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wiki style="background: #000000; border-bottom: 1px solid #000000; border-left: 1px solid #000000; border-radius: 24px; border-right: 1px solid #000000; border-top: 1px solid #000000;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0.5px; line-height: -50px; margin: 0 auto; width: 300px;" {{{#white {{{+1 '''괜찮다가도'''}}}[br]{{{-1 엠씨더맥스}}}{{{#!html     }}}{{{-3 노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thos(음악)|[[파일:pathos.jpg|width=100%]]]]}}} || || {{{#000000 '''앨범'''}}} || pathos || || {{{#000000 '''트랙 번호'''}}} || 4 || || {{{#000000 '''러닝타임'''}}} || 04:26 || || {{{#000000 '''발매'''}}} || 2016.01.28 || || {{{#000000 '''배급'''}}} || [[파일:Music & NEW 로고.svg|width=50]] || || {{{#000000 '''장르'''}}} || 발라드 || || {{{#000000 '''작사'''}}} || 이수, 하정호 || || {{{#000000 '''작곡'''}}} || 하정호, 신준호 ||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17.5px]]]]{{{#!html    }}}{{{#000000 '''수록'''}}} || {{{-2 59969}}}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17.5px]]]]{{{#!html    }}}{{{#000000 '''수록'''}}} || {{{-2 46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발매된 [[M.C The Max]] 정규 앨범 8집 [[pathos(음악)|pathos]]에 수록되어있는 노래 == 음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0X0om8W7Ns,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HOrB4E89mM,width=100%,align=center)]}}} || || '''▲ pathos 앨범''' || '''▲ 2016년 8집 발매 콘서트 부산 라이브''' || == 가사 == ||
<:> {{{#fff '''{{{+3 괜찮다가도}}}'''}}}|| ||<:>묽은 해가 넘어가는 그림자 길어진 겨울 방 한구석을 겨우 비추던 너마저도 사라져 간다 그리워 차갑게 마르는 이 계절에 너마저 곁에 없으면 어느 품에서 울어야 해 못 잊겠단 말이야 괜찮다가도 울컥 눈물이 나 늘 같은 장면에 널 {{{#green 사}}}{{{#yellowgreen 랑}}}한단 말야 네 모든 게 다 그'''{{{#green 리}}}'''워 보고 '''{{{#yellowgreen 싶}}}'''다 네 입술 두 눈이 향기가 그립다 그리워 차갑게 마르는 이 계절에 너마저 곁에 없으면 어느 품에서 울어야 해 못 잊겠단 말이야 괜찮다가도 울컥 눈물이 나 늘 같은 장면에 널 {{{#green 사}}}{{{#yellowgreen 랑}}}한단 말야 네 모든 게 다 그'''{{{#green 리}}}'''워 보고 '''{{{#yellowgreen 싶}}}'''다 네 입술 두 눈이 향기'''{{{#yellowgreen 가}}}''' 그립다 너는 내게 새로 시작하는 계절이'''{{{#yellowgreen 다}}}''' 눈이 내려 하늘에 괜찮다가도 울컥 눈물이 나 늘 같은 장면'''{{{#yellowgreen 에}}}''' 널 '''{{{#green 사}}}''''''{{{#yellowgreen 랑}}}'''한단 말야 네 모든 게 다 그'''{{{#green 리}}}'''워 보고 싶{{{#orange 다}}} '''{{{#green 네}}}'''가 네 입술 두 눈이 향기{{{#yellowgreen 가}}} 그립다|| ||2옥타브 라(A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green 초록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곡 분석 == * 조성: 마장조(E) * 최고음: '''진성 최고음 2옥타브 시(B4)/가성 최고음 3옥타브 도#(C#5)''' 진성 최고음인 2옥타브 시(B4)가 짧게 5번 밖에 안 나오고, 나머지 가사도 그리 높은 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사랑을 외치다]], [[모래시계(M.C The Max)|모래시계]] 등 같은 최고음을 가진 곡보다 더 쉽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어려운 발음으로 최고음을 찍다는 점과 여타 2옥시 곡들과 비교하면 감정을 더욱 실어서 불러야 한다는 점 때문에 3티어 정도로 평가받는다. == 라이브 기록 == ||<:>
<#000000><-4> {{{#fff '''곡 발매일 : 2016/01/28'''}}} || ||<:> {{{#fff '''날짜'''}}} || {{{#fff '''지역'''}}} || {{{#fff '''행사명'''}}} || {{{#fff '''비고'''}}} || || 160220 || 서울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첫 라이브 ] || || 160221 || 서울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227 || 부산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305 || 대전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312 || 대구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319 || 수원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402 || 울산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60409 || 광주 || 2016 엠씨더맥스 8집 앨범 발매기념 콘서트〈pathos〉 || || || 181221 || 서울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81222 || 서울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81229 || 대전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105 || 부산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112 || 대구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119 || 광주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126 || 전주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209 || 울산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216 || 성남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223 || 수원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302 || 창원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309 || 고양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190316 || 제주 || 2018-19 엠씨더맥스 콘서트 || || == 여담 == * 케이윌의 '그립고 그립고 그립다' 또는 '눈물이 뚝뚝'의 느낌이 난다는 의견이 있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pathos(음악)]] [[분류:M.C The Max/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6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