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00호 ||<|2> ← || '''101호''' ||<|2> → || 102호 || || [[보문사 지장시왕도]] ||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 [[경복궁 북원#s-5.3.1|오운정]]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1호}}}]]''' || ||<-2> {{{#fff {{{+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br]{{{-1 國忌服色素膳 및 四節服色資粧要覽}}}}}}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보문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br](청파동2가, 숙명여대박물관) || || '''{{{#fff 시대}}}''' || [[조선시대|조선 말기]]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고본 || || '''{{{#fff 수량 / 면적}}}''' || 2帖 || || '''{{{#fff 지정연도}}}''' || [[1996년]] [[9월 30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jpg|width=100%]]}}} || || {{{#ffd400 '''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83&ccbaKdcd=21&ccbaAsno=010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헌종(조선)|헌종]]의 [[후궁]]인 [[경빈 김씨]]가 자신의 거처인 순화궁에서 직접 저술한 두 책의 고전 궁중 복식서. 현재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받았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내용 == [[파일:국기복색소선의내용.jpg]] 《순화궁 접초(順和宮帖草)》라고도 부른다. 이는 [[순화궁]]에서 녹색칠보운문단과 용무늬 [[비단]], 색동 비단 등의 아름다운 재료들을 사용하여 책을 마치 [[병풍]]처럼 배접하여 만들었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국기복색소선》은 역대 [[왕]]과 [[왕비]]의 [[제사]]일에 비와 빈, 그리고 [[궁녀]]와 [[내시]] 등이 입는 옷과 장신구, 신발, 머리 모양, [[화장]], 노리개 등의 궁중 복식 규칙을 기록해놓은 것이다. 《사절복색자장요람》은 궁중에서 [[명절]]과 절기에 따라 입는 옷과 장신구 등 각종 복제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왕실 [[후궁]]에 의해 직접 작성된 궁중 복식 의례서로, 조선 후기 궁중 복식에 대해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101&cid=46671&categoryId=46671|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8811&cid=46671&categoryId=46671|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절복색자장요람]]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8%B0%EB%B3%B5%EC%83%89%EC%86%8C%EC%84%A0_%EB%B0%8F_%EC%82%AC%EC%A0%88%EB%B3%B5%EC%83%89%EC%9E%90%EC%9E%A5%EC%9A%94%EB%9E%8C|한국어 위키 백과: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2733&cid=40942&categoryId=33383|두산 백과: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 서울 특별시 유형 문화재 제101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010000,11|문화재청 홈페이지: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國忌服色素膳 및 四節服色資粧要覽)]] >[[조선]] [[헌종(조선)|헌종]](재위 1834년 - 1849년)의 [[후궁]]인 [[경빈 김씨]]가 자신의 거처인 순화궁에서 궁체로 쓴 2권의 책으로, 이 둘을 가리켜 『순화궁첩초』라고도 한다. > >사절복식자장요람의 표지는 남색으로 용무늬가 있고, 국기복식소선은 녹색에 구름 무늬가 있다. 책의 내용은 조선조 역대 왕과 왕비의 기일과 왕릉 및 국가 기일에 입는 의복에 대한 것을 기록하였다. > >조선은 국초부터 [[유교]]를 숭상하고 조상 숭배를 으뜸으로 하였으므로 궁실의 왕비로서 조상의 기일과 복식에 큰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책은 특히 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분류:조선시대 여성의 저서]][[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