다. 종종 야갤에 노무현 관련글이 개념글로 올라오곤 하는데 대부분이 출처가 노갤이다. * [[역사 갤러리]] : 역시 이 둘만 놓고 보면 무슨 관계가 있나 싶지만, [[일베저장소]]에서 분탕질하는 게 잘 안 먹히자 글을 잘 쓸 수 있는 야갤에서 계속 분탕을 치고 있다. ==== [[연극, 뮤지컬 갤러리]] ==== [[2022 뮤지컬 엘리자벳 10주년 기념 공연 캐스팅 논란]]을 기점으로 여러 가지 뮤지컬계에 만연해있던 안좋은 문화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국내야구 갤러리]],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힙합 갤러리]] 등 남초 갤러리들은 [[연뮤갤]] 침공을 시도 했고 이는 성공으로 끝났다. 그중에서도 가장 사람이 많던 [[야갤]]의 사람들은 이곳에 정착해 유머 게시물을 쓰고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야갤 개념글 정치글 도배에 분노한 몇몇 인원들이 야갤내에서는 다른 갤러리로 이주하자는 의견이 있었고 때마침 연뮤갤에 사람들이 정착해있어 이곳으로 사람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 [*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이미 야갤 개념글은 정치글로만 도배돼있었다.] 그러던 도중 7월 5일 [[연뮤갤]]로 이주하자는 게시물이 대거 야갤 념글에 가기 시작하면서 많은 인원들이 이곳으로 이주해왔다. == 방문한 유명인 == 대략 2010년 이전 정도까지의 이야기고, 사실상 자유게시판화된 현재로서는 야구선수가 방문하여 인증을 할 일은 없다. 어차피 야구 이야기를 안하기 때문. 선수들도 굳이 인증을 하려면 팀갤에다가 하는 편. 프로야구 선수들 중 공식적으로는 당사자가 인증 게시물을 작성한 경우는 [[임동규(야구)|임동규]]뿐이다. 덧붙이자면, 2009년 [[박용택]]이 실버 배트상을 만들어 보내준 [[LG 트윈스 갤러리]]에 감사글을 남긴 일도 있다. [[홍세완]]도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 인증한 적이 있다.[* 각 갤러리의 공지에서 지금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7월 27일 [[이택근]]도 [[넥센 히어로즈 갤러리]]에 인증하였다. 다만 직접 남긴 것은 아니고 구단 직원이 대신 올렸다. 그리고 지금은 삭제되어 찾을 수 없다. 각 구단별 갤러리가 생겨난 뒤론 야구 갤러리 본체에 글을 남기는 선수들은 사라진 것으로 보이나, 은근한 눈팅은 계속 되는 것 같다. 박용택이 쥐갤에 남긴 글은 쥐갤실록이 되어서 쥐빠들이 박용택이 못하면 욕을, 잘하면 칭찬을 남기는 성지가 되었지만, 박용택 본인이 게시글을 확인한 이후 직접 글을 삭제해 버렸다. 이후 쥐갤럼들은 박용택 마이너 갤러리를 만들어서 다시 쥐갤실록을 편찬하고 있는 중이다. 비공식으로 분류되는 LG 트윈스 투수 [[심수창]]은 바탕에 있는 컴퓨터에 야구 갤러리에 접속한 사진으로 야구 갤러리에 접속한다는 이야기가 퍼진 상태고 롯데 자이언츠 선수인 [[이우민|이승화]]가 야구 갤러리의 마피아 게임에 참가했다는 설이 있는 상태이며 은근한 눈팅 세력은 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등학교 시절에 [[NC 다이노스|NC]]의 [[이태양(1993)|이태양]][* 이후 승부조작으로 제명.] 선수가 본인이 프로에 지명될 것 같냐고 와서 질문 글을 몇 개 쓴 적이 있었다. 그때 닉네임이 '고추큼'이었고, 이 때문에 '고추큰야갤러'라는 별명이 붙어버렸다. 이 경우처럼 무명 시절에 야갤한 선수로는 [[박석민]][[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2&id=789523|이 있다.]] [[KIA 타이거즈]] [[정용운]] 선수는 신인 시절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 종종 눈팅을 왔었다고 하며, [[롯데 자이언츠]] [[최영환]] 선수도 직접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 방판을 왔다. 배우 [[김소연(배우)|김소연]]이 2010년경 야갤을 몇번 들어갔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2&no=2820936|인터뷰 캡쳐본]] 선수는 아니지만 래퍼 [[데프콘(가수)|데프콘]]은 <[[나 혼자 산다]]> 출연 당시 인터넷 서핑을 하던 장면이 있었는데 그중에 야갤도 잠시 나왔다. 2021년 12월 14일, N번방 방지법과 관련해 [[정의당]] [[류호정]] 국회의원과 [[국민의힘]] [[양준우]] 대변인이 DC 국내야구 갤러리에 인증까지 남기고 의견을 피력한 일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디시인사이드 류호정 검열 계도 발언 사건]] 참고. 정의당 [[류호정]]은 N번방 방지법을 꼭 필요한 최소한의 규제라고 주장했으나 정의당 자체에 비호감도가 높은 야갤러들은 비난조의 댓글을 달았으며, 실베에 올라간 글은 비추 10만개라는 DC에서 보기 드문 기록적인 수치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https://m.dcinside.com/board/dcbest/34060?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류호정|#]] [* 심지어 류호정은 같은 아이피로 더불어민주당 갤러리에 글을 쓰다가 지운 것으로 추정되는 의심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비호감도는 더더욱 증가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34105&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A5%98%ED%98%B8%EC%A0%95&page=1|#]] 앞서 [[이재명]] 대선후보가 DC갤에 인증글을 남기면서 화제를 모은 바 있지만 류호정의 인증은 같은 진보 진영에서도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gksthf9801/status/1470668883501924355|#]] 다만 더불어민주당 갤러리 등 친민주당 성향의 갤러리에서도 정의당에 대한 비호감도는 높은 경우도 있다.] 반면 [[양준우]]는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법안이라며 N번방 방지법을 비판하였고, '요상한 신종 계도행위가 목격되었다, 앞으로 오지 않겠다.'라는 류호정과 대조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야갤러의 호응을 얻어 1만개가 넘는 추천을 받았다.[[https://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2112/dh20211215104354137430.htm?s_ref=nv|#]] == 관련 문서 ==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목록]]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야구 커뮤니티)] [include(틀:대안 우파)] [[분류:국내야구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