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2 '''구룡터널'''}}}[br]九龍터널 | Guryong Tunnel}}} || || {{{-1 {{{#555,#aaa [[내곡터널|{{{#555,#aaa 내곡}}}]] 방면}}}}}} ||<-2><|2> [[언주로|[[파일:Cityroad_kor_51.svg|height=17]][br]{{{-1 {{{#fff 언주로}}}}}}]] || {{{-1 {{{#555,#aaa [[성수대교|{{{#555,#aaa 성수}}}]] 방면}}}}}} || ||<|2> [[내곡IC(서울)|내곡IC]][br]← 1.0 km ||<|2> [[개포지하차도]][br]직결 → || ||<-2><|2><#ffc300>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1 {{{#000 분당내곡로}}}}}}]] || || {{{-1 {{{#555,#aaa [[수내교차로|{{{#555,#aaa 수내교차로}}}]] 방면}}}}}} || {{{-1 {{{#555,#aaa [[개포지하차도|{{{#555,#aaa 개포}}}]] 방면}}}}}}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구룡터널, 너비=100%, 높이=225)]}}} || ||<-4> {{{#fff '''위치'''}}} || ||<-4>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서초구]] [[내곡동(서울)|내곡동]] || ||<-4> {{{#fff '''개통'''}}} || ||<-4> [[1997년]] [[10월 28일]] || ||<-2> '''시공''' ||<-2> '''관리''' || ||<-2> [[금호건설]] ||<-2> [[서울시설공단]] || ||<-4> {{{#fff '''길이 / 폭'''}}} || ||<-4> 길이 1,180m, 폭 17m(4차로)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서울)|내곡동]]과 [[강남구]] [[개포동]] 사이의 [[구룡산]]을 뚫어서 연결하는 연장 1,190m, 폭 17m의 터널. [[51번 서울특별시도]]로 지정된 [[언주로]]와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의 공용구간으로,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는 구룡터널 북단을 종점으로 삼는다. [[1994년]] [[11월 22일]]에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가 [[내곡IC(서울)|내곡IC]]까지 개통되었고, 구룡터널 구간은 [[1997년]] [[10월 28일]]에 가장 마지막 구간으로 개통되었다. == 상세 == [[왕십리]], [[성수동]] 방면에서 [[성수대교]]를 건너와 강남을 관통하는 [[언주로]]에서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를 바로 잇는 역할을 한다. 또, [[내곡동(서울)|내곡동]]은 서울 편입 이후에도 한동안 [[구룡산]]과 [[대모산]]에 가로막혀 있었고, [[헌릉로]]를 통하여 [[강남대로]] 방향으로만 이어져 있었는데, 구룡터널이 뚫리면서 염곡동을 경유하지 않고도 [[강남구]] 중심부로 바로 이어지게 되었다.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는 [[탄천]]을 따라 강남구 동부를 달리기 때문에 [[삼성동(강남구)|삼성동]]과 [[잠실]]에서 이용하는 수요가 많은 편이고, 강남 중심부 쪽에서는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해서 분당, 판교 방면으로 진출하려면 꽤 돌아가야 했다. 그런 불편한 점을 일거에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압구정동]], [[논현동(강남구)|논현동]], [[역삼동]] 쪽을 오가는 차량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직통으로 뚫고 가는 지름길이다 보니, 양단 간에 수요가 워낙 많아 구룡터널 입구에서부터 매일 엄청난 정체를 빚고 있다. 또, [[용인서울고속도로]]가 내곡동까지만 뚫리고 강남 방면으로 직접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헌릉IC]]로 나와 구룡터널을 이용하는 차량이 합류한다. 수요는 많은데 4차선으로만 개통이 되어서 정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분류:서울특별시의 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