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기도의 종합병원)]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병원)] ---- ||<-2> '''{{{+2 국군고양병원}}}[br]國軍高陽病院[br]Armed Forces Goyang Hospital''' || ||<-2>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마크.png|width=250]] || ||<-2> '''기본과 원칙에 충실한 의무지원 "Esprit de I Corps"''' || || '''창설일''' ||[[1974년]] [[12월 1일]] (제106야전병원)[br][[1984년]] [[9월 1일]] (국군벽제병원)[br][[2011년]] [[7월 1일]] ('''국군고양병원''') || || [[약칭|{{{#ffffff '''약칭'''}}}]] ||'''고양병원''' || || '''소속''' ||[[대한민국 국군]] || || '''상급부대''' ||[[국군의무사령부]] || || '''종류''' ||[[국군병원]] || || '''역할''' ||[[제1군단]] 의무 지원 || || '''병원장'''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문현주 || || '''위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혜음로 215 (벽제동)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군고양병원, 너비=100%, 높이=100%)]}}} || || '''진료시간''' ||'''09:00~18:30''' || || '''전화번호''' ||'''1688-9162 / 031-962-5402''' || || '''링크''' ||[[https://www.medcmd.mil.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170226168&siteId=medcmd&menuUIType=sub|[[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ain_Building_of_ROK_Armed_Forces_Goyang_Hospital_01.jpg|width=100%]]}}} || || '''국군고양병원 전경''' || '''국군고양병원'''은 [[국군의무사령부]] 예하의 국군병원이다. 1974년 12월에 창설하였으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에 위치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에서 가깝다. == 상세 == [[1974년]] 12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서 육군 제106야전병원으로 창설되었으며, [[1984년]] 9월 1일 [[대한민국 육군|육군]]에서 [[국군의무사령부]]로 예속이 변경되었으며, [[제1군단]]으로 배속되었다. 또한, 부대명칭을 국군벽제병원으로 변경하였다. 그 뒤 [[1989년]] 1월 현재 위치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으로 이전하였으며 기존에 '''벽제'''하면 떠오르는 안 좋은 이미지가 있어서(...)[* 서울시립승화원이 일명 '''벽제 화장터'''로 불린다. 벽제와 이웃한 파주시 광탄면 역시 용미리 공동묘지가 있어 벽제-광탄 쪽은 무덤가라는 안 좋은 인식이 있다.] [[2011년]] 7월 1일부로 명칭을 현재 명칭인 국군고양병원으로 변경하였고 다시 [[국군의무사령부]]로 소속이 환원되었다. 전방병원[* VIP 전용인 [[국군서울지구병원]]을 제외한 수도권 즉 [[경기도]] 한강 북쪽 그리고 최전방이라 할 수 있는 [[강원도]]에 위치한 군 병원들로 수도권은 여기 말고도 국군수도병원과 국군구리병원, 국군양주병원이 있으며 강원도는 국군홍천병원, 국군춘천병원, 국군강릉병원이 있다.]들 중에서 규모가 [[국군양주병원]] 다음으로 2위이다. ~~그래도 후방 [[국군함평병원]]보단 작다~~ 그도 그럴 법한게 [[고양시]]와 [[파주시]]가 전방지역이다 보니 좀 과장해서 말하면 '''온 도시 곳곳에 군부대가 도배되어 있는 수준'''이기 때문.[* 파주/고양 지역을 담당하는 [[제1군단]]은 3개 보병사단, 2개 기갑여단과 사단급 규모를 자랑하는 포병여단을 보유한, 육군에서도 병력 규모가 거대하기로 손에 꼽히는 군단이다. 거기다 [[제1군수지원여단]] 예하 부대들([[탄약대대]], 정비대대, 급양대 등)도 넓게 흩어져 있고 공군부대도 있다. 사람들이 [[일산신도시]]와 교하/운정지구 등 각종 신도시들이나 파주 헤이리, 출판단지, [[임진각]] 등의 이미지 때문에 깜빡하는데 [[고양시]]-[[파주시]]는 서부전선 주요 축선으로 군사적으로 전방에 해당되며, 일산-금촌 지역의 [[제9보병사단]]은 수도 서울을 지키는 수도권 전방부대로서 책임이 막중하다.] 지원부대는 [[제1군단]] 및 그 예하부대이다.[* 소속상 지원부대가 아니지만 위치 문제로 외진을 오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상작전사령부]] 직할이었다가 1군단 소속으로 환원된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가 있으며 [[제56보병사단]](수방사 예하), [[제60보병사단]](수방사에서 동원전력사령부로 소속변경), [[제72보병사단]](1군단에서 동원전력사령부로 소속번경) 등이 있다.] 따라서 평일 한정으로 주요 사단 및 여단을 잇는 외진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주로 고양시-파주시의 부대들에서 외진을 오며 문산, 금촌, 봉일천, 광탄, 일산, 원당 등 다양한 곳에서들 온다. 다만 엄밀하게 말해서 2위라고 할 수는 없다. 병원 규모는 보통 병상수로 말하는데 [[국군포천병원]][* 고양병원과 같이 개원해서 구조가 리모델링 전의 벽제병원과 같다.], [[국군홍천병원]]과 병상수가 같다.[* 병상 수는 군사기밀까지는 아니지만 기밀에 준하는 대외비이므로 안 쓰는 게 좋다.] 연간 외래 진료량이나 입원환자 수는 지휘관에 따라 [[군의관]]을 얼마나 쪼이느냐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나게 되니 별 의미 없고 의무지원대상 병력 수는 자세히는 대외비라 일반인은 알 수가 없고 의정병과 장교 등이면 알겠지만 발설하면 안 된다. [[2009년]]~[[2011년]] 내부 리모델링 기간동안 1군단 소속 외래환자들은 각각 그나마 가까운 타 군병원으로 나누어져 외진을 갔었다. 대부분 [[국군수도병원]] 및 [[국군양주병원]]으로 갔다. 그리고 가뜩이나 외진이 넘쳐나는 수도병원과 양주병원 기간병들에게 헬게이트가 열렸었다. 그렇다고 그 리모델링 기간동안 고양병원의 외진이 줄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리모델링 기간 중엔 정기적으로 고양병원발 수도병원행 외진버스가 45인승 1대로 운행했었다. 아침에 출발하면 빨리 돌아와도 저녁 6~7시기 때문에 빡센 일정이었는데 분당에서 일산을 오가기 때문이다. 강북-강남 간 서울의 교통체증은 상상을 초월하며 거리 자체가 [[수도권 전철 3호선]]의 북서쪽 끝과 [[분당선]]이 지나가는 동남쪽 끝이라 이 끝에서 저 끝이다. 고양병원이라고 개칭한 지 얼마 안 된다가 일반인들이 흔히 '''고양시=일산'''으로 인식하는 통에 고양이라는 지명이 익숙치 않아 벽제병원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 [[국군수도병원]]은 국군수도통합병원에서 개칭된지 30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수통으로 불리니(...) 인지도 문제는 세대가 바뀌어도 진짜 어쩔 수 없다. 리모델링 후에 병원이 깔끔하고 취재가 용이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가깝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 강서구 등은 고양시와 같은 생활권을 이루며 서울시 택시가 그대로 일산에서 돌아다니고 서울시 시내버스도 직통으로 오는 등 서울시와는 행정구역만 빼고 일체화되어 있는 곳이 고양시이다. 애초 벽제 일대는 구파발과 붙어 있다.] 군 의료체계 개선 등의 홍보를 할 때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신경외과]]의 기나긴 대기열을 취재하는 일은 없다(...) 병원 안에 [[PX]]가 있는데 군병원이다 보니 담배 판매를 하지 않는다. 참고로 원래 PX 옆에 치킨과 피자, 소떡소떡 등을 파는 스낵바가 있는데 장사가 매우 잘 된다. 피크타임에는 앉을 자리나 냉동 돌릴 전자레인지 찾기도 힘들 정도로 인기가 많았으나 스낵바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영업을 잠정 연기하다가 현재는 폐업하였다. 코로나19 사태가 종료되어도 PX가 있는 만큼 스낵바는 다시 문을 안 열 듯 하다. 2013년 수술 후 '''재활'''에 집중하는 요양병원으로 개편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0&sid2=267&oid=003&aid=0005206611|#]] == 진료 및 입퇴원 == === 진료 과목 === * 내과 * 정신건강의학과 * 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마취통증의학과 * 산부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기과 * 영상의학과 * 응급의학과 * 재활의학과 * 치과 * 구강악안면외과 * 치과보철과 * 치과보존과 * 치주과 == 출신인물 == === 병원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역대 국군고양병원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주요보직''' || '''기타''' || || 초대 || 이필우 || || || || || || 00대 || [[남택서]] || 예) [[대한민국 육군|육군]] [[소장(계급)|소장]] || [[군의관|군의]] 17기 ||前 [[국군의무사령관]] || || || 15대 || [[박동언]] || 예) [[대한민국 육군|육군]] [[소장(계급)|소장]] || [[군의관|군의]] 22기 ||前 [[국군의무사령관]] || || || 18대 || [[안종성]] || 예) [[대한민국 육군|육군]]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7기 ||前 [[국군의무사령관]] || || || 20대 || 경희두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前 병원장 || || || 21대 || 이지철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前 병원장 || || || 27대 || 윤숙희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의정]] 00기 ||前 병원장 || || || 25대 || 이재혁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군의관|군의]] 27기 ||前 병원장 || || || 27대 || 홍기태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학군]] 29기 ||前 병원장 || || || 28대 || 문현주 ||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 [[여군]] 39기 ||現 병원장 || ||}}} ##여백을 줄이기 위한 주석입니다. ##=== 장교/부사관 === ##=== 병 === ##== 사건사고 == == 기타 == === 근무환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ROK_Armed_Forces_Goyang_Hospital_-_Main_gate.jpg|width=100%]]}}} || || '''국군고양병원 입구''' || [[2016년]] 6월만 해도 출입문 경계근무를 서는 병사들의 군장이 심히 부실했다. 그러나 [[2019년]] 이후 후방/비전투부대까지 장비교체가 완료되어 이제는 그렇지 않다. 비전투부대는 전투용 창끝부대들에 비해 보급이 밀려서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군병원이나 [[육군교육사령부]] 예하부대, [[국직부대]] 등 비전투부대가 다 그랬지만 그때만 해도 [[M16 소총]]에 심지어 20발 들이짜리 [[탄창]]을 사용하고 전투조끼가 아닌 엑스밴드를 사용하며 그것도 국방색 단색에 철제 걸쇠를 사용하는 구형 중 구형이었다(...) 물론 이건 모든 군병원이나 교육기관 등이 다 마찬가지 상황으로 비전투부대라 보급 순위가 밀렸다. [[2016년]] 9월 마침내 대부분의 병력이 [[K2 소총]]을 보급받았지만 일부 신병은 여전히 M16을 사용 중이었다. 사실 [[2003년]]부터 연말만 되면 전방병원은 개인화기를 K2로 교체한다는 떡밥만 무성히 돌았으나 도로아미타불(...)이었는데 역시 전투부대에 우선으로 돌아가는 예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 이는 전군이 다 똑같다. 해군도 거의 함정부터 먼저 신형 무장류 등이 보급되며 육상부대는 한참 밀린다. 공군 또한 군사경찰 및 활주로 근무 크기에 신형 무장류 등이 보급되었으며, 업무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순수 후방특기는 한참 밀린다.] 현재는 국방부가 비전투부대의 장비 및 무기 교체를 모두 완료해 모든 병사에게 [[K2 소총]]이 지급하였다. === 병원 가는 길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수도권 전철 3호선]]: [[불광역]], [[삼송역]] 병원은 벽제에서 광탄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으며[* [[2016년]] 혜음령터널 개통으로 더 빨라졌다.] [[불광역]][* 실제로는 [[삼송역]]에서도 탈 수 있고 그게 훨씬 더 빠르다. 그 막히는 서울 도심의 교통정체를 버스로 감내할텐가?]에서 광탄으로 가는 [[서울 버스 774]]번을 타고 가다가 안내방송에 맞춰 내리면 된다. 불광역 말고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에서 오는 것도 빠르다. 특히 3호선 라인의 경우 삼송 하차 및 고양시 마을버스 이용이 답이다. [[원당역]]/[[화정역(고양)|화정역]]에서 택시를 타도 되지만 조금 돌아서 가고 삼송에서는 통일로를 따라 쭉 올라간다. 아니면 [[고양 버스 85]], [[고양 버스 85-1]], [[고양 버스 790]], [[고양 버스 850]], [[고양 버스 051]], [[고양 버스 053]]번을 타고 고양동삼거리(벽제삼거리)에 내려서 걸어와도 된다. 85번 좌석버스는 주로 서울 강서구/양천구나 김포, 인천 계양구/서구 등에서 출발할 때 [[김포공항역]]이나 [[송정역(서울)|송정역]]에서 이용하면 편하다. == 여담 == * [[코로나 19]] 사태로 [[고열]]환자나 의심환자는 [[선별진료소]]에서 걸러내는데 같은 차량은 타고왔거나 [[셔틀버스]]를 함께 타고온 인원들은 음성 판정이 나올때까지 모두 병원에 출입이 제한된다. 다른 인원들이 피해보지 않도록 고열과 의심증상이 있다면 [[응급실]] 외엔 외진목적으로 방문하지말자. 이제는 셔틀버스 탑승시에 문진표를 작성하지 않으면 기사님이 못 타게 막으니 이런 일은 없다. * 3층 대기장소에 가면 커다란 스크린에 대기명단이 나온다. * 외진을 하러온 [[병사]]들이 진료 전 후에 쉴 곳을 찾아 이리저리 해메는 경우가 있는데 로비에 구비된 대기의자나 3층에 있는 대기장소[* 3층 강당, 단 강당에서 교육이 잡히면 다른 곳으로 가서 기다려야 한다.]에서 기다리는게 최선이다. 괜히 휠체어용 계단이나 가지 말라는 곳에서 대기하지 말자. 병원 내 군기순찰이 무작위로 돌며 사진을 찍어서 부대에 소속 부대에 보고 할 수도 있다. * 면회객의 경우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에서 [[마을버스]]를 타면 빨리 도착할 수 있다. 서울 도심 기준으로 3호선 라인은 삼송역 하차 후 마을버스 이용이 좋고 [[영등포역]]이나 그 주변인 [[구로구]], [[금천구]], [[광명시]], [[안양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출발일 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 하차 후 원당-영등포 간 직행좌석버스인 1082번을 타고 고양시청.주교동.덕양구보건소치매안심센터 버스정류장에서 [[고양 버스 85]]번을 이용하면 된다. == 관련 문서 == * [[국군의무사령부]] * [[국군병원]]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양시의 종합병원)] [[분류:대한민국 국군]][[분류:국군의무사령부]][[분류:군병원]][[분류:제1군단]][[분류:종합병원]][[분류:경기도의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