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광주시)] [include(틀:광주시의 읍면동)] [목차] == [[동(행정구역)|동]] == [[행정동]] 중 경안동, 광남1/2동, 쌍령동, 송정동, 탄벌동은 2001년 3월까지 광주읍에, 신현동, 능평동, 오포1/2동은 2022년 9월까지 [[오포읍]]에 속했던 지역이다. 2001년 3월에 광주읍 전체가, 2022년 9월에 [[오포읍]] 전체가 분동되었다. === 구 광주읍 지역 === ==== [[경안동]] ==== 관할 법정동은 [[경안동]]·[[역동]]이다. 인구는 '''29,072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1917년 이후 광주의 중심지. [[서울장신대학교]], [[광주종합터미널|경기광주터미널]], 경기남부경찰청, [[경기광주세무서]], 광주시공설운동장, 광주시립중앙도서관, 참조은병원이 있다. 역동은 [[축협]][* 정식명칭은 광주지구축산농협 본점.]이 주요 랜드마크. 역동(驛洞)에는 [[경기광주역]]이 있으며 역세권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학교는 경안초, 광주초, 역동초, [[광주중학교(경기)|광주중]], [[광주중앙고]]가 있다. ==== 광남1동 ==== 관할 법정동은 [[목동(경기 광주)|목동]]·삼동·장지동·[[중대동(경기 광주)|중대동]]·직동·[[태전동(경기 광주)|태전동]](일부)이다. 인구는 '''34,611명'''.[*A]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서 갈마치고개를 넘으면 나오는 곳으로, [[맹사성]] 묘가 있다. 태전동과 장지동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택지가 조성되고 있는 중이다. 목동, 중대동, 직동, 태전동에는 도로를 따라 중소기업 공장들이 켜켜히 들어서 있다. 학교는 광남초, [[경안중]], [[광남고등학교(경기)|광남고]]가 있다. ==== 광남2동 ==== 관할 법정동은 [[태전동(경기 광주)|태전동]](일부)이다. 2020년 12월자로 기존 광남동 중 태전동을 일부로 분동되었다. 인구는 '''33,535명'''.[*A] 직리천 남쪽의 아파트단지, 이른바 태전지구가 광남2동에 해당한다. 중심지인 경안동에서 떨어져 있는 신시가지라고 보면 될듯. 학교는 태성초, 태전초, 한아람초, [[광남중학교(경기)|광남중]], 태전중, [[태전고]]가 있다. ==== 쌍령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2020년 12월자로 경안동에서 분리되었다. 인구는 '''17,961명'''.[*A] 경안천 동쪽에 해당하는, 곤지암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으며 주택단지와 아파트단지가 혼재되어 있는 동네이다. 영은미술관이 있다. 학교는 쌍령초, 광주푸른초가 있다. ==== [[송정동(경기 광주)|송정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1,325명'''.[*A] [[광주시청]],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광주시법원, [[경기도광주하남교육지원청]], 경기광주우체국 등이 있어 나름 행정중심지이다. 시청이 있는 송정동 시가지와 경안동 본시가지는 다소 떨어져 있으나, 현재 그 사이에 송정지구라는 이름으로 택지를 조성 중이다. 학교는 송정초, [[경화여중]], [[경화여자고등학교(경기)|경화여고]], [[경화여자EB고등학교|경화여자잉글리쉬비즈니스고]], [[광주고등학교(경기)|광주고]]가 있다. ==== [[탄벌동]] ==== 관할 법정동은 [[목현동]]·[[탄벌동]]·[[회덕동(광주)|회덕동]]이다. 2020년 12월자로 송정동에서 분리되었다. 인구는 '''38,508명'''[*A]으로 광주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시내와 접하고 있는 탄벌동 쪽을 제외하면 이 인구가 거의 빌라, 원룸에서 산다. 광주시 최대의 빌라촌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 탄벌동파라다이스1단지가 법정동 탄벌동에 해당된다. [[광주경찰서]]가 있다. 학교는 벌원초, 탄벌초, [[탄벌중]]이 있다. === 구 오포읍 지역 === ==== [[능평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3,361명'''.[*A] 신현동만큼은 아니지만 능평동 역시 무질서하게 빌라들이 잔뜩 들어서 있다. 심지어 추모공원까지(...) 학교는 단 하나도 없다. ==== [[신현동(광주)|신현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6,655명'''.[*A] [[분당신도시]]에서 태재고개 넘어오면 바로 나오는 동네로, 광주시 난개발(...)을 상징하는 동네이다. 산 깊숙한 곳까지 빌라들이 잔뜩 들어서 있다. 분당과 매우 가까워 보이는 위치 때문에 유입 인구가 많이 늘었지만 도로는 빌라 사이사이의 동네길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터라 출근 때 동네를 빠져나오는 데만 해도 수십분이 걸리는 지옥을 경험할 수 있다. 결국 거리와 관계없이 분당까지 출근하는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기 때문에 거리만 보고 유입된 사람들을 절망하게 만드는 곳. 학교는 광명초, 신현초, [[신현중학교(경기)|신현중]]이 있다. ==== [[오포1동]] ==== 관할 법정동은 고산동·문형동·추자동이다. 인구는 '''21,355명'''.[*A] 광주 난개발의 점이지대(...) 같은 분위기로, 수지와 광주시내를 잇는 [[43번 국도]] 연선에 있는 동네. 산속에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이 있다. 학교는 오포초 하나 뿐이다. ==== [[오포2동]] ==== 관할 법정동은 매산동·양벌동이다. 인구는 '''33,847명'''[*A] 구 오포읍 중 경안천 동쪽에 해당하는 동네.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특수전학교]]가 있다. 광주시민체육관이 양벌동에 위치해 있다. 매산동에는 산등성이를 따라 공장지대가 들어서 있으며, 시 남쪽 끝에는 광주공원묘역이 있다. 학교는 매곡초, 양벌초, [[매양중]]이 있다. == 읍 == === [[곤지암읍]] === 읍소재지는 곤지암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건업리·곤지암리·삼리·만선리·봉현리·부항리·삼합리·수양리·신대리·신촌리·연곡리·열미리·오향리·유사리·이선리·장심리] 인구는 '''22,466명'''.[*A] 2004년 6월 2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원래는 ‘실촌읍’이었으나 이 읍의 읍소재지 이름에서 따온 [[중부고속도로]] [[곤지암IC]]가 명절 상습 정체구역으로 악명높다 보니 방송에 자주 오르락내리락하게 되어 오히려 곤지암의 인지도를 더욱 높여준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실촌읍 지역 전체가 곤지암이라고 불리게 되자 아예 2011년 6월 21일에 읍 명칭이 곤지암읍으로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곤지암IC는 곤지암리에 있지 않고 삼리에 있다. 곤지암[[소머리국밥]]으로 유명하며 [[경기도자박물관]], [[신립]]장군 묘, [[동원대학교]],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곤지암역]], [[팀업캠퍼스]]가 있다. [[곤지암 남양정신병원]]으로도 유명하다. 학교는 곤지암초, 만선초, 삼리초, [[곤지암중학교|곤지암중]], [[곤지암고]]가 있다. === [[초월읍]] === 읍소재지는 대쌍령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늑현리·대쌍령리·도평리·무갑리·산이리·서하리·선동리·신월리·쌍동리·용수리·지월리·학동리] 2004년 6월 2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는 '''49,813명'''[*A]으로 광주시의 읍면동들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원래 [[오포읍]]이 광주시의 읍면동들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으나 오포읍이 4개의 행정동으로 분동되면서 초월읍이 현 시점에선 다른 행정구역들 보다 인구가 가장 많다.] 백마산과 무갑산 사이에 끼인 곳으로 [[광주소방서]], [[허난설헌]]묘가 있다. 경안 시내에서 곤지암 사이 [[경충대로]] 길목이기도 해서 그런지 나름 아파트단지가 제법 형성되어 있는데, 위의 대쌍령리와 거기서 [[경충대로]] 건너 약간 떨어지게 위치한 쌍동리에 거주 인구가 많은 편이다. [[경강선]] [[초월역]]이 초월롯데낙천대2단지아파트, 초월롯데캐슬아파트 바로 앞에 있다. CJ대한통운의 수도권 거점HUB인 곤지암 메가허브, 일명 곤뮤다가 초월읍에 위치해 있다. 곤지암읍이 아니라는 게 포인트. 학교는 도곡초, 도평초, 선동초, 초월초, [[초월중]], [[초월고]]가 있다. == 면 == === [[남종면]] === 면소재지는 분원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검천리·귀여리·금사리·분원리·삼성리·수청리·우천리·이석리] 인구는 '''1,456명'''.[*A] 이름은 '남쪽(南) 끝(終)'인데, 실제로는 광주시의 북쪽 끝에 있다. 그 이유는 원래 [[양평군]](구 양근군)에 속했던 곳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광주군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서쪽으로는 하남, 동쪽으로는 양평(강하면)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팔당댐|팔당호]] 및 [[남한강]] 건너편으로는 남양주, 양평(양서면)과 마주보고 있다. [[조선]] 시대 분원리에 [[사옹원]]의 분원이 있어서 [[도자기]]를 만들었다. [[경안천]] 및 팔당호로 인해 서쪽(삼성리, 이석리)과 동쪽이 갈라져 있다. 두 지역을 왕래하려면 광동교가 있는 퇴촌면을 거쳐가야 한다. 소내섬은 행정구역상 우천리에 속하는 곳으로 1972년 [[팔당댐]] 건설로 생긴 팔당호로 인해 수몰되고 남은 섬이다. 즉, 우천리는 소내섬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이 수몰된 것이다. 남한강과 팔당호를 끼고 있기 때문에 풍광이 좋으며, 광주시에서 비교적 한적한 동네이다. 학교는 분원초 하나 있다. === [[남한산성면]] === 면소재지는 광지원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검복리·광지원리·불당리·산성리·상번천리·엄미리·오전리·하번천리] 인구는 '''2,332명'''.[*A] [[병자호란]] 전인 1600년대 초반 현재의 [[하남시]]에 있던 광주목 관아가 [[남한산성]] 안(산성리)으로 이전하면서 300년 동안 광주의 중심지였다. 그래서 원래 명칭도 '중부면'이었다가 [[일제강점기]]인 1917년 군청이 구 경안면(현재의 경안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2015년 10월 16일에 남한산성면으로 변경하였다. 면 이름처럼 [[남한산성]]으로 끝..은 아니고, [[중부고속도로]] [[광주IC]]가 있어 광주시의 관문이기도 하다. 성남 쪽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길이 완만하기 때문에 주말이나 등산철에는 생각보다 많이 막힌다. 학교는 광지원초, 남한산초, 번천초가 있다. === [[도척면]] === 면소재지는 노곡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궁평리·노곡리·도웅리·방도리·상림리·유정리·진우리·추곡리] 인구는 '''9,409명'''.[*A] 태화산에 [[서울대학교]] 학술림이 있다. [[곤지암리조트]] 역시 이곳에 있다. 학교는 도궁초, 도척초, [[광일중학교|광일중]]이 있다. === [[퇴촌면]] === 면소재지는 광동리이고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관음리·광동리·도마리·도수리·무수리·영동리·오리·우산리·원당리·정지리] 인구는 '''15,771명'''[*A]으로 면 치고는 인구가 좀 되는데, 면소재지인 광동리를 중심으로 자잘한 빌라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영동리는 지형적으로 양평군 강하면으로 열려 있어서 퇴촌면 타 지역과는 생활권이 조금 다르다.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의 발상지인 [[http://www.chonjinam.org|천진암 성지]]가 있는데, [[천진암 대성당]]이 공사중이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토마토]] 산지로도 유명하다. 율봄식물원, 퇴촌식물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경기도청소년야영장이 있다. 학교는 도수초, 광수중이 있다. [[분류:광주시]][[분류:광주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