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구자욱)] [include(틀:구자욱의 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 소속 외야수 [[구자욱]]의 선수 경력을 모아 놓은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자욱대구본리.jpg|width=100%]]}}}|| || '''대구 본리초등학교 재학 중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5Gz3Kv.jpg|width=100%]]}}}||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000000 '''대구고'''}}}]] 재학 중 청소년 국가대표 시절''' || || || 타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총안타 || 2루타 || 3루타 || 타점 || 도루 || 희타 || 희비 || 4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OPS || || 2010년 || 0.183 || 16 || 74 || 60 || 9 || 11 || 2 || 1 || 8 || 8 || 0 || 1 || 13 || 12 || 0 || .250 || .324 || .574 || || 2011년 || 0.444 || 18 || 77 || 54 || 22 || 24 || 3 || 5 || 21 || 11 || 1 || 5 || 17 || 9 || 0 || .685 || .539 || 1.224 || || 통산 || 0.307 || 34 || 151 || 114 || 31 || 35 || 5 || 6 || 29 || 19 || 1 || 6 || 30 || 21 || 0 || .456 || .433 || .88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SS6XgVsr-8)]}}}|| || ▲ 2011년 8월 1일 청룡기(대구고 vs 충암고) || 컨택 능력이 좋고 선구안을 갖추고 발도 빨라 1번이나 3번 타자로 활약하며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1년 제9회 아시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 국가대표에도 선발되었다. 원래는 [[투수]]를 꿈꿨으나 고등학교 때 [[입스]]가 찾아와 힘든 시간을 보냈고, 야구도 관둔 적도 있었다. 그러나 교복을 입고 수업을 들을 때 교실에서 보이는 야구장을 볼 때마다 다시 뛰고 싶다는 마음이 자주 들었다고 한다. 다시 이를 악물고 투수로 시작했는데, 시합에서 유야무야 대타도 아닌데 갑자기 "니 쳐봤제? 준비해 준비해"하며 공을 치라고 해서 타석에 나가 2루타를 쳐냈다. 그 이후 "니 내일부터 바로..."하며 야수로 쭉 활약하게 된다. 원래 외야수였다는 근거없는 낭설이 떠돌았으나 "고등학교 때 외야를 본 적이 거의 없었다"고 직접 밝혔다. 실제로 고교야구 기록을 찾아보면 구자욱이 참여한 모든 공식시합의 기록에 [[3루수]] 출장으로 나와 있다. 2012 신인드래프트에서 2라운드(전체 12번)에 연고 팀이라 할 수 있는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었다. 이 당시 체격은 189cm, 75kg. 키에 비해 마른 체구로 프로필상 같은 팀의 [[조현근]]보다도 더 마른 체격이었기에 어느 정도 체중을 불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저 체격 때문에 구자욱은 더 하위 라운드에서 뽑는다는 말이 있었으나, 당시 삼성 라이온즈 고문직을 지내고 있던 [[김응용]]이 삼성 스카우트들을 갈군 끝에 상위 라운드에서 뽑았다고 한다. == [[삼성 라이온즈]] == === 2012시즌 === 시즌 초반 2군 주전 3루수 [[김정혁]]이 부상으로 장기간 결장하며 운 좋게 [[김정혁]]의 3번 3루수 자리를 그대로 물려받았다. 0.288의 타율로 고졸 신인치곤 그럭저럭 쓸만한 타격감을 보여주었고 중심 타선에서 25개의 도루를 했다는 것은 고무적이었지만, 고교 때 좋은 선구안을 가졌다는 평과 달리 볼넷/삼진 비율이 나빴다. 시즌 중에는 출장 경기수보다 삼진 개수가 더 많을 때도 있었다.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시즌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 입대하게 되었다. 훈련소를 마치고 3, 4달만에 배팅을 치는데 배팅볼에 헛스윙할만큼 감을 잃었고 그 모습을 발견한 감독이 '아무것도 하지말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스윙만 돌려라'고 지시해 단체운동을 하지 못할 정도였다. 처음에는 스스로가 생각해도 진짜 못했다고 회상하며 그 당시 감독님이 매일같이 "쟤는 도대체 누가 뽑아왔냐고" 불평했다고 한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예전의 모습을 되찾아갔다. 2013년에는 3번이나 5번 타자로 출장했다. 시즌 중반에는 3할 중반대의 타율을 기록했지만 시즌 후반 부상으로 결장하면서 0.301의 타율로 시즌을 마쳤다. 그래도 장타율이 늘었고 볼넷/삼진 비율도 꽤나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2013 시즌 말 동아시아컵에 상무-경찰청 연합팀의 일원으로 출전했는데, 거기서 좌익수로 전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애시당초 입단 당시의 플랜이 외야수로의 전향이었고, 상무에 [[하주석]] - [[오선진]]이 입단하면서 내야수가 확충된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2014년에는 1루수로 주로 나오면서 우익수와 [[지명타자]]로도 나왔는데, 삼성에서 요청온 것은 아니고, 본인이 3루를 부담스러워 하기에 코칭스태프에서 편하게 타격할 수 있는 코너나 지타로 쓰다 보니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다고. 일단 3루 연습도 하고 있다고 한다. 자세한 포지션은 삼성에 복귀해야 알 수 있을 것이다. 0.357의 타율로 타율 1위를 하며 남부리그 타격왕을 수상했다. 남부 리그서 [[조평호]]와 단 둘밖에 없는 OPS 9할, 3-4-5 슬래시라인 돌파에 성공. 또한 10kg 가량 몸을 불리면서 86kg까지 찌웠다. U-21 야구 월드컵에 참가해서 4할이 넘는 타율과 6번의 도루를 기록하며 절정의 타격감을 보여주었다. 도루왕 타이틀을 차지한 것은 덤. 이 대회서는 2루수와 중견수로도 나왔는데(상무에서는 1,3루,좌익,우익으로만 나오고 중견을 본 적은 없었다), 14시즌에 투수, 포수, 유격수를 제외하면 모든 포지션을 나온 셈이다. U-21 감독을 맡았던 [[이정훈(1963)|이정훈]] [[한화 이글스]] 2군 감독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18&article_id=0003155406|탐을 내기도 했으나]] 삼성이 일찌감치 [[트레이드]] 불가 선수로 막아버려서 영입에 실패했다. 이후 팀에 합류하면서 '''만 22세'''에 군필 1군 선수가 되었다. 재능 있는 선수들이 보통 군 입대를 최대한 미루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어린 나이에 군필이 된 것이다. === [[구자욱/선수 경력/2015년|2015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자욱15.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15년)] || >'''즉 구자욱은 한국 프로야구에서 30년 전에 멸종했다가 나타난 슈퍼 유틸리티 플레이어인 겁니다. 그리고 위에 등장한'''[* 여기서 언급된 선수는 [[김무관]], [[이광은]], [[박용근]], [[서동욱]]] '''모든 전천후 타자 선배들보다 월등한 타격 실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 이성훈 SBS 기자([[SBS Sports]] 주간야구 8월 3일 방송분 [[https://tv.kakao.com/channel/2092/cliplink/69932730|구와 숫자들 - 구자욱 '다재다능함'의 가치]]) '''현 삼성을 이끄는 프랜차이즈 스타의 충격적인 데뷔, 강렬한 임팩트를 보이며 그야말로 리그 일대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 [[구자욱/선수 경력/2016년|2016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구자욱.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16년)] || 소년 가장으로서 '''자욱 라이온즈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팀 승리에 엄청난 기여를 했다.''' 부상으로 한달 가량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소포모어 징크스]] 없이 팀을 이끌어내며 훌륭한 성적을 거뒀으나 시즌 막판에 체력문제로 인해 페이스가 떨어져 타율왕 도전에 미끄러진 것이 유일한 아쉬움으로 남았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9월까지 [[최형우]], [[김태균]]과 1~5리의 미세한 차이로 수위타자 싸움을 펼쳤으나 막판의 부상 여파로 타율이 전체 6위까지 떨어져버렸다. 반면 경쟁자였던 [[최형우]]와 [[김태균]]은 페이스를 유지하며 그대로 타율 1, 2위를 차지했다.] === [[구자욱/선수 경력/2017년|2017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자욱.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17년)] || 거포로의 변신을 시도한 첫 시즌. 타율은 깎였지만 데뷔 첫 '''20홈런과 100타점'''을 달성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앞선 두 시즌에 비해 전 경기 선발출장까지 달성하면서 '''내구성에 문제가 없다'''는 걸 증명했다. === [[구자욱/선수 경력/2018년|2018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8자욱.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18년)] || 3년 동안 붙어다녔던 정신적, 기술적 스승인 [[이승엽]] 없이 보내는 첫 시즌이다. 시즌 초반 부상으로 장기간 결장한 뒤 부진을 겪으며 힘들었지만, 초반 부진을 딛고 일어서서 후반기에 '''놀라운 각성을 이뤄내며 2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하였다.''' === [[구자욱/선수 경력/2019년|2019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욱밥.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19년)] || 겨우내 [[벌크업]]을 하여 10kg 이상 몸무게를 불려 90kg까지 늘렸지만, 정확도에 이상이 생기며 성적이 대폭 나빠졌다. 이 시즌이 리그 전반적으로 [[투고타저]]였음을 감안해도 2022 시즌과 함께 구자욱 커리어에서 가장 부진했던 시즌으로 평가받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자욱, version=1033)] === [[구자욱/선수 경력/2020년|2020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oostar.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20년)] || 시즌 초 다시 '''똑딱 스윙을 부활시키며''' 높은 타율을 기록하다가 6월 들어 다시 부진하며 타율을 많이 깎아먹었다. 심지어 팀이 반등해야하는 시기에 부상이 자주 찾아온 탓에 누구보다 아쉬운 시즌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반기 들어 본인의 타격 스타일을 확립했고, 주루 센스도 개선되면서 내년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 [[구자욱/선수 경력/2021년|2021시즌]]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20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21)}}}''']]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5|[[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21 KBO 리그 득점왕}}}'''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맛자욱.jpg|width=100%]]}}}|| || {{{#white [[삼성 라이온즈/2021년/9월#s-11.2|{{{#white 9월 22일 사직 롯데전}}}]]에서 '''데뷔 첫 20-20'''을 달성하는 구자욱의 모습.}}}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21년)] || 롤러코스터 기질로 인하여 비율 스탯은 본인의 커리어 평균 이하이지만 부상 없이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루 스킬 향상,[* 이전까지 구자욱은 빠른 발 대비 주루 스킬이 떨어져 도루자가 많다는 이미지였으나, 2021시즌에는 도루자가 월등히 줄어들며 주루에서 기여도가 높아졌다.] '''리그 득점왕''' 및 개인 한 시즌 최다 홈런도 기록하는 등 좋은 누적까지 쌓은 시즌이다. 게다가 6년만에 가을야구를 경험했으며 '''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까지 수상했으니 그야말로 구자욱에게는 많은 것을 이룬 시즌. ==== [[비FA 다년계약]] ==== 벌써부터 '''2023년 FA 최대어'''로 평가받았는데,[* 2022년과 달리 2023년은 FA 경쟁자가 적은 편이다. [[박건우]]가 NC로 옮기면서 6년 100억 계약을 맺었으니, 구자욱도 꽤 큰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 삼성 팬들 또한 박해민은 서울 출신이라 언젠가는 팀을 떠날 줄 알았다며 수긍하였지만, 구자욱은 대구 토박이여서 2020년 연봉협상에서 못 다해준 대우를 FA에서 톡톡히 해주라는 반응이 많다.[* 만약 구자욱을 놓치게 되면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두산 베어스|이 팀]]은 그래도 팀의 상징으로 자리잡은 화수분 시스템 덕에 FA 유출이 일어나도 매년 포스트시즌에는 어찌어찌 진출하지만, 삼성의 대구 팜은 서울 팜에 비해서 질과 양 모두 부족하므로 팀의 중심을 잡아줄 스타가 꼭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2010년대 들어서는 지방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올라가는 현상이 심화되어 삼성같이 육성, 재활 시스템이 충실히 갖춰진 구단이라도 구자욱 같은 스타를 자체적으로 키워내기는 매우 힘들다. 2년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2명을 내준다는 것에 삼성 팬들은 엄청난 분노와 프런트에 대한 배신감을 느끼고 팀을 바꾸거나, 아예 야구를 안 볼 지경까지 갈 수 있다. 삼성 팬들은 오버페이를 하더라도 구자욱 만큼은 무조건 잡아야 한다는 반응이며 심지어는 '''8년 200억''' 주고 은퇴식까지 시키라는 의견까지도 나오는 상황.] [[채은성]]의 1루 전환, [[한유섬]]의 장기계약 등 여러 변수가 생기면서 외야수 FA 중 구자욱 외에 마땅한 매물이 없는데다 고졸 FA 취득 조건이 8년으로 바뀐 조항의 첫 수혜를 받으며, 나이도 20대 후반으로 나이 면에서도 굉장한 메리트가 있다. 이러면서 벌써 시즌 시작 전부터 FA 최대어로 떠올라 많은 팀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자욱계약.jpg|width=100%]]}}}|| 2022년 2월 3일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5년 120억의 비FA 다년 계약'''에 합의하며 FA 시장까지 가지 않고 삼성에 남게 되었다. 다른 비FA 다년계약 선수들의 계약금액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거액이지만, 같은 해 FA를 맞아 100억을 넘긴 [[나성범]], [[박건우]],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등과 비교해보면 비싼 금액도 아니다. 무엇보다도 30대를 넘긴 이 셋에 비해 나이가 아직 20대 후반으로 어리다 보니 6년을 넘는 장기계약 등 더 큰 규모의 계약이 가능했을 것이라 예상되었기에 뜻밖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프랜차이즈였던 [[박해민]]에게 LG가 거액의 투자를 하면서[* 삼성은 쓸 때는 확실하게 쓰고, 안쓸 때는 또 안쓴다는 공식이 또 들어맞았다. 애초에 박해민은 이길 수 없는 싸움이었으니... 같은 유형의 타자. 리드오프, 중견수, 수비와 주루가 리그 탑급인 [[정수빈]]의 계약을 생각해보자.] 구자욱의 계약에 대한 의구심도 계속됐던 상황이라 삼성팬들은 환호성을 지르는 상황이고, 희망을 품고 있었던 다른 팀 팬들, 특히 [[손아섭]]을 빼앗긴 롯데 자이언츠 팬들과 외야진이 처참한 한화 이글스 팬들은 마치 자기 팀 선수가 이적한 것마냥 실망했다.[* 특히 한화 이글스 팬들의 허탈과 분노는 극에 달한 상황이다. 당장 올시즌 외야 최대 FA였던 [[박건우]]와 [[나성범]]은 물론 가성비 매물로 노려볼법 했던 [[손아섭]], [[정훈]]을 찔러보지도 않고 철수함은 물론이고 안그래도 외야진이 처참한 상황인데 외야 FA를 잡으려고 노력도 하지 않고 리빌딩 언플을 시전대는 프런트에게 극렬하게 분노에 다다른 상황이었다. 그나마 한화 프런트로서는 내년에 외야 FA로 나올 예정이었던 [[구자욱]]과 [[한유섬]]을 염두에 두고 했던 존버였던 것 같은데 그 둘 다 매물로 나오기 전에 다년 계약을 하는 바람에 한화 외야진은 그야말로 긁어볼 만한 카드마저 사라지고 만 셈.] 또 이 계약으로 구자욱의 삼성에 대한 애정이 적나라하게 확인되었다. FA를 고작 1년 앞둔데다 2022시즌 스토브리그에서 여러 선수들이 거액을 챙긴 것을 눈앞에서 본 상황에 욕심이 생기지 않을수가 없는데[* 심지어 외야수 매물이 꽤 많았던 2022 시즌 스토브리그와 달리 2023 시즌 스토브리그에는 [[한유섬]]이 먼저 다년 계약을 해버린 탓에 거물급 외야수가 구자욱 하나밖에 없었다. 만약 다년계약을 하지 않고 그대로 FA시장에 나왔다면 엄청난 금액이 오갔을 거라는게 중론이다.] 그걸 포기하고 삼성과 일찌감치 다년 계약을 맺었다는 것은, 본인도 삼성에 남고싶은 의지가 강했던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심지어 FA가 아닌 원소속팀과 다년 계약이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계약금(사이닝 보너스)도 받을 수 없다.''' 물론 그만큼 연봉 총액이 높은데다 첫 해 연봉이 25억으로 몰빵되어 있기 때문에 계약금에 준하게 맞춰준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보통 고액 FA의 경우 계약 총액의 40% 정도가 연봉이 아닌 일시불로 지급받는 계약금이라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저렴한 셈이다.] 이때문에 삼성 팬들의 구자욱에 대한 민심은 그야말로 절정에 다다랐다.[* 어느 정도냐면, 구자욱의 다년계약 소식을 들은 삼성 팬들이 바로 구자욱 유니폼 사러간다는 반응이 많으며 마침 삼성도 이걸 노린 건지 그동안 나왔던 유니폼들의 할인이 들어갔다.] 심지어 이후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340961|인터뷰]]를 통해 FA신청 없이 다년계약만으로 계속 팀에 남고 싶다는 발언까지 하는 등 그야말로 삼성에 뼈를 묻을 기세다. 이렇듯 계약 당시까지만 해도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나오고,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 등 삼성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뼈를 묻는 레전드가 될 기세였으나... === [[구자욱/선수 경력/2022년|2022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개객기.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22년)] || '''개인 최악의 커리어로우 시즌.''' 2022 시즌 팀을 하위권으로 떨어뜨리고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를 만든 주범들 중 하나가 되었다. 예전에 비해 클러치 능력, 장타력, 출루율, 컨택 모든 것이 크게 하락했고 부상으로 장기 결장하면서 사실상 팀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 [[구자욱/선수 경력/2023년|2023시즌]]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20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2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wkoo23.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23년)]''' || 작년의 커리어로우와 먹튀는 온데간데 없고 마침내 홈런에 대한 욕심을 버리며 컨택에 집중한 신인 시절 타격폼으로 회귀하면서 리그 '''타율 2위''', '''OPS 3위''', '''wRC+ 150'''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게다가 작년에는 승부처에서 특히 더 못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올해는 오히려 클러치 성적이 더 좋아서 왜 삼성이 자욱 라이온즈라는 말을 듣는지를 증명해냈다. 또한 [[오재일]]을 대신하여 구자욱이 주장을 달면서 이뤄낸 업적이라 개인으로서도 만족할 만한 시즌이었다. 시즌 후 개인 통산 두 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며 2021년 이후 '''커리어하이''' 시즌이자 리그 탑급의 외야수임을 다시 한번 증명해냈다. === [[구자욱/선수 경력/2024년|2024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wkoo24.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자욱/선수 경력/2024년)] || == 국가대표 경력 == 기록하는 성적에 비해 국가대표 경력이 가장 적은 외야수 중 한 명으로 [[박용택]], [[최형우]] 등과 함께 반드시 언급된다. 일단 국가대표 시즌마다 대체로 부진한 것은 물론, 유일한 국가대표 출전경기였던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도 극도로 부진했으며 대체 외야수가 많기에 국가대표 선발은 거의 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구자욱은 1군 데뷔 전 일찌감치 병역을 해결했기에 병역특례 목적으로 선발될 일이 없었다.[* 앞서 언급된 [[박용택]]과 [[최형우]]도 비슷한 경우다. 박용택은 아마추어 시절 턱 부상으로 인한 병역면제자였고, 최형우는 방출된 후 [[경찰 야구단]]에 입대해 군 문제를 해결했기에 구자욱과 마찬가지로 병역특례 목적으로도 선발될 이유가 없었다. 다만 22세 시즌부터 1군에서 맹활약한 구자욱과 달리 박용택과 최형우의 전성기는 다소 늦게 시작된 편이었다.]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시즌 후 11월 4일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7]]을 앞두고 U-24 [[선동열호|대표팀]]에 합류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4/2017110401042.html|기사사진]]이 공개되었는데... 삼팬들은 구자욱도 결국 [[삼적화]]되었다고 안타까워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654703|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7 선동열호의 대표팀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등번호를 원래 달던 65번이 아니라 자신이 존경하는 [[이승엽]]의 36번을 달고 출전하기로 하였다. 소속팀에선 당연히 [[KBO 영구결번|평생 달 수 없는 번호]]여서 대표팀에서라도 꼭 달아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허락을 받으려고 미리 [[이승엽]]에게 연락을 했는데 '''안 달면 가만 안 둔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1차전에서 처음에는 잘 때린 타구가 잡히는 등 아쉬운 모습이었으나 끝내 무안타로 침묵하였다. 2차전에서도 무안타로 침묵하며 10타수 무안타를 기록했으며 결승전마저 4타수 무안타를 기록해 대회 12타수 무안타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당연히 [[함덕주]], [[김윤동]]과 함께 이번 대회를 말아먹은 역적이 되어 엄청나게 욕을 먹었다. 팀의 중심타자가 이렇게 최악의 성적을 냈으니 U-24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성적도 당연히 좋을리가 없었다. 결국 [[대한민국]]은 [[일본]]과 만난 2경기에서 모두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 수상 경력 == === [[KBO 리그|KBO]]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width=300]]}}}[br] || ||<-2><#002461> '''{{{#fff 구자욱의 KBO 수상 경력}}}''' || || '''[[구자욱/2015년|2015]]''' || '''KBO 신인왕'''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16년|2016]]'''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17년|2017]]'''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18년|2018]]''' || 드림 올스타^^(감독추천)^^ || || '''[[구자욱/2019년|2019]]'''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21년|2021]]''' ||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 '''득점 1위'''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22년|2022]]'''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구자욱/2023년|2023]]''' ||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 드림 올스타^^(베스트12)^^ || === 국가대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0]]}}} || ||<-2><#09539d> '''{{{#fff 구자욱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 '''2017'''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 기타 === ||<-2> '''{{{#fff 구자욱의 기타 수상 경력}}}''' || || '''[[구자욱/선수 경력/2015년|2015]]''' || 일구상 신인상[br]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올해의 신인선수상[br]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br]카스포인트 어워즈 최우수 신인상 || || '''[[구자욱/선수 경력/2018년|2018]]'''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헤포스상 || || '''[[구자욱/선수 경력/2021년|2021]]''' || 마구마구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부문 || == 연도별 주요 성적 == * '''{{{#blue,#0000ff 푸른 글씨}}}'''는 KBO 최다,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19>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구자욱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WAR* || || 2012 ||<|12> [[삼성 라이온즈|삼성]] ||<-17> 1군 기록 없음 || || 2013 ||<|2><-17>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14 || || 2015 || 116 || 465 || 143 || 33 || 5 || 11 || 97 || 57 || 17 || 45 || 79 || '''.349'''[br](3위) || .417 || .534 || .951 || 148.4 || 4.99 || || 2016 || 108 || 495 || 147 || 19 || '''{{{#red 13}}}'''[br](1위) || 14 || 105 || 77 || 10 || 55 || 68 || .343 || .420 || .547 || .967 || 142.5 || 3.96 || || 2017 || '''{{{#red 144}}}'''[br](1위) || 647 || 175 || '''39'''[br](3위) || '''{{{#red 10}}}'''[br](1위) || 21 || '''108'''[br](5위) || 107 || 10 || 63 || 138 || .310 || .383 || .527 || .910 || 130.6 || 4.96 || || 2018 || 116 || 529 || 159 || 26 || 2 || 20 || 100 || 84 || 10 || 43 || 110 || .333 || .392 || .533 || .926 || 131.9 || 3.91 || || 2019 || 122 || 526 || 127 || 27 || 6 || 15 || 66 || 71 || 11 || 38 || 88 || .267 || .327 || .444 || .771 || 107.6 || 1.95 || || 2020 || 118 || 510 || 137 || 27 || 2 || 15 || 70 || 78 || 19 || 51 || 91 || .307 || .385 || .478 || .863 || 126.6 || 3.38 || || 2021 || 139 || 610 || 166 || 30 || '''{{{#red 10}}}'''[br](1위) || 22 || '''{{{#red 107}}}'''[br](1위) || 88 || '''27'''[br](4위) || 48 || 98 || .306 || .361 || .519 || .881 || 134.0 || 5.01 || || 2022 || 99 || 442 || 120 || 23 || 3 || 5 || 69 || 38 || 11 || 27 || 84 || .293 || .340 || .401 || .741 || 107.1 || 1.91 || || 2023 || 119 || 515 || 152 || '''{{{#red 37}}}'''[br](1위) || 1 || 11 || 65 || 71 || 12 || 53 || 81 || '''.336'''[br](2위) || '''.407'''[br](2위) || '''.494'''[br](4위) || '''.902'''[br](3위) || '''153.2'''[br](5위) || 4.78 || ||<-2> '''[[KBO 리그|KBO]] 통산'''[br](9시즌) || 1081 || 4739 || 1326 || 261 || 55 || 134 || 787 || 671 || 127 || 423 || 837 || .315 || .381 || .499 || .880 || 131.6 || 34.85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구자욱, version=1169, paragraph=7)] [[분류:구자욱/선수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