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온성군 출신 인물]][[분류:1892년 출생]][[분류:1937년 사망]][[분류:건국포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구철성}}}'''[br]'''具哲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철성 독립운동가.jpg|width=100%]]}}} || ||<|2> '''출생''' ||[[1892년]] [[2월 25일]] || ||[[함경북도]] [[온성군]] || ||<|2> '''사망''' ||[[1937년]] [[12월 26일]] (향년 45세)|| ||[[러시아]] [[연해주]] || || '''직업''' ||독립운동가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당시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재러 사회주의 계열의 한인 독립운동가. 2006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구철성은 1892년 2월 25일 함경북도 온성에서 태어났다. 구철성은 1920년 3월 북로군정서에 가입하여 군자금모집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1920년 말 러시아로 건너가 대한의용군에 배속되었다. 이후 일본을 상대로 무장투쟁을 이어가려고 하였으나 1921년 6월에 일어난 [[자유시 참변]]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후 1923년 11월말 레닌그라드에 있는 국제군사학교에 입학하였으며 2년간 재러한인들과 함께 군사학 등의 학문등을 배우게 되었다. 졸업 후 라즈돌노예에 있는 제2네르친스키부대에서 근무하였으며, 1929년경에는 러시아의 추카노보에서 보병 중위로 부임하여 일본을 상대로 교전을 벌이게 되었다. 1937년 구철성은 일제에 정보를 넘긴 스파이라는 혐의로 러시아 태평양함대 내무인민부 합동국가보안부에 의해서 체포되었다. 결국 그 해 11월 17일 내무인민위원부 3인위원회에 의해 총살형을 선고받았으며 12월 26일에 순국하였다. 이후 1957년 9월 27일 태평양함대 군재판소는 그를 복권시키기로 결정하였다.[[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95300371&localCode=cis&menuGbn=category&searchCnd=%EA%B0%80&parentName=%ED%95%9C%EA%B8%80%ED%95%AD%EB%AA%A9%EB%AA%85&categoryName=%ED%91%9C%EC%A0%9C%EC%96%B4|세계한민족문화대전]]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2006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