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DL그룹|[[파일:대림문화재단 흰색 로고.svg|width=25]] {{{#fff 대림문화재단}}}]]''' || || [[대림미술관|[[파일:대림미술관 로고.svg|width=100%]]]] || [[디뮤지엄|[[파일:디뮤지엄 로고.svg|width=100%]]]] || [[구슬모아당구장|[[파일:구슬모아당구장 로고.svg|width=100%]]]] || ||<-2> '''{{{+2 {{{#046738 구슬}}}{{{#bf1d2c 모아}}}{{{#203f99 당구장}}}}}}[br]D Project Space''' || ||<-2> [[파일:구슬모아당구장 로고.svg|width=100%]] || || '''개관일''' ||[[2012년]]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길 17 D타워 126호 || || '''영업 시간''' ||오전 11:00 ~ 오후 8:00 || || '''문의''' ||T. 070-4457-1016 || || '''링크''' ||[[https://daelimmuseum.org/|[[파일:대림문화재단 로고.svg|width=25&theme=light]][[파일:대림문화재단 흰색 로고.svg|width=25&theme=dark]]]] [[https://www.facebook.com/daelimmuseum/?ref=page_intern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daelimmus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DaelimMuse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두에게 열린 소통과 창작의 공간.''' >---- >- 구슬모아당구장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미술관]].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SoH3EW6bV4)]}}} || ||<#fff> '''[{{{#046738 구슬}}}{{{#bf1d2c 모아}}}{{{#203f99 당구장}}}] '누구나 [[고환|구슬 두 개]] 쯤은 [[유방(신체)|품고 살잖아]]'''' || [[대림문화재단]]이 소유한 구슬모아당구장은 [[2012년]] [[한남동]]의 폐점한 [[당구장]]을 [[전시]] 공간으로 [[개조]]하면서 탄생한 미술관이다. [[설치미술]]부터 시작해 [[미디어]] [[아트]], [[음악]], [[패션]],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전시를 선보이며 [[인기]]와 [[인지도]]를 얻고 있다. [[2017년]]에는 [[디뮤지엄]]과 가까운 위치로 확장 이전을 했으며 국내외 다양한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통해 더 다양해진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fec04bb41ae9bce5a30004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6970_209371_522.jpg|width=100%]]}}} || 최근 [[서울]]의 한가운데인 [[광화문 광장|광화문]]으로 이전해 더 넓은 전시 공간을 확보했다. == 운영 == 대림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대림미술관]]이나 [[디뮤지엄]]은 서로 운영 시간이 같지만 구슬모아당구장은 다르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하며 여러 미술관이 [[월요일]]에 휴관을 하는데 구슬모아당구장은 [[연중무휴]]다. 그리고 웬만한 전시는 다 [[무료]]로 진행하고 있다. --야호!-- [[플래시]], [[삼각대]] 및 [[셀카봉]]을 이용한 [[촬영]], 상업적 용도의 촬영, [[동영상]] 촬영이 불가하다. == 전시 == ||
'''{{{#046738 년도}}}''' || '''{{{#bf1d2c 아티스트}}}''' || '''{{{#203f99 전시명}}}''' || '''비고''' || || 2012년 || 구슬모아당구장 선정작가 10팀[* 길종상가, 김소현 x 이윤정, 박진택, Cy Choi, AnLstudio, 유희경, 장성은, 정소영, 조웅, FACE가 참여했다.] || 10 Young Creators || 개관전 || ||<|11> 2013년 || AnLstudio || DISSOLVE || || || Cy Choi || 두 개의 그림자 - Deux Ombres || || || 유희경 || 당신의 자리 - 나무로 자라는 방법 || || || [[정소영]] || 움직이지 않고 여행하기 || || || 길종상가 || 네(내) 편한세상 || || || 유희경 || 띄우다 - 떠올라 그리고, 멈추다 || || || 박진택 || (e)Motion Space || || || 김소현, 이윤정 || halfmade || || || 유희경 || 소리를 읽다 || || || [[조웅]] || 보따리 || || || [[장성은]] || LOST FORM || || ||<|7> 2014년 || 남상원 || 소리의 풍경 || || || Festival Bo:m || Festival : Bom || || || 오혜진 || Walk in The DOCUMENT || || || 베리띵즈(VERYTHINGS) || Curious Kitchen || || || [[김종범]] || LIFECYCLE SHOW || || || [[남궁선]] || Digressive Cinema || || || 권용주 || 연경(Tying) || || ||<|8> 2015년 || 무나씨 || 정말이지너는 || || || 빠키 || 불완전한 장치 || || || 진달래, 박우혁 ||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 || || 제로랩 || 사선에 대하여 || || || 김미수, 김영준 || 있음과 없음 || || || 조규형 || 그림 서체 - 키보드 장단에 변신하는 한글 || || || 계한희 || THE SPACE COLLECTION || || || 오민 || TRIO || || ||<|5> 2016년 || [[신모래]] || ㅈ.gif - No Sequence, Just Happening || || || 남현범 || Look Good || || || 코우너스 || 현장학습 Field Trip || || || AMQ || #4 - Subset || || || 와이크래프트보츠 || SCARFING || || ||<|3> 2017년 || ADER || WE ADER WORLD || || || 헨 킴 || 미지에서의 여름 || || || 최랄라 || 랄라 살롱 || || ||<|3> 2018년 || 티보 에렘 || 티보의 작업실 || || || MLH || EXIT, 또 다른 시작 || || || 마이큐(MY Q) || MIKE: 마이큐 || || ||<|2> 2019년 || 굿즈모아마트 || GOODS IS GOOD || || || 굿즈모아마트 || GOOD BUY || || || 2020년 || 굿즈모아선물의집 || GOODS FOR YOU || || [각주] [[분류:2012년 설립]] [[분류:대한민국의 공연장]] [[분류:대한민국의 전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