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행정조직)]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white 북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white 내각기관}}}]]'''[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과학원 휘장.png|height=60]]||'''{{{+1 국가과학원[br]國家科學院}}}[br]{{{-1 State Academy of Sciences}}}''' || }}} || || '''설립''' ||[[1952년]] [[12월 1일]] || ||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과학원 {{{-2 (1952~1994)}}}[br]국가과학원 {{{-2 (1994~1998)}}}[br]과학원 {{{-2 (1998~2005)}}}[br]국가과학원 {{{-2 (2005~ )}}}}}} || || '''위원장''' ||[[김승진]]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 || '''고유 색상'''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4488; color: #FFFFFF" #004488}}}{{{#!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5500; color: #FFFFFF" #005500}}} || || '''주소'''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236662804962116%2c125.8663039310549,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4488; color: white" '''국가과학원 본부 청사'''}}} {{{-2 ([[평양시]] [[은정구역]] 과학1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과학연구를 담당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내각]] 산하의 장관급 기관. 북한 내 최고 과학연구기관으로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응된다. == 특징 == '과학원 조직에 관한 내각결정 183호'에 따라 [[1952년]] [[12월 1일]] 개원하였다. 원래 과학원 부지는 [[평안남도]] [[순천시(북한)|순천군]]에 속했지만, 광복 이후 [[평양시]] [[룡성구역]]에 편입되고 과학원이 들어서면서 평성지역은 과학도시로 크게 성장했다. 나중에 [[평안남도]] [[평성시]]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가, [[2005년]]에 국가과학원으로 승격되면서 평성시의 과학원 부지 인근만 똑 떼어내어 [[평양시]] [[은정구역]]으로 개편됐다. 이는 '과학원에 속한 구성원의 노고와 충성에 대한 보답'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한국인]] 입장에서는 '저게 뭐가 그리 대단한 혜택인가' 싶겠지만... 북한은 [[거주·이전의 자유]]가 없는 곳이며 외지인이 평양시에 진출·입할 때마다 일명 '10호 초소'에서 특수려행증[* 평양이나 국경지대 근처에 출입할 때 필요한 려행증으로 [[사회안전성]]에서 관리하는 일반 려행증과 다르게 [[국가보위성]]에서 관리한다.] 유무를 확인한다. 심지어 평양시민은 [[려행증]]이 없어도 어느정도 자유롭게 타지로 여행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정권의 충직스러운 후비대'인 평양시민과 다소간 의심스러운 다른 지역 주민들에게 주어지는 물질적, 비물질적(정치적) 혜택이 판이하게 다르다. 따라서 평양시에 편입한 건 북한 정권 입장에서는 '대단한 결단'이면서 과학원 직원과 그 가족들에게는 '엄청난 은혜'인 셈. 국가과학원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및 산업단지가 포진해있다고 한다. 주요 업무는 과학과 기술 연구인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핵개발]]과 관련하여 [[원자력공학]] 연구가 여기서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듯 하다. 대략 3000명 정도의 연구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가과학원 산하에 교육기관으로 "북한의 카이스트"인 [[리과대학]][* 북한에서는 "수재대학"이라고 불린다. 공식적인 서류나 학교 직인에는 '국가과학원 리과대학'이라고 쓰인다.]이 있다. 리과대학 교수들이 대학에서 강의하고 국가과학원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겸직하며 연구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은정구역]] 과학원지구 영내에 [[리과대학]] 본교가 있고, 함흥분원이 있는 함흥시에 [[리과대학]] 함흥분교가 있다. == 구성 == * 은정분원 * [[리과대학]] * 전자자동화분원 * 생물공학분원 * 산림과학분원 * 건설건재분원 * 석탄과학분원 * 수산과학분원 * 경공업과학분원 * 철도과학분원 * 수리해양과학분원 * 함흥분원 [* 북한에서 '화학공업도시'로 알려진 함경남도 함흥시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의 전설적인 과학자였던 '주체섬유 비날론의 아버지' [[리승기]]박사가 생전에 원장으로 재직하였다.] == 연혁 == * [[1951년]] [[12월 1일]] : 국가과학원 설립 * [[1998년]] [[9월]] : 기관 명칭을 '과학원'으로 변경 * [[2005년]] [[11월 23일]] : 국가과학원으로 재변경 === 역대 원장 === [include(틀:역대 북한 국가과학원장)] ||<#005500> {{{#ffffff '''성명'''}}} ||<#005500> {{{#ffffff '''임기'''}}} ||<#005500> {{{#ffffff '''비고'''}}} || || [[백남운]] || [[1951년]] ~ [[1961년]] || || || [[강영창]] || [[1961년]] ~ [[1965년]] || || || [[강영창]] || [[1965년]] ~ [[1967년]] || || || [[오동욱]] || [[1967년]] ~ [[1972년]] || || || [[정준기]] || [[1982년]] ~ 1983년 || || [[김경봉]] || [[1986년]] ~ 1994년 || || 김길연 || [[1994년]] ~ 1997년 || || || [[리광호]] || [[1997년]] ~ [[2002년]] || || || [[변영립]] || [[2002년]] ~ [[2009년]] || || || [[장철(1961)|장철]] || [[2009년]] ~ [[2019년]] || || || 김승진 || [[2019년]] ~ (현재) || || == 여담 == * 이곳에서 근무했던 [[북한이탈주민]] [[김주성(탈북자)|김주성]] 씨가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에서 증언한 바에 따르면, 2002년 김정일이 '자력갱생'을 각 사업소에 지시하자 국가과학원에서는 남는 컴퓨터를 이용해 PC방 사업을 했다고 한다. [[분류:북한의 국가행정조직]][[분류:195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