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교된 고등교육기관)] [include(틀:이홍하 계열 학교)] ||<-2> {{{+1 {{{#ffffff '''광주예술대학교'''}}}}}} [br] {{{#ffffff '''光州藝術大學校'''}}} [br] {{{#ffffff '''Kwangju Arts College'''}}} || ||<-2> [[파일:attachment/광주예술대학교/KwangjuArtsUniversity.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분류''' ||[[사립대학]] || || '''개교''' ||[[1993년]] [[1월 22일]] '''광주예술학교''' || || '''폐교''' ||[[2000년]] [[5월 23일]] || || '''설립자''' ||'''[[이홍하]]''' || ||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하남학원 || ||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향교길 19 || ||<-2> '''캠퍼스''' || ||<-2> [include(틀:지도, 장소=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향교길 19,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297057.jpg|width=100%]] ||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사립대학]]으로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향교길 19에 소재하고 있었다.^^( [[http://map.daum.net/?panoid=1041568831&pan=202.7&tilt=-0.4&zoom=-1&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true&map_attribute=ROADVIEW&q=%EC%A0%84%EB%82%A8+%EB%82%98%EC%A3%BC%EC%8B%9C+%EB%82%A8%ED%8F%89%EC%9D%8D+%EA%B5%90%EC%B4%8C%EB%A6%AC+45&urlX=464677&urlY=428920&urlLevel=2|보기]])^^ 참고로 이 대학 바로 앞에는 이홍하가 설립한 [[광남고등학교(전남)|광남고등학교]]가 있다. [[노태우 정부]]의 대학증설 공약에 의하여 학교법인 하남학원이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1993년]] 2년제 예술학교로 개교하였다. 인가 당초에는 하남예술학교라는 교명을 썼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121200289114014&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2-12-12&officeId=00028&pageNo=14&printNo=1420&publishType=00010|#]] 하지만 [[1991년]] 설립인가 신청때는 설립자가 [[이홍하]]가 아닌 화가였던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009002092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10-09&officeId=00020&pageNo=2&printNo=21615&publishType=00020|박지택]]으로 되어 있었는데, 설립 과정에서 이홍하가 인수하여 설립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1997년]] 200명의 신입생을 가진 정규 4년제 대학으로 개편하였다. 당시에는 [[디자인학과]], [[동양화과|동양미술학과]], [[음악학과]], [[무용학과]], [[문예창작학과]] 등 모두 다섯 개 학과가 있었다. 그러나 재단의 비리로 인해 설립자가 등록금 횡령 비리로 구속되기에 이른다. [[http://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2008029_30723.html|#]] [[http://www.seokgung.org/old/hhlee3.htm|그 당시의 처참한 참상]] 광주 지역 시민사회 단체들은 '광주예술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대책위원회'를 세워 학교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결국 '''[[2000년]] [[5월 23일]] 교육부에 의해 폐쇄 조치를 당하고 말았다'''. 한편 같은 [[이홍하]]가 설립한 [[한려대학교]]는 광주예대와 동시에 폐쇄 조치를 당하였지만 학교 정상화가 이루어졌다는 교육부의 판단 하에 그대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그 결과 한려대학교는 계속해서 비리·부실대학으로 악명을 떨치다가 결국, 2022년에 폐교되었다. == 의의 == '''대한민국에서 4년제 대학이 폐교 조치를 당한 것은 광주예술대학교가 최초이다'''.[* 2년제 [[전문대학]]까지 포함하면 [[1981년]]에 폐교된 [[대전성실전문대학]]이 최초의 사례.] 비리가 들통나서 교육부에서 폐교를 추진하자 재단 측에서 반발하지 않고 순순히 따른 데에는 더 큰 비리를 은폐하기 위해 사실상 자진 폐교했다는 설도 있다. 이후 [[2007년]] [[개혁신학교]][* 다만 이쪽은 오래 전부터 개점 휴업 상태였다.]와 [[아시아대학교]]가 사학비리로 인해 폐교를 당할 때까지 7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강제로 폐쇄된 대학은 이 광주예대가 유일했다. 이외에도 [[국립세무대학]]이 [[2001년]]에 폐교하였으나, 이 경우는 학교 쪽의 문제가 아닌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한 구조조정으로 인해 폐교된 것이다.[* 국립세무대학의 경우는 상당히 입결이 높았으며, 거의 이 학교 입결이 [[서울대]]와도 비볐던 시절이 있었으며, 서울대뿐만 아니라 [[학력고사]] 시절에는 이 학교를 붙으면 [[연세대]]와 [[고려대]] 아무 학과나 지원이 가능할 정도로 엄청난 좋은 성적을 요구한 학교였다. [[세무사]], [[회계사]], [[관세사]]가 되는데는 이 학교만큼 안성맞춤인 곳도 없었고, 등록금 면제에, 전원 기숙사 제공에, 졸업시 과에 따라 [[국세청]], [[관세청]] 등에 8급 공무원으로 특채로 들어간만큼 고려대, 연세대보다도 오히려 입결이 높았으면 높았지, 그만큼 대단했던 학교였다.] [[2011년]] 들어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재정지원제한대학]], [[학자금대출제한대학]]을 지정하여 대학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실제로 [[명신대학교]], [[성화대학]]이 사실상의 폐교 통보를 받은 상태이다. 이에 최초의 대학 폐교 사례로서 광주예술대학교가 다시 세간에 오르내리고 있다. == 여담 == * 광주예술대학교의 부지는 폐교 이후에도 여전히 방치되어 흉물스럽게 남아있다고 하며, 학적은 [[서남대학교]]에서 관리하였지만 서남대도 결국 폐교가 되어버렸다.[* 다행히 [[아시아대학교]] 사태 이후로 학적은 교육부에서 일괄 관리하게 되면서 졸업생의 학적 소멸 걱정은 없어졌다.] * 캠퍼스 바로 앞에 있는 남고인 [[광남고등학교(전남)|광남고등학교]]가 본래 홍복학원[* [[대광여자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재단] 산하였다가 1997년에 광주예대 재단인 하남학원으로 편입되었다. 하남학원은 광주예대 폐교 이후에도 광남고 재단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나주광남고등학교 야구부]]가 광주예대 운동장과 건물 1층을 사용하고 있다. [[분류:폐교된 대학교]][[분류:1993년 개교]][[분류:2000년 폐교]][[분류:이홍하 계열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