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회민주주의)] [목차] {{{+2 '''[[構]][[造]][[改]][[革]][[論]]'''}}} == 개요 == 1960년대 초 [[일본사회당]] 내 [[개량주의]]적 정치담론. 1960년 일본 총선 시기부터 [[에다 사부로]]는 [[우파사회당]] 진영의 대표 인물로써[* 정작 에다 사부로 본인은 사회당 분열기에 [[좌파사회당]] 소속이었다.] 구조개혁론을 일본사회당의 주된 정책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노농파 마르크스주의와 혁명적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사회주의 협회 등을 비롯한 좌파사회당의 강력한 반발을 샀다. 일본 내에서는 '구조개혁론'보다는 단순하게 '구조개혁'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에다 비전 == 1962년에 에다 사부로는 구조개혁론을 구체화하여 에다 비전(江田ビジョン)을 제시했는데 그는 사회당 집권시 일본이 목표로 삼을 미래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제시하면서 이것들을 종합적으로 조정하여 나아갈 때 대중과 연합한 사회주의가 탄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미국]]의 평균적 생활 수준 * [[소련]]의 철저한 생활 보장 * [[영국]]식 [[의회민주주의|의회제 민주주의]] * [[일본국 헌법]]의 [[평화헌법|평화주의]] 한마디로 의회 투쟁을 통한 개혁으로 사회주의를 점진적으로 추구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민주사회주의]]적 [[사회민주주의]]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 좌파의 구조개혁론 == 일반적으로 구조개혁론은 에다 사부로의 구조개혁론을 말한다. 그러나 한편 [[나리타 도모미]] 같은 구조개혁론 좌파도 존재했다. 이들은 "투쟁하는 구조 개혁"을 지지했으며 외교적으로는 친중파적인 성격을 보였다. [[마르크스주의]]를 완전히 버린 에다의 구조개혁론과 달리 나리타의 구조개혁론은 마르크스주의를 사수하였다. 그래도 구조개혁론을 주장하던 이 시기까진 혁명적 사회주의보다는 [[민주사회주의]]에 더 가까웠었다. == 한계 == 구조개혁파를 결성한 당내 우파인 카와카미파와 와다파, 당외 우파인 민사당 니시오 스에히로 중앙집행위원장을 필두로 중도~우파층에게 고른 지지를 받았으나 사사키파를 필두로 한 당내좌파의 격렬한 반대로 인한 당내 투쟁의 염증의 결과로 1969년 중원선에서 140석의 의석에서 90석으로 추락하고 에다는 중앙집행위원장 선거에서 낙선하게 된다. 결국 구조개혁파 출신의 사회당 위원장이였던 [[나리타 도모미]]마저 좌파에게 포섭되었다. 이후 사회당은 한동안 [[혁명적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사회당 좌파]]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 둘러보기 == * [[일본사회당]] * [[우파사회당]] * [[에다 사부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사회당(1945년), version=330 , paragraph=2.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리타 도모미, version=18 , paragraph=2.4)] [[분류:일본사회당(1945년)]][[분류:사회민주주의]][[분류:일본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