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2651205.jpg]]승차장. 하차장은 사진에 가려져 있어서 보이지 않지만, 이 사진에서 보는 시선 기준으로 오른쪽에 이격되어 있다. == 개요 == {{{+1 Gumi Bus Terminal }}} / {{{+1 龜尾綜合터미널}}}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 72 (원평동)에 위치한 [[고속버스|고속]], [[시외버스]] [[버스 터미널|터미널]]. [[구미역]]에서 [[금오산]]네거리 방향으로 2km 정도 떨어져 있어서, 서로 가까운 거리는 아니다.[* 그래도 [[구미중앙로|도로 하나만 타면]] 바로 여기로 올 수 있다.] [[1985년]]에 개장하여 37년이 넘은 건물로, 내부 편의 시설은 부실한 편이다. [[매점]], [[식당]], [[인형뽑기]], 작은 커피숍 정도가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정도. 특이한 점으로는 한때는 1층에 [[장난감]] 가게가 있었다. --하지만 언제나 문을 닫고 있었다.-- 터미널 건물[* 기다리는 곳이 아니라 그냥 구조적으로 이어진 건물]에도 몇몇 식당, 가게, 간호학원 등이 입주해 있다. 매표소 입구와 버스 하차장이 많이 이격되어 있다. 이 터미널의 하차장에서 내려서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려고 승차장 쪽으로 들어가면 직원들이 안전을 위해 막아 세운다. 그래서 조금 돌아서 매표소 쪽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 터미널의 최고 주력 노선은 [[대구광역시]]행이다. 구미와 대구가 교류가 많은 만큼 운행횟수도 제일 많으며, 실제로 2019년 기준 대구광역시행이 48회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서울특별시]] 방면으로 42회였다. 지금은 서울특별시 방면이 30회가 넘고, 대구광역시 방면이 24회(금,토 28회) 밖에 안되어 지금은 서울 방면 버스가 제일 많다.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 [[서부정류장|대구서부]][* 안산, (인천) 혹은 청주발 경유지를 포함 구미에서 대구로 가는 모든 노선들은 중간에 공단동 공단(공단본부)매표소, 복지(주공)매표소에서 중간 승차한 후 [[남구미IC]]로 진입한다. [[서부정류장|대구서부]]방향 한정으로 [[용산역(대구)|용산역]] 간이정류장에 중간 하차한다. 반대의 경우도 중간에 이들 매표소에서 하차한다.][* 구미 - 구미공단, 구미복지간 구간승차가 가능하다.], [[안동터미널|안동]][* 하지만, [[안동터미널]]에서 수도권 방면 노선의 표를 끊으면 [[오산역환승센터|오산]]행 노선을 제외한 노선이 [[영주종합터미널|영주]]를 경유해서 [[중앙고속도로]]로 가는 표가 우선으로 나온다.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행 조차도 [[영주종합터미널|영주]] 경유와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점촌터미널|점촌]] 경유로 나뉘는데 예천, 점촌 경유가 20분 정도 더 걸리기 때문에 영주 경유가 우선으로 나온다. 덤으로 인천공항행은 영주발 수도권 노선중에 유일하게 [[풍기IC 터미널|풍기IC]]를 무정차통과하고 곧바로 [[풍기IC]]로 진입한다.]발 [[시외버스]] 노선의 중간 정류지인 경우가 많다. 광주로 갈 승객은 주의할 점이 있다. 경기도광주행과 광주광역시행이 나뉘는데, 둘을 잘 구분해야 한다. 발권시 운송업체에 KD 운송그룹이라고 뜨면 그건 경기도광주, 만약 코리아와이드 경북과 금호고속이라고 뜨면 그건 광주광역시행이다. 과거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노선은 학생의 경우 10,000원(성인 14,300원)으로 저렴[* 시외 면허인 [[동서울터미널|동서울]]-안동이 학생기준 12,000원이 넘는다. 성인은 16,500원.]하게 3시간 가량을 우등 차량으로 이동 가능한 나름 괜찮은 노선이였으나, 전환고속 노선이 되면서 학생할인도 사라지고 요금이 '''8000원이나 올랐다.'''[* 이전에도 [[시외버스 동대구-안동|동대구 ↔ 안동]], [[시외버스 동대구-영주|동대구 ↔ 영주]] 노선도 [[전환고속]]으로 면허가 바뀐 후 요금이 폭등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코리아와이드 경북]]도 일반고속 시간대에 우등을 운행하고 있으니 싸게 가려면 이것도 나쁘지 않다. 강원도 및 호남 방면 노선이 조금 부실하다. 특히 후술하듯 여순광으로 가기 매우 불편하다. 근데 정말 아이러니한 건, '''[[고속버스 서울경부-구미|구미]] 노선이 학생 할인이 된다.''' 우등고속 기준으로 17,600원 정도라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보다 정말 싸다.[* 2023년 3월 기준으로 요금이 19,400으로 인상되었다. 그럼에도 동서울 노선보다는 할인 메리트가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자.] 2016년 6월 14일 이후로 전환고속, 시외버스 노선은 [[https://txbus.t-money.co.kr/|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매시스템 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 단, 2016년 6월 기준 영남권은 예매가 되지 않는 지역이 많으므로 주의할 것. 현재는 영남권 행선지도 대부분 인터넷 예매도 가능하다. 그리고 2019년 3월에 요금이 올랐다. [[고속버스 서울경부-구미|구미]] [[고속버스]]가 성인 2,000원, 청소년 1,600원정도 올라서 성인 22,000원, 청소년 17,600원인 상태. 게다가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버스도 21,900원으로 올랐으니 [[무궁화호]]와 비교시 가격적 메리트가 적어진 셈. 2023년 3월 기준으로 서울경부 노선의 요금이 23,000원으로 인상되었다. 현재 동서울행은 [[선산터미널|선산]] 경유만 14,300원이나, 선산 경유가 운행중지되어 구미에서 서울로 가려면 눈물을 머금고 비싼 요금을 주고 버스를 타거나 열차를 이용해야 하는 현실이다. 이 터미널은 코리아와이드(특히 진안이 많이 들어온다.) 및 [[KD 운송그룹]] 이 두 회사의 사실상 독무대이며 실제로 구미터미널에 오면 이 두 회사의 버스를 질리도록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금아여행]][* 경주.포항행 및 하양-대구대-영천행. 2019년 11월 5일 부터 2020년 3월 10일 까지 김천행을 단독으로 운행한 적이 있으며, 더 오래전인 2018년 6월 27일 까지는 선산-상주-점촌행도 1회 배차했다.], [[동양고속]], [[중앙고속]] 순으로 많이 들어온다. 이 터미널의 들어오는 버스의 우등은 주말 기준으로 '''92.2%''', 일반은 7.8% 밖에 안된다. 평일에도 일반의 비중이 겨우 8%를 넘는 수준이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우등이 47.8% 일반이 52.2% 였는데, 코로나19 이후 일반이 사실상 전멸한 것이다. 우등차량으로 보면 우등이 '''94.6%''', 일반이 5.4%(...) 밖에 되지 않는다. 현재 일반은 청주행, 대구서부행, 상주-점촌-(문경-충주)(-예천-안동-봉화-춘양-울진행), 군위-의성-안동행, 대구공항행 밖에 없다. 이중 대구공항행은 한정면허로 요금이 비싸 일반으로 보기 애매하고 군위-의성-안동행 4회 정도로 겨우 버티고 있으며, 그 외에는 운행횟수가 1~2회 밖에 되지 않는다. 여담이지만 터미널 옆에 터미널 하나만한 공터(원평동 1073-2)가 있는데, 오래 전부터 공터였던 곳이다. 일단 지목은 [[버스 터미널]] 용도로 되어 있고 주차장으로 가끔 쓰이고 있으나, 터미널을 확장하려고 남겨놓은 건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180232|터미널을 신축할 계획이 있는 듯하다.]] 하지만 2020년 9월 현재까지도 계획만 있을 뿐, 실행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같은 경북인 [[영주종합터미널]]은 이미 신축된 것과는 비교된다. [[구미시]]는 이전부터 철도강세였기 때문에 운행이 중단된 행선지가 많다. * 수도권: 동서울(일반차량), 부천-고양, 운정-금촌-파주문산, 평택 * 강원권: 강릉-속초 * 충청권: 세종-세종청사, 대전복합, 대전청사-유성, 천안, 기지시-당진-서산 * 영남권: 대구북부, 김천, 김해공항, 거창, 진주 위의 행선지는 운행이 중지되어 대체교통편을 찾아야 한다. == [[고속버스]] 노선 ([[전환고속]], [[전환시외]]포함)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서울}}}''' || 일 24회 || [[동양고속]][br][[중앙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ffffff 황간}}}''' || 0:30 || ₩ 5,000({{{#0000ff 우등}}}) || ||<#002147> '''[[서울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울(경부)}}}]]''' || 3:00 || ₩ 23,0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40, 07:20}}}^^(황간 경유)^^, {{{#0000ff 08:00, 08:30, 09:05, 09:30, 10:00, 10:40, 11:20, 12:00}}}^^(황간 경유)^^, {{{#0000ff 12:40, 13:20, 14:00, 14:40, 15:10, 15:50, 16:20, 17:00}}}^^(황간 경유)^^, {{{#0000ff 17:30, 18:10, 18:40, 19:20, 19:50, 20:30}}}|| ||<-3><(>[[고속버스 서울경부-구미]] 참조. 황간면에서는 황간매표소에서 표를 사서 [[경부고속도로]]변 승차장으로 이동하여 승하차한다. 황간으로 발권하고자 하는 경우 고속버스모바일로 예매해야 한다. 홈페이지는 불가능하며 그 반대편은 발권 자체가 불가능하다. 황간→구미는 근처에 있는 황간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여야 한다. 황간역 시간대가 안 맞다면 [[황간버스정류장]]에서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가는 버스를 타고 환승을 해야하나, [[시외버스 거창, 김천-대전복합, 서울남부|황간에서 김천가는 버스]]가 2021년 10월 15일 부터 운행이 중지되었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경부선 철도와의 경쟁으로 막차가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구미역]]이나 [[김천(구미)역]]으로 가야 한다.|| }}} || ||<#002147> '''{{{#ffffff 동서울}}}''' || 일 12회(금 14회, 토,일 15회, 월 13회) || [[경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동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ffffff 선산}}}''' ||<-2> 발권불가 || ||<#002147> '''[[동서울터미널|{{{#ffffff 동서울}}}]]''' || 2:40[br]--3:10(선산 경유)-- || ₩ 24,2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50, 07:40(금,토,일), 08:30, 09:20, 10:10, 11:40, 12:30(토,일,월), 13:30, 14:10, 15:00, 16:30, 17:10(금,토,일), 18:00, 18:50, 19:30}}}|| ||<-3><(>[[고속버스 동서울-구미]] 참조. 2023년 9월 1일부로 예매처가 [[KOBUS]]로 이관된 동시에 동서울행 한정으로 [[티머니]] [[E-Pass]] 사용이 가능하다.[* 반대로 동서울발 구미행은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한다.] 과거 선산경유는 일반이었음에도 학생할인이 불가능했으며, 구미터미널-동서울 요금과 선산터미널-동서울 요금이 같았다. 과거에 운행했던 [[코리아와이드 진안]], [[코리아와이드 경북]], [[금아여행]]과 달리 구미-선산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선산으로 갈거면 터미널 밖에서 [[구미 버스 171|171번]]을 이용하면 된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선산터미널|선산]] 경유는 운행중지 되었다.|| }}} || ||
<-3> '''{{{#ffffff 호남권(전환시외)}}}'''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광주}}}''' || 일 3회 || [[금호고속]][br][[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광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구미국가산업단지|{{{#ffffff 구미국가산업단지}}}]][[공단동|{{{#fff (공단동)}}}]]''' ||<-2> 발권불가 || ||<#039b43> '''{{{#ffffff 구미복지상가}}}''' ||<-2> 발권불가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 || 2:55 || ₩ 25,1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09:40--, 12:00, --14:10--, 16:30, --18:40--}}}|| ||<-3><(>[[시외버스 구미-광주]] 참조. [[전환시외]] 면허로, 2022년 4월 1일부로 전산이 [[티머니]]에서 [[버스타고]]로 넘어감에 따라 티머니 [[E-Pass]]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C-Pass를 이용할 순 있다. [[금호고속]]과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배차가 매일 바뀐다. 배차가 많지 않아서 시간이 안 맞으면 [[시외버스 대구서부-구미|대구서부행 버스]]를 타서 [[서부정류장|대구서부]]에서 [[유스퀘어|광주]]행 버스를 타야 한다.|| }}} || [[서울경부]], [[의정부버스터미널|의정부]], [[구리시외버스정류장|구리]],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은 [[http://www.kobus.co.kr/|코버스]]에서 예매할 수 있다.[* 예전에는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과 [[유스퀘어|광주]]행은 코버스에서 예매했었다. 당시 구미발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코드 번호는 031(경부), 032(영동/호남)번이 아닌 035번이었다. 2023년 9월 1일부터 동서울행은 구미발 한정으로 고속버스 전산망을 다시 사용하기 때문에 예매가 가능하다. 반대로 동서울 발은 시외버스 전산망을 계속 사용한다.][* [[유스퀘어|광주]]행은 시외버스 티머니에서 예매하면 된다.] 프리패스는 오직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행]]만 이용할 수 있다. [[고속버스 서울경부-구미|구미]] 노선은 [[중앙고속]]과 [[동양고속]][* [[한진고속]]을 인수하여 2006년 4월부터 구미에 입성했다.]에서 [[공동 배차]]한다. 단, 코버스에서 도착지를 황간으로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고 구간 승차도 가능하다.(단, 황간 → 구미는 불가능. 황간에서 구미로 가려면 [[황간역]] 가서 [[무궁화호]]를 이용하자.) 황간매표소에서 우등고속 1번과 2번 좌석 2석을 배정하기 때문에, 구미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행 중 황간정류장에서 중간에 승하차하는 시간대에 한해 이들 좌석을 제외한 나머지 26석이 배정된다. 황간행이 들어가는 시간대 외에는 28석이 배정되지만, [[중부내륙고속도로]] [[선산 휴게소|선산]] [[환승휴게소]]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만약에 정차하게 된다면 출발한지 20분만에 휴게소에서 휴식하는 사태가 생기기 때문이다. [[고속버스 서울경부-공주|공주]] 노선이 [[정안알밤휴게소|정안]]에 정차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대신 [[괴산휴게소]]나 올경부로 이동시 [[옥산휴게소]]/[[신탄진휴게소]]에 정차한다.] 모든 시간대에 황간에서 중간 승하차했지만 [[중부내륙고속도로]] 개통 이후 황간 경유편은 1일 3회로 크게 감축됐다. 밤 10시에 심야우등 1대가 출발하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발과 달리, 구미발 심야우등은 없다.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도 심야우등은 없으니 야간 시간대에는 일반열차를 이용하고 싶으면 [[구미역]]으로, [[KTX]] 이용하고 싶으면 [[리무진버스]]를 타고[* 가끔 리무진버스가 아닌 일반 좌석버스가 들어온다.] [[김천(구미)역]]으로 이동하여 철도를 이용해야 한다. 다만 금, 일요일 한정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발 구미행 심야우등은 임시차가 기본으로 뜬다. 10시 5분 막차 이후 5~10분 간격으로 뜨며, 대개 10시 20분까지 뜬다. 예전에는 밤 11시까지 구미 심야 임시차가 뜬 적도 있었다. 금요일에 일단 기본적으로 22:10차가 편성되고 그 뒤로 15분, 20분 차량이 편성된다.(일요일도 마찬가지.) 임시차의 경우 보통 정규차가 들어가지만 타 노선 차량이나 예비차가 들어올때도 있다.([[중앙고속]]은 슈프부터 유로6까지 다양하다.) 아울러 금, 토, 일요일에는 [[동양고속]] 한정으로 임시 일반고속도 편성된다. 주로 18시~20시 사이에 편성되며, 매우 높은 확률로 주말에 임시차 알바를 뛰러 내려오는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차량이 편성된다. 다만 대구나 대전행 유니버스 노블이 투입될 때도 있다. == [[시외버스]] 노선 == 전 차량이 우등차량으로 운행되는 노선은 행선지에 '''볼드체''' 표시. === 수도권 ===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d60056> '''{{{#ffffff 인천국제공항}}}''' || 일 12회(김천 / 상주 각각 1일 3회 경유) || [[코리아와이드 경북]][br][[코리아와이드 진안]]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경산·대구북부·대구서부발 구미경유 인천공항행}}}''' || || '''{{{#ffffff 행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인천공항터미널|{{{#ffffff 인천국제공항}}}]]''' || 3:10(T1) [* 김천IC 경유 3:40, 경북대(상주) 경유 4:00][br]3:30(T2)[* 김천IC 경유 4:00, 경북대(상주) 경유 4:20] || ₩ 35,800({{{#0000ff 우등}}})[br]₩ 39,400({{{#0000ff 심야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5:30(김천부곡 경유), 07:00. 08:30(상주경유), 10:00, 11:40(김천부곡경유), 13:00, 14:40(상주경유), 16:00}}}, (심야){{{#0000ff 00:01(김천부곡 경유), 01:00, 02:30(상주경유), 04:00}}}|| ||<-3><(>[[시외버스 인천공항-대구북부]] 참조.|| }}} || ||<#d60056> '''{{{#ffffff 오산[br]수원[br]안산[br]인천}}}''' || --일 6회--[br]일 5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대구서부·안동발 인천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오산역환승센터|{{{#ffffff 오산}}}]]''' || 2:00 || ₩ 20,500({{{#0000ff 우등}}}) || ||<#d60056> '''[[수원버스터미널|{{{#ffffff 수원}}}]]''' || 2:20 || ₩ 23,100({{{#0000ff 우등}}}) || ||<#d60056> '''[[안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안산}}}]]''' || 3:00 || ₩ 27,300({{{#0000ff 우등}}}) || ||<#d60056> '''[[인천종합터미널|{{{#ffffff 인천}}}]]''' || 3:30 || ₩ 30,9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10^^(대구서부 출발)^^, 10:00^^(안동 출발)^^, --12:00--, 14:00^^(구미 출발)^^, 15:50^^(대구서부 출발)^^, 18:00^^(안동 출발)^^}}}|| ||<-3><(>2020년 7월 22일 대구서부발 운수회사가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코리아와이드 경북]]으로 바뀌면서 코리아와이드 경북 단독 배차가 되었다. 2022년 7월 부터 우등버스 투입을 시작해 2022년 8월 부터 전회우등할증이 시행되었다. 안동발은 [[시외버스 인천-안동]], 대구서부발은 [[시외버스 대구서부-인천]] 참조. 경부선 철도의 존재로 인해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이 시간대 이외에 다음 목적지로 가려면 [[오산역환승센터|오산]] => [[구미역]]에서 [[평택역]]행 열차 탑승 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환승. [[수원버스터미널|수원]] => [[구미역]]에서 [[수원역]]행 열차 탑승.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 [[구미역]]에서 [[수원역]]행 열차 탑승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선]]으로 환승. [[인천종합터미널|인천]]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행 고속버스 탑승 후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 환승 혹은 인천행 광역버스 탑승. 아니면 [[구미역]]에서 기차를 타고 [[영등포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환승을 하거나 [[광명역]]에서 인천방면 좌석버스로 환승해도 된다. 특히 인천은 4시간 넘게 걸리므로 위의 대체노선 방법 이용을 권장한다. || }}} || ||<#d60056> '''--{{{#ffffff 부천[br]고양}}}--''' || --일 6회--[br]--일 2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고양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부천종합터미널|{{{#ffffff 부천}}}]]--''' || --3:10-- || --₩ 19,700({{{#0000ff 우등}}})-- || ||<#d60056> '''--[[고양종합터미널|{{{#ffffff 고양(백석동)}}}]]--''' || --3:50-- || --₩ 21,3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0--, --10:40--, --12:50--, --15:00--, --17:10--, --19:20--}}}|| ||<-3><(>[[시외버스 동대구-고양]] 참조. --2018년 10월 1일 자로 전산망이 모두 버스타고로 변경되어서 C-Pass가 가능하다.-- 운행 횟수가 적기 때문에 이 시간대 이외에 다음 목적지로 가려면 [[부천종합터미널|부천]] => [[김천(구미)역]]에서 KTX를 이용, [[광명역]]에서 하차하여 [[부천 버스 G8808]]번 이용 [[고양종합터미널|고양(백석동)]] => [[김천(구미)역]]에서 [[행신역|행신]]행 KTX 탑승[* 2022년 9월 14일부터 운행중단] || }}} || ##||<#d60056> --'''{{{#ffffff 청주[br]문산}}}'''-- || --일 2회-- || --[[코리아와이드 대성]]--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대구서부발 문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청주남부정류장|{{{#ffffff 남청주}}}]]'''-- || --1:40-- || --₩ 9,100-- || ##||<#d60056> --'''[[청주시외버스터미널|{{{#ffffff 청주(시외)}}}]]'''-- || --2:00-- || --₩ 10,100-- || ##||<#d60056> --'''[[운정고속버스정류소|{{{#ffffff 운정}}}]]'''-- || --4:40-- || --₩ 23,200-- || ##||<#d60056> --'''[[금촌고속버스정류소|{{{#ffffff 금촌}}}]]'''-- || --4:50-- || --₩ 24,400-- || ##||<#d60056> --'''[[문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문산}}}]]'''-- || --5:10-- || --₩ 25,900--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9:10--, --16:00--|| ##}}} || ||<#d60056> '''{{{#ffffff 성남}}}''' || --일 4회--[br]일 2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발 성남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성남종합버스터미널|{{{#ffffff 성남}}}]]''' || 2:50 || ₩ 23,2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00--, 12:05, --16:50--, 19:30}}}|| ||<-3><(>[[시외버스 성남-김해]] 참고. 개통 당시엔 KD의 무정차 노선과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구미 경유 노선으로 나뉘었으나 2016년 6월 3일부로 KD가 배차에서 철수함에 따라 전 시간대에 코리아와이드 경북 일반차만 다니게 되었다. 또한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 이전에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하던 [[고속버스]] 노선도 있었으나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지와 함께 [[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에서 [[코리아와이드 진안]]이 철수하였다.|| }}} || ||<#d60056> '''{{{#ffffff 여주[br]이천}}}''' || 일 8회 || [[대원고속]][br][[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이천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여주종합터미널|{{{#ffffff 여주}}}]]''' || 1:55 || ₩ 18,300({{{#0000ff 우등}}}) || ||<#d60056> '''[[이천종합버스터미널|{{{#ffffff 이천}}}]]''' || 2:25 || ₩ 21,9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5, 09:55, 11:35, 13:15, 14:55, 16:40, 18:15, 19:55}}}|| ||<-3><(>[[시외버스 동대구-이천]] 참조. 2019년 8월 12일자로 [[대구북부정류장]] 착발에서 동대구터미널 착발로 변경되었다. 여주에서 원주행 시외버스를 타면 원주터미널로 갈 수 있으며 [[시외버스 원주-구미|구미에서 원주로 바로 가는 버스]]를 타는 것보다도 요금이 저렴하다.[* 약 '''7600원'''을 아낄 수 있다.] 특히 [[문막읍]]이 목적지인 사람은 여주환승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 }}} || ||<#d60056> '''{{{#ffffff 신갈[br]용인}}}''' || 일 5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용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신갈고속시외버스정류소|{{{#ffffff 신갈}}}]]''' || 2:00 || ₩ 22,400({{{#0000ff 우등}}}) || ||<#d60056> '''[[기흥역시외버스정류소|{{{#ffffff 기흥역}}}]]''' || 2:05 || ₩ 22,700({{{#0000ff 우등}}}) || ||<#d60056> '''[[용인공용버스터미널|{{{#ffffff 용인}}}]]''' || 2:20 || ₩ 24,8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40, 09:30, 14:30, 17:50, 19:30}}}|| ||<-3><(>[[시외버스 동대구-용인]] 참조. 2021년 2월 1일 자로 기흥역을 추가로 경유하면서 고속 → 시외로 [[전환시외|전환했고]] 구미를 추가로 거치기 시작했다.|| }}} || ||<#d60056> '''{{{#ffffff 구리[br]의정부}}}''' || 일 2회(금,토,일,월 4회) || [[대원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의정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구리시외버스정류장|{{{#ffffff 구리}}}]]''' || 2:30 || ₩ 23,500({{{#0000ff 우등}}}) || ||<#d60056> '''[[의정부버스터미널|{{{#ffffff 의정부}}}]]''' || 3:00 || ₩ 26,7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35(금,토,일,월), 10:15, 15:05(금,토,일,월), 16:25}}}|| ||<-3><(>[[고속버스 의정부-동대구]] 참조. 기존 구미-동두천 노선이 2019년 12월 2일 부로 의정부로 단축하고 동대구로 연장하면서 생긴 노선이다. 구리를 추가로 경유하기 시작했다.|| }}} || ##||<#d60056> --'''{{{#ffffff 세종[br]평택}}}'''-- || --일 3회-- || --[[삼흥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평택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ffffff 세종}}}]]'''-- ||<|2> --1:20-- || --₩ 13,000({{{#0000ff 우등}}})-- || ##||<#d60056> --'''[[정부세종청사북측 정류장|{{{#ffffff 정부세종청사}}}]]'''-- || --₩ 13,900({{{#0000ff 우등}}})-- || ##||<#d60056> --'''[[평택터미널|{{{#ffffff 평택}}}]]'''-- || --2:50-- || --₩ 24,3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0, 13:10, 18:50}}}--|| ##||<-3><(>--[[시외버스 동대구-평택]] 참조. 2010년 대구북부-구미-평택 노선이 폐선된 후 다시 부활한 대구-평택 노선인 셈이다. 단, 세종시를 경유하고 운행 횟수가 적으므로 [[구미역]]에서 기차를 타고 [[평택역]]으로 가는 것이 좋다. 오히려 기차쪽이 13,100원(무궁화호)/19,400원(ITX-새마을)으로 더 저렴하다.--|| ##}}} || ||<#d60056> '''{{{#ffffff 경기광주[br]하남}}}''' || 일 2회(하남)[br]일 4회(경기광주) || [[대원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동대구발 하남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d60056> '''[[광주종합터미널|{{{#ffffff 경기광주}}}]]''' || 2:25 || ₩ 21,900({{{#0000ff 우등}}}) || ||<#d60056>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ffffff 하남}}}]]''' || 2:55 || ₩ 24,300({{{#0000ff 우등}}}) || ||<#d60056>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35^^(경기광주 종착)^^, 11:15, 14:15^^(경기광주 종착)^^, 18:45}}}|| ||<-3><(>[[시외버스 동대구-경기광주·하남]] 문서 참고. 2019년 8월 12일자로 [[대구북부정류장]] 착발에서 동대구터미널 착발로 변경되었다.|| }}} || 이 중 [[구리시외버스정류장|구리]]/[[의정부버스터미널|의정부]]행은 시외버스 티머니가 아닌 코버스에서 예매한다. === 강원권 === ||
<-3> '''{{{#ffffff 강원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a885> '''{{{#ffffff 원주}}}''' || 일 6회 || [[코리아와이드 진안]]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원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a885> '''{{{#ffffff 구미공단}}}''' ||<-2> 발권불가 || ||<#00a885> '''[[안동터미널|{{{#ffffff 안동}}}]]''' || 1:20 || ₩ 11,200({{{#0000ff 우등}}}) || ||<#00a885> '''[[영주종합터미널|{{{#ffffff 영주}}}]]''' || 1:50 || ₩ 18,400({{{#0000ff 우등}}}) || ||<#00a885> '''[[원주시외버스터미널|{{{#ffffff 원주(시외)}}}]]''' || 3:20 || ₩ 29,400({{{#0000ff 우등}}}) || ||<#00a885>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40, 07:40, 11:35, 13:00, 16:00, 18:10}}}|| ||<-3><(>[[시외버스 구미-원주]] 참조. 2019년 부터 우등할증을 실시했다. 원래 [[안동터미널|안동]]은 들리지 않았으나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코리아와이드 경북]]이 구미-안동직통에서 철수하자 경유하기 시작했다. 안동까지는 괜찮으나 영주 이후 원주로는 국도요금으로 인해 요금이 아주 비싸다. 이 노선을 이용하기 보다는 여주행 버스를 이용해 여주에서 원주행 시외버스 이용을 권장하며 약 요금이 '''26%''' 정도 싸진다. || }}} || ##||<#00a885> '''{{{#ffffff 강릉[br]속초}}}''' || --일 2회--일 1회 || [[강원여객]][br]--[[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속초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a885> '''{{{#ffffff 구미공단}}}''' ||<|3><-2> 발권불가 || ##||<#00a885> '''[[안동터미널|{{{#ffffff 안동}}}]]''' || ##||<#00a885> '''[[영주종합터미널|{{{#ffffff 영주}}}]]''' || ##||<#00a885> '''[[강릉시외버스터미널|{{{#ffffff 강릉(시외)}}}]]''' || 4:45 || ₩ 29,900 || ##||<#00a885> '''[[속초시외버스터미널|{{{#ffffff 속초(시외)}}}]]''' || 5:45 || ₩ 37,100 || ##||<#00a885> '''{{{#ffffff 운행시각표}}}''' ||<-2><(>--07:50--, {{{#0000ff 15:20}}}|| ##||<-3><(>우등과 일반의 요금이 같다. ##07:50 = [[코리아와이드 경북]], 15:20 = [[강원여객]] 고정이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코리아와이드 경북]] 시간대는 운행하지 않고 [[강원여객]]만 운행한다. ##[[안동터미널|안동]], [[영주종합터미널|영주]] 까지의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 구미에서 속초까지 우등할증+안동~영주간 국도이동으로 인해 '''48200원'''이라는 요금이 부과되며, 재개시에는 '''53100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거금이 들어가게 된다. 구미에서 속초로 갈 거면 동서울로 가거나 대구북부로 가서 대구북부~속초 노선 이용을 권장한다. || ##}}} || 이곳에서는 춘천 방면 버스가 없으므로 [[시외버스 구미-원주]]를 이용한 후 [[시외버스 원주-춘천]]을 이용하면 갈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요금이 비싸다. 춘천에서 구미까지 알뜰하게 가려면 [[고속버스 춘천-동대구]]를 이용한 후 서대구에서 내려 14분 정도 걸어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를 타야한다.] === 충청권 === 일부 시간 우등인 경우 {{{#skyblue 하늘색}}}으로, 전회우등인 경우 {{{#orange 주황색}}}으로 표시한다. ||<:> {{{#ffffff '''행선지'''}}}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ffffff '''운행 횟수'''}}} ||<:> {{{#ffffff '''운행 회사'''}}} ||<:> {{{#ffffff '''비고'''}}} || ||<|2><:>--대전[br](직통)-- |||||||||||| --↓안동[* [[시외버스 세종, 대전복합-안동, 영주]] 참조.]/김해공항[* [[시외버스 대전복합-김해공항]] 참조.] 출발-- ||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 --₩ 9,800-- ||<:> --1일 5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 ||<|3><:>--'''유성'''[br](정부대전청사)-- |||||||||||| --↓동대구 출발-- || ||<:>--[[둔산시외버스정류장|대전청사]]-- || --1:35-- ||<|2> --₩ 9,800-- ||<|2><:> --1일 4회-- ||<|2><:> --[[코리아와이드 대성]][br][[금남고속]]-- ||<|2><:> --[* [[시외버스 동대구-유성]] 참조. 1/3회차는 코리아와이드 대성, 2/4회차는 금남고속-2019년 12월부터 시외직행우등 요금 적용]--|| ||<:>--[[유성시외버스정류소|유성]]-- || --1:50-- |||||||| ||<|4><:>--세종-- |||||||||||| --↓동대구 출발--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세종]]--[* [[평택시외버스터미널|평택]]행 노선이 경유.] ||<:> || --₩ 8,800-- ||<|2><:> --1일 3회-- ||<|2><:> --[[삼흥고속]]-- ||<|2><:> || ||<:>--[[정부세종청사북측 정류장#s-4.2|세종청사]]-- ||<:> || --₩ 9,400-- |||||||| ##|||||||||||| --↓평택 방향-- || ||<|4><:>{{{#skyblue 청주}}} |||||||||||| ↓대구서부 출발 (1일 9회) || ||<:>[[청주남부정류장|{{{#skyblue 남청주}}}]] || 1:35 || ₩ 10,500(일반)[br]₩ 13,600({{{#0000ff 우등}}}) ||<|2><:> 1일 8회 ||<|2><:> [[코리아와이드 대성]] ||<|2><:> [* [[시외버스 대구서부-청주]] 참조.] || ||<:>[[청주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청주}}}]] || 1:51 || ₩ 11,500(일반)[br]₩ 15,000({{{#0000ff 우등}}})[* 청주(사창동)으로 갈 시, '''청주터미널''' 표로 발권하고 하차.] |||||||| |||||||||||| --↓파주시(운정, 금촌, 문산) 방향 (1일 2회)-- || ||<|2><:>--천안-- |||||||||||| --↓동대구 출발--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 --1:50-- || --₩ 15,400-- ||<:> --1일 7회--[br]--1일 3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우등[* [[시외버스 동대구-천안]] 참조. [[단국대학교]]나 [[백석대학교]]로 갈 때 이용하면 좋으며, 실제로 예전에는 구미 발권분은 매진이 잦기도 했다.]-- || ||<|4><:>충주[br](완행) |||||||||||| ↓부산/울산/포항 출발, 점촌, 문경 경유[* 과거에는 구미/대구북부 출발도 있었으나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선되었다.] || ||<:>--연풍[br](괴산)-- || --2:00-- || --₩ 13,000-- ||<|2><:> --1일 10회--[br]1일 2회[* 수안보 1일 4회, 연풍 '''운행중지'''] ||<|3><:> [[코리아와이드 진안]][br][[코리아와이드 대성]][* [[시외버스 울산-충주|울산-충주 노선]] 한정.] ||<|3><:> [* [[시외버스 부산-충주]], [[시외버스 울산-충주]], [[시외버스 포항-구미|시외버스 포항-충주]] 참조. 시간마다 경유지가 다르니 주의할 것. 막차는 문경, 연풍, 수안보 모두 들리지 않고 점촌-충주 무정차로 간다.] ||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수안보]] || 2:10 || ₩ 14,500[br]₩ 18,800({{{#0000ff 우등}}}) ||||||||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 2:40 || ₩ 17,000[br]₩ 22,900({{{#0000ff 우등}}}) ||<:> 1일 3회 |||||| ||<|4><:>--당진-- |||||||||||| --↓포항 -- || ||<:>--기지시-- ||<:> || --₩ 17,500-- ||<|3><:> --1일 2회-- ||<|3><:> --[[충남고속]][br][[삼흥고속]]-- ||<|3><:> --[* 과거에는 [[서산공용버스터미널|서산]], 태안행 노선이 있었으나 [[공기수송(교통)|극심한 수요 저조]]로 인해 서산행으로 단축되었다. 2019년 1월 24일에는 삼흥고속이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노선분을 인수해 공배한다. 다만 운행횟수가 적어 대전에서 환승해야 한다.][* [[포항터미널|포항]] 출발이며, 구미 유일의 [[충남고속]] 진출 노선이다. 구미-[[포항터미널|포항]]간 구간승차는 불가능 하다.]-- || ||<:>--[[당진공영버스터미널|당진]]-- ||<:> || --₩ 18,100-- |||||| ||<:>--[[서산공용버스터미널|서산]]-- ||<:> || --₩ 21,500-- |||||| 원래 대전 방향 노선과 당진 등 충남 서부권 지역의 노선이 다 있었으나 수요 저조 및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대거 폐선되어 지금은 [[충청도]]란 이름의 유래가 된 [[충청북도]]의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노선만 운행중이다. 그나마 대전은 [[경부선]] 철도 라는 대체재가 있어서 [[구미역]]-[[대전역]] 구간을 이용하면 되지만 충남 지역은 아예 방법이 없어졌다. 현 시점에서는 [[천안역]]까지 올라가서 [[장항선]] 열차로 환승하는 방법이나 대전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로 넘어가서 거기서 버스를 타는 수밖에 없다. [[동대구터미널]] 역시 대전과 충주,청주,제천 외의 노선이 전부 폐선되어서 현 시점에서 구미에서 대전과 충남권으로 가는 방법은 철도 말고는 [[답이 없다]]. 또한 이 터미널엔 [[제천버스터미널|제천]]행이 없어 [[시외버스 제천-동대구|동대구에서 환승하거나]] [[구미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대전역]]까지 가서 제천행 무궁화호 또는 1일 2회 있는 제천 경유 영주행을 탑승하거나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또는 [[안동터미널|안동]]에서 갈아타야 한다. === 영남권 === ==== 대구광역시 ==== 일부 시간 우등인 경우 {{{#skyblue 하늘색}}}으로, 전회우등인 경우 {{{#orange 주황색}}}으로 표시한다. ||<:> {{{#ffffff '''행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ffffff '''배차 간격'''}}} ||<:> {{{#ffffff '''비고'''}}} || ##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대구북부]] ||<:> 0:50 || ₩ 3,900 ||<:> 일 4회 ||<:> 첫차 08:50[br]막차 21:10 || ||<:>[[시외버스 대구서부-구미|{{{#skyblue 대구서부}}}]] ||<:> 0:55 || ₩ 4,600[br]₩ 6,000({{{#0000ff 우등}}}) ||<:> --일 28회--일 18회(단, 금,토 1일 22회) ||<:> 첫차 08:00[br]막차 21:00 || ||<:>[[시외버스 동대구-구미|{{{#orange 동대구}}}]] ||<:> 1:00 || ₩ 6,800({{{#0000ff 우등}}}) ||<:> 일 4회 ||<:> 첫차 08:00[br]막차 19:40[* 1일 4회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까지 운행.] || 2016년 7월 말쯤부터 북부정류장, 서부정류장은 기존의 북대구, 서대구 대신 대구북부, 대구서부로 표기하고 있다. 대구서부의 경우 [[서부정류장]]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의 혼동 방지를 위해서 그런 듯하다. [[코리아와이드 경북]][*A 대구서부행 한정],[[코리아와이드 대성]][*A 대구서부행 한정], [[코리아와이드 진안]][*A 대구서부행 한정], [[해운대고속]] 차량 중 [[코리아와이드 진안]], [[해운대고속]] 차량의 비중이 높으며 [[코리아와이드 진안]], [[해운대고속]] 차량은 공단정류소, 복지정류소를 경유해 [[남구미IC]]를 이용한다. 2019년 1월23일부터 [[코리아와이드 대성]] 차량도 공단정류소, 복지정류소를 경유한다. --문산--, 청주와 안산, 수원에서 출발해 본 터미널을 경유하여 대구서부로 향하는 노선은 구간 승차가 허가 되어 가능하지만[* 실제로 시간표 상에도 기재되어있다. 이중 [[코리아와이드 대성]]은 전 노선 청주 출발이며--(일부 시간대는 문산 발 청주 경유)--, [[코리아와이드 경북]]은 안산, 수원 경유 차량이다.] 동대구의 경우 일부 구간 노선 구간 승차가 전혀 안된다.[* 인천공항 --고양--, 여주, --유성--, 이천, --천안, 평택--, 용인, 하남에서 출발하여 동대구로 가는 노선은 승강장에 서지 않고 하차장에 하차만 시킨 뒤 곧바로 다음 행선지로 이동하기 때문이고 거창 노선은 할당 좌석 문제 때문이였다. 그래서 동대구 - 구미 간 구간 승차가 불가능하고 인천, 청주에서 출발하는 서부행이 구간승차가 가능하여 횟수가 많은반면 동대구행은 중간승차가 불가능해서 횟수가 적은것이다. 대구방면 한정으로 구미 승객이 없으면 곧바로 동대구로 간다. 구미가 기점인 [[목포종합버스터미널|목포]]행 역시 동대구까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2019년 7월부터는 그동안 터미널 밖에 전용 승강장을 두고 있던 [[구미공항리무진]]의 승강장이 터미널 내로 옮겨졌고 그와 동시에 시외버스 예약 프로그램을 통한 예약도 가능해졌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구미-대구공항]] 참조. 단, 역방향은 발권도 불가능하며 현금승차를 해야 한다. 2021년 5월 1일부터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 노선이 코리와이드 진안에서 [[해운대고속]]으로 운수회사가 변경된다. 2021년 6월 5일부터 [[시외버스 해운대-구미|동대구-구미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재개 된다. 대신, 시외우등할증이 적용되어 5,000원으로 인상되고 해운대고속으로 넘어가며, 1일 6회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까지 간다. 2021년 9월 1일 부터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행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행]]이 4회로 감회된다. 6월 1일 부터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행이 4회에서 8회로 늘어났다. 2023년 3월 21일부터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 노선이 운휴에 들어갔다. 동대구로 갈거면 본 터미널에서 시외버스 이용보다는 [[구미역]]으로 가서 열차 이용을 '''적극''' 권장한다. 일반시내버스 - 무궁화 조합시 약 '''31%'''를 아낄 수 있으며 구미역까지 도보 이동시 약 '''53%'''를 아끼게 된다. 단, 가장 비싼 방법인 좌석시내버스 - ITX-새마을 이용시에는 버스와 요금이 같아진다. ==== 경상북도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점촌터미널|점촌]], [[마성정류소|마성]], [[문경버스터미널|문경]],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고아, 선산, 낙동 경유는 2018년 11월 23일에 폐지.], [[영주종합터미널|영주]][* [[안동터미널|안동]] 중간경유.], [[안동터미널|안동]][* [[시외버스 구미-원주|직통]] 및 구미공단, 인동, [[효령정류소|효령]],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단촌, 일직 경유 및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점촌터미널|점촌]],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예천삼거리,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신도청]] 경유로 나뉜다. 직통은 원주까지 운행. 군위/의성 경유는 안동 종착, 상주/점촌/예천 경유는 울진 종착.],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금아여행]]과 [[코리아와이드 진안]]이 공동배차한다], [[영천터미널|영천]][* 원래 [[포항터미널|포항완행]]의 중간 경유지였으나 2021년 1월 1일 부터 영천 종착으로 변경.], [[울진종합버스터미널|울진]] [*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점촌터미널|점촌]],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예천삼거리, [[경상북도청신도시|경북신도청]], [[안동터미널|안동]], 상운, [[봉화공용정류장|봉화]], [[춘양버스정류장|춘양]] 경유 2019.09.06 개통. 참고로 [[안동시|안동]]으로 가려면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니 빠르게 가겠다면 16:00에 출발하는 [[시외버스 구미-원주|안동무정차]]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약 30분 먼저 도착하고, 요금도 똑같다.],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단촌, 일직, [[효령정류소|효령]],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원래 구미-고아-선산-(도개)-(옥성)-(용댐이)-낙정-낙동-상주-양정-함창-점촌-점촌북부-산양-용궁역-용궁-개포-16부대-가동-예천으로 운행하던 완행이었으나 2018년 6월 28일 폐지 후 2019년 9월 6일부터 부활했다.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에서 출발한 초완행과는 다르게 이 노선은 구미에서 출발하며, 예전보다 경유 정류장이 대폭 줄어들었으며(상주-점촌만 경유한 후 예천으로 간다.), 1일 1회만 운행하며, 울진까지 간다.][* 1회 뿐이라 그 외 시간에 가려면 [[점촌터미널|점촌]]에서 갈아타야 한다.], 예천삼거리,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신도청]] ====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 일부 시간 우등인 경우 {{{#skyblue 하늘색}}}으로, 전회우등인 경우 {{{#orange 주황색}}}으로 표시한다. ||<:> {{{#ffffff '''행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ffffff '''운행 횟수'''}}} ||<:> {{{#ffffff '''운행 회사'''}}} ||<:> {{{#ffffff '''비고'''}}} || ||<|2><:>[[울산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울산}}}]] |||||||||| ↓충주/점촌 출발 || || 2:20 || ₩12,500(일반)[br]₩16,200(우등) ||<:> 1일 9회[* 우등 4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br][[코리아와이드 대성]] ||<:> [[시외버스 울산-구미]] 참조.[br]일반시간대에는 예매불가|| ||<|2><:>[[김해여객터미널|{{{#orange 김해}}}]] |||||||||| ↓성남 출발 || ||<:> || ₩14,200(우등) ||<:> 1일 2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br] ||<:> 전회우등[* [[시외버스 성남-김해]] 참고.] || ##||<|2><:>--[[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 ↓대전 출발(일 2회) || ##||<:> || --₩10,900-- ||<:> --1일 4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 ||<:> || ||<|3><:>[[창원종합버스터미널|{{{#orange 창원}}}]] |||||||||| ↓공단정류소, 복지정류소 경유 || ||<:> || --₩10,100(일반)--[br]₩13,100(우등) ||<|2><:> 1일 2회 ||<|2><:> [[경기고속]][br]--[[고려여객]]--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중간 하차 || ||<:> || --₩11,000(일반)--[br]₩14,300(우등) ||<:>[* 3회 우등 운행 /우등 운임 적용은 18년 6월 25일부터]|| ##||<|2><:>--[[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 ↓공단정류소, 복지정류소 경유 || ##||<:> || --₩17,900(우등)-- ||<:> --1일 6회-- ||<:> [[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 [* 개양오거리, 진주남중학교(舊 [[진주역]]) 앞에서 중간 하차가 가능하다.][* 전회우등] || ||<|2><:>[[고현버스터미널|{{{#orange 고현}}}]][br]([[거제시|거제]]) |||||||||| ↓동대구 경유 || ||<:> || ₩25,600 ||<:> 1일 3회 ||<:> [[코리아와이드 진안]][br][[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 2021년 8월 부터 시외우등 할증 요금 적용.] || ||<|2><:>[[부산종합버스터미널|{{{#orange 부산}}}]] |||||||||| ↓무정차 || ||<:> || --₩11,600 (일반)--[br]₩15,100 (우등) ||<:> 1일 6회 ||<:> [[코리아와이드 진안]] ||<:> [* 일반 1일 2회. 일반은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출발.] || ##||<|2><:>--[[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 ↓동대구 경유 || ##||<:> || --₩10,400-- ||<:> --1일 5회-- ||<:> [[삼흥고속]] ||<:>[* 구미에서 20석, 동대구에서 20석 배정되며 구미-동대구 구간 승차 불가능. 다만,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에서 돌아올 때는 자유롭게 배정이 가능하다.] || ||<|2><:>[[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orange 해운대}}}]] |||||||||| ↓동대구 경유 || ||<:> || ₩17,700 ||<:> 1일 4회 ||<:> [[해운대고속]] ||<:>[* 구미에서 8석, 동대구에서 20석 배정되며 구미-동대구 구간 승차 가 가능하다. 다만,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에서 돌아올 때는 자유롭게 배정이 가능하다.][* 전회우등][* 대체교통편으로는 [[신해운대역]]으로 가는 ITX-새마을이 1일 2회 있다.] || === 호남권 ===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전주}}}''' || 일 4회 || [[코리아와이드 경북]][br][[전북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ffffff 전주(시외)}}}]]''' || 2:20 || ₩ 19,5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30, 11:50, 15:10, 18:30}}}|| ||<-3>[[시외버스 구미-전주]] 문서 참조. || }}} || ||<#039b43> '''{{{#ffffff 목포}}}''' || 일 2회 || [[금호고속]][br][[코리아와이드 경북]]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구미발 목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ffffff 동대구}}}]]''' ||<-2> 발권불가 || ||<#039b43> '''[[목포종합버스터미널|{{{#ffffff 목포}}}]]''' || 4:50 || ₩ 33,2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5--, 11:40, --14:40--, 17:35}}}|| ||<-3><(>[[시외버스 구미-동대구-목포]] 참조. 예매는 KOBUS이며 [[금호고속]] 2팀,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지만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검표하지 않는다. 구미에서 대구로 내려오는 도중 [[경부고속도로]] 사정으로 지연될 수 있으니, 이에 대해서는 터미널에서 별도로 안내방송을 해 준다.|| }}} || 여순광 방면 교통이 굉장히 불편한 편이다. 익산-군산 방면이야 전주에서 내리고 수시로 운행하는 익산행 혹은 군산행 시외버스로 갈아타면 되고 남원은 애초에 인구가 적어 구미행 시외버스 신설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반면, 여순광은 인구도 좀 있어서 구미행 시외버스가 대구경유라도 신설할만 함에도 신설을 안하고 있다. 굳이 가려면 대구서부로 가서 [[시외버스 대구서부-여수]]로 가야하는데, 대구-여수는 특정 날짜에는 전회프리미엄이고 여수로 갈 때는 광양과 순천을 거쳐 매우 오래 걸린다. == 승차장 == ||<#ce2029><:> {{{#ffffff '''승차홈'''}}} ||<#ce2029><:> {{{#ffffff '''행선지'''}}} || || 1 || [[황간버스정류장|{{{#orange 황간}}}]], [[서울고속버스터미널|{{{#orange 서울}}}]], [[동서울터미널|{{{#orange 동서울}}}]] || || 2 || [[하양시외버스정류소|{{{#orange 하양}}}]], [[대구대학교|{{{#orange 대구대}}}]], [[영천버스터미널|{{{#orange 영천}}}]], [[경주시외버스터미널|{{{#orange 경주}}}]], [[포항터미널|{{{#orange 포항}}}]],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 || 3 || {{{#orange 안산}}}, [[수원버스터미널|{{{#orange 수원}}}]], {{{#orange 오산}}}, [[인천종합버스터미널|{{{#orange 인천}}}]],[[안동버스터미널|{{{#orange 안동}}}]] -- || || 4 || [[서부정류장|{{{#skyblue 대구서부}}}]], {{{#orange 하남, 경기광주}}} || || 5 ||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orange 동대구}}}]] || ## || 6 ||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 [[김포국제공항|김포공항]] || || 7 || {{{#skyblue 남청주, 충북대병원}}}, [[청주시외버스터미널|{{{#skyblue 청주}}}]], --운정, 금촌, 파주(문산)--, {{{#orange 여주, 이천}}}, --천안-- || || 8 || {{{#orange 성남, 부천, 고양, 광주, 전주}}} || || 9 || {{{#orange 부산}}}, {{{#skyblue 울산}}}, --진주--, {{{#orange 마산, 목포}}} || || 10 || {{{#skyblue 상주, 점촌}}}, 예천, 안동(완행), 봉화, 춘양, 울진, 경북도청, {{{#skyblue 마성, 문경}}}, --연풍--, {{{#skyblue 수안보, 충주}}} || === 폐지된 노선 === * [[코리아와이드 진안]]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고아 - [[선산터미널|선산]] - (도개), (옥성), (용댐이)[* 안동행은 도개, 용댐이 경유, 영주행은 옥성을 경유했다.] - 낙정 - 낙동 -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 [[양정정류장|양정]] - [[함창버스터미널|함창]] - [[점촌터미널|점촌]] - 점촌북부 - [[산양정류장|산양]] - [[용궁역]] - 용궁 - 개포 - 16부대후문 - 16부대정문 - 가동 -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 예천삼거리 - (신도청, 상리동, 풍산, 과학대, 안동), (감천, 유동, 장수, 꽃동산, 영주) 2018년 6월 28일에 폐지되었다. 폐지 후 구미에서 예천으로 가려면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에서 갈아탈 수 밖에 없었으며 예천, 안동행[* 안동은 완행이 하나 신설된 것이지만 구미-상주-점촌-안동 라인 버스가 부활한지라 여기에 서술한다.] 한정으로 2019년 9월 6일 [[시외버스 구미-울진]] 노선 개통으로 부활했다. 고아, 선산, 낙동, 상주, 함창, 점촌, 용궁, 부대, 예천, 신도청, 풍산 등 여러 경유지를 찍고 가던 예전 시절에 비해 경유지가 대폭 줄어들었으며, 1일 1회만 운행한다.[* 상주-점촌-예천-예천삼거리-신도청만 경유한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대구북부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고아 - 선산 - 도개 - (옥성) - (용댐이 - 낙정 - 낙동 - 생물 - 생송 - 단밀 - 안계) 대구북부 출발은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구미 출발은 2019년 4월 1일에 폐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대구북부-안계(선산)]] 및 [[시외버스 구미-안계]] 문서 참조.[* 이제 구미에서 안계로 가려면 군위나 도리원에서 환승해야 한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태화시외버스정류소|태화]] - [[신복시외버스정류소|신복]]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고아 - 선산 - 낙동 - 상주 - 양정 - 함창 - 점촌 2018년 날짜 미상에 폐지되었다. 폐지 후 구미에서 양정, 함창으로 가려면 이제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에서 환승할 수 밖에 없다. * [[금아여행]] [[포항터미널|포항]] - [[안강시외버스터미널|안강]] - 풍산금속 - 안강휴게소 - [[고경정류장|고경]] - 창하 - [[영천버스터미널|영천]] -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고아 - 선산 - 낙동 - 상주 - 양정 - 함창 - 점촌 역시 2018년 날짜 미상에 폐지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구미''' - [[영주종합터미널|영주]] -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2018년 11월 23일에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구미-안동-영주-원주로 재편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 ([[인천종합터미널|인천]] -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 [[수원버스터미널|수원]] - [[오산역환승센터|오산]]),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 '''구미''' - 구미공단 - 안동 2018년 11월 23일에 [[코리아와이드 경북]] 구미-안동 직통 노선이 폐지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대구북부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고아 - 선산 2018년 6월 28일에 폐지되었다. * [[금아여행]] --(김천)-- - '''구미''' - 구미공단 - 구미복지 - 하양 - 영천 - 창하 - 고경 - 안강휴게소 - 풍산금속 - 안강 - 포항 2021년 1월 1일 시외우등 할증을 하면서 구미-영천 노선으로 재편되었으며, 영천-포항 구간은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국도)]] 노선이 담당한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영주 - 예천삼거리 - 예천 - 점촌 - 상주 - (낙동, 선산, 고아), (김천) - '''구미''' - 구미공단 - 구미복지 - 마산 2018년 초반에 폐선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수안보]] - 연풍 - [[문경버스터미널|문경]] - [[마성버스정류장|마성]] - 점촌 - 상주 - 낙동 - 선산 - 고아 - '''구미''' - 구미공단 - 구미복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2018년 날짜 미상으로 폐지되어 이제 상주-구미-부산은 낙동, 선산, 고아를 전회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 [[약목정류장|약목]] - [[북삼정류장|북삼]]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김천(구미)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2018년 1월 5일에 1일 4회로 신설했다가 수요저조로 1일 2회로 감회당하고,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옥천시외버스공영정류소|옥천]] - [[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영동]] - '''구미''' - 구미공단 - 구미복지 - [[포항터미널|포항]] 날짜 미상으로 영동-포항 구간이 단축돼 동서울-영동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으며, 남은 구간도 2018년 12월 17일에 폐지되었다. 폐지 후 구미에서 영동, 옥천으로 가려면 [[구미역]]에서 열차를 이용하면 된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 [[대원고속]] 대구북부 - '''구미''' - (이천, 여주, 경기광주, 하남, 부천, 고양) 2019년 8월 12일에 대구북부 대신 동대구 - 구미 - (수도권 행선지)로 전환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경북]] '''구미''' - 구미공단 - 구미복지 - 통영 2017년에 개통했다가 2018년에 적자누적으로 인해 [[KD 운송그룹]]에 이관되지 못하고 그대로 폐지되었다. * [[코리아와이드 진안]] 대구북부 - 구미복지 - 구미공단 - '''구미''' - 상주 - 점촌 - 마성 - 문경 - 연풍 - 수안보 - 충주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해운대고속]] 대구북부-구미복지-구미공단-구미 2023년 3월에 폐지되었다 == 중간 정류소 == === 공단(공단본부)[* 공단본부는 [[구미시]]에서 하나의 지명으로 고착화되었는데, [[한국산업단지공단]] 대경권본부가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본사'''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대구신서혁신도시|신서동]] [[한국부동산원]] 본사 옆에 있다.] 정류소(공단매표소)[anchor(공단매표소)] === [[KT]] 구미공단지점 앞(승차장)과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지역본부 옆(하차장)에 있다. === 복지(주공) 정류소(주공 매표소) === 필맥스 근처에 있다.[* 원래는 부광상가 앞에 있었으나 2021년 5월에 이전하였다.] 구미종합버스터미널을 출발하여 남동쪽 방면으로 출발하는 차량의 대다수가 바로 앞의 [[구미IC]]를 놔두고 공단정류소와 복지(주공)매표소에서 중간 승하차한 후 [[남구미I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한다. 무인 간이 정류장이지만 현금영수증 및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구미종합터미널 및 공단정류소에서 승객이 많이 타는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좌석 매진이 되므로 예매는 필수. 특히 대구서부행은 [[용산역(대구)|용산역]]에서 중간 하차하기 때문에 수요가 상당히 많다. 참고로 정류소 왼쪽으로 5m 정도 가면 [[구미공항리무진]]에서 운행하는 [[대구국제공항]] [[공항버스]] 정류장이 있다. 원래는 같은 정류소를 쓰다가 분리된 것이다. 경북북부 방면의 대표적인 행선지인 [[안동터미널|안동]], [[영주종합터미널|영주]]는 터미널과 공단과 달리 완행만 있었다. 안동, 영주행은 2018년 6월 28일에 폐지되었다. == 주변 교통 == [[구미역]]에서 차로 약 10여분 정도 떨어져 있는데, 구미 시내에서는 귀퉁이에 붙은 자리라 이 곳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노선이 별로 없고 그나마 배차간격이 대부분 길다. 더구나 터미널 주변은 [[농협]] 파머스마켓 외에는 별 게 없다. 그래서 이곳에서 [[구미시]]의 다른 지역으로 가고자 한다면 터미널 앞에서 [[택시]]를 이용하거나 [[구미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그 곳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하다. 다행히 [[구미시]]의 거의 모든 버스는 [[구미역]]을 거치기 때문에 [[구미역]]으로 가기엔 편하다. == 여담 == 전국의 6대 광역시 중에 유일하게 대전행만 노선이 없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안동터미널|안동(완행)]],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 노선과 유성행으로 [[시외버스 동대구-유성]]이 있었지만 양측다 2020년 2월 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모두 합해도 8회 밖에 안되었다. 이는 대전-구미간 이동에서 철도가 버스를 상대로 완전히 압승을 했다는 것을 뜻하며 앞으로도 대전-김해공항을 제외하면 운행재개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대전행을 가려면 김천과 청주를 경유해서 가는 방법밖에 없다.] 터미널에서 불과 걸어서 5분 거리에 [[송정동(구미)|송정동]] [[교촌치킨]] 본점이 있다.[* 참고로 간판이 위엄 넘치게도[[(...)]] '[[https://kko.to/aKlWe3kFQD|교촌통닭 1호점]]'으로 되어 있다.]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구미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