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한의 국가)] [목차] == 개요 == {{{+1 臼斯烏旦國}}} 《[[삼국지(정사)|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소개된 [[마한]] 54개국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에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 웅진도독부 기사에서는 구사진혜(仇斯珍兮)로도 표기되었다.]이라는 곳이 있었으며,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웅진도독부]]가 설치될 때는 귀단현(貴旦縣)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구사오(臼斯烏)와 구사(丘斯), 단(旦)과 진(珍)[* 삼국시대에 쓰인 [[고대 한국어]]에서 한자 진(珍)은 'ᄃᆞᆯ'이라고 읽혔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 지명에서 마돌현(馬突縣)과 마진(馬珍)이 대응되며, 《[[일본서기]]》에서도 [[신라]]의 관직명 [[파진찬|파진간기]](波珍干岐)를 '바도리간기(ハトリカンキ)'로 훈독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ᄃᆞᆯ'은 한자 단(旦)으로 음차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고구려]]의 지명 파단현(波旦縣)이 해곡현(海曲縣)으로 개칭되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바다를 뜻하는 지명어 '파단'을 도출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파진간기 역시 해간(海干)이라는 이표기가 있으므로 '파단(波旦)'과 '파진(波珍)'이 서로 대응된다.][* 무엇보다 구사진혜를 축약 표기한 것으로 보이는 귀단(貴旦)이라는 이표기에서부터 단(旦)이 나타난다.]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므로 구사오단국의 위치는 백제 구사진혜현이 있었던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에 비정된다. 일각에서는 백제의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과 연관지어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 비정하기도 하나, 《[[일본서기]]》와 교차 검증되는 마한 소국 목록의 나열 순서를 고려하여 구사오단국 대신 [[구소국]]을 정읍에 비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분류: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