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창작 뮤지컬]][[분류:2020년 극작품]][[분류:5.18 민주화운동/창작물]] [include(틀:라이브 제작)] ||<-2>
{{{+2 '''광주'''}}} [br]''City of Ligh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뮤지컬 광주.jpg|width=100%]]}}} || || '''제작''' ||라이브, 마방진 || || '''작·작사''' ||안준원(안필단)[* 초연 당시 작가를 '안드로메다 필력단'을 줄인 '안필단'으로 표기하였으나, 이후 2020년 한국뮤지컬어워즈 극본상 후보에서 작가의 이름인 '안준원'이 공개되었다.], 고선웅 || || '''작곡''' ||최우정 || || '''안무''' ||신선호 || || '''공연 장소''' ||초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재연: [[LG아트센터]] 삼연: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 || '''공연 기간''' ||초연: 2020.10.09 ~ 2020.11.08 재연: 2021.04.13 ~ 2021.04.25 삼연: 2022.04.15 ~ 2022.05.01 || || '''관람시간''' ||160분 (인터미션: 20분)|| [목차] [clearfix] == 개요 == 라이브, 마방진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루고 있다. == 시놉시스 == 독재자가 죽자 들불야학의 윤이건과 황사음악사의 정화인 등을 비롯한 광주 시민은 곧 민주의 봄이 올 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쿠데타를 일으킨 JT는 또 다른 독재를 시작할 욕망으로 모종의 시나리오를 짠다. 바로 광주 시민을 폭도로 몰아 진압하고, 정권 찬탈의 명분으로 삼으려는 것! 이를 위해 민간인으로 위장한 특수 군인인 일명 '편의대'를 광주로 투입한다. 불시에 [[계엄령]]이 확대되고 주요 민주인사들이 붙잡혀가자 광주 시민은 혼란에 빠진다. 급기야 계엄군의 무자비한 진압이 시작되자 윤이건과 정화인은 문수경, 이기백과 함께 시민들을 한데 모아 맞서 싸운다. 특히 윤이건은 노동 운동을 하다가 앞서 죽은 연인 순이와의 맹세를 지키고자 사력을 다하고, 정화인은 가족이 붙잡혀간 청솔부인회 회원들을 다독이고 이끌어 항쟁의 최전선으로 뛰어든다. 한편, 편의대에 갓 하사로 부임한 광주 출신 박윤철은 '박한수'라는 작전명을 부여받고 십 년 만에 고향 땅 광주를 밟는다. 시민들 틈에 섞여 작전을 수행하던 박한수는 고향 친구 문수경을 만나 야학교로 들어가게 된다. 어느 날 야학생 오용수가 계엄군의 급습에 죽는 걸 눈앞에서 목격한 그는 자신의 임무가 잘못되었음을 느끼고 혼란에 빠지는데... '''1980년 5월,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 없이 죽어간 광주 시민들. 과연 그들의 진실은 밝혀질 수 있을까?''' == 등장인물 == * 박한수 505 부대 편의대원 * 윤이건 야학 교사 * 정화인 황사음악사의 주인 * 문수경 야학 교사 * 허인구 505부대 특무대장 * 오활사제 천주교 사제 * 이기백 열혈 시민군 * 거리 천사 거리의 철학자 * 김창석 시민군 평화파 대표 * 장삼년 야학생 * 오용수 야학생 == 넘버 == 초연 기준 '''1막''' 1. 서곡 2. 우리는 편의대 1 3. 눈을 떠 4. 그 날이 올 때까지 1 5. 우리는 편의대 2 6. 마지막 임무 1 7. 예비검속 8. 하룻밤의 꿈 9. 투쟁가 1 10. 눈엔 눈 11. 무력 앞에 무력하네 12. 천불난다 1 13. 투사 회보 14. 가끔 그런 생각 15. 줄타기 16. 아니 아니야 17. 덫 1 18. 훌라훌라 19. 덫 2 '''2막''' 20. 대치 1 21. 어지러운 머릿속 22. 마음만은 알아주세요 23. 맹세 24. 검은 리본 달았지 25. 검은 연기 26. 왜 나를 흔드는 거냐 27. 대치 2 28.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29. 프락치를 죽여 30. 나를 짓밟고 타 넘어라 31. 어둠은 가시고 눈물은 마르리 32. 차마 33. 그 날이 올 때까지 34. 도무지 알 수 없는 일 35. 마지막 임무 2 36. 투쟁가 2 37. 천불난다 2 38. 우리 흘린 눈물 39. 전설 속에 영원히 40. 님을 위한 행진곡 == 출연진 == === 2020년 공연 === 2020.10.09 ~ 2020.11.08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박한수: [[민우혁]], [[테이]], [[서은광]] * 윤이건: [[민영기]], [[김찬호(배우)|김찬호]] * 정화인 : [[장은아]], [[정인지(1984)|정인지]] * 문수경: [[정유지]], [[이봄소리]], [[최지혜(뮤지컬 배우)|최지혜]] * 허인구: [[이정열(배우)|이정열]], [[박시원(배우)|박시원]] * 오활사제: [[서현철]], 이동준 * 이기백: [[김대곤]], [[주민진(배우)|주민진]] * 거리 천사: 김아영, [[김국희]] * 김창석: 김태문 * 장삼년: [[문성일]] * 오용수: [[이봉준(뮤지컬 배우)|이봉준]] * 광주시민: [[김보현(배우)|김보현]], 김은주, 강하나, 허순미, [[문경초]], 김민정, 서은지, [[김찬종]], [[박선영(뮤지컬 배우)|박선영]], 임상희 * 편의대원: 백시호, 김윤하, 전우태, 추광호, 박병훈, 김민수, 김한결 === 2021년 공연 === 2021.04.13 ~ 2021.04.25 LG아트센터 * 박한수: [[민우혁]], [[신우]] * 윤이건: [[민영기]], [[김종구]] * 정화인: [[장은아]] * 문수경: [[이봄소리]], [[최지혜(뮤지컬 배우)|최지혜]] * 허인구: [[이정열(배우)|이정열]], [[박시원(배우)|박시원]] * 오활사제: 이동준 * 이기백: [[안창용]] * 거리 천사: 임진아 * 김창석: 김태문 * 장삼년: [[문성일]] * 오용수: 문남권 * 광주시민: [[송상훈(배우)|송상훈]], [[문경초]], 이종영, [[박선영(뮤지컬 배우)|박선영]], 김은주, 강하나, [[허순미]], 김민정, 서은지, 임상희 * 편의대원: 백시호, 김윤하, 전우태, 박병훈, 김민수, 안준혁, 김한결 === 2022년 공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D4C4B4)" {{{#fff {{{+1 '''캐릭터 포스터'''}}}}}}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윤이건_이지훈.jpg|width=100%]]||[[파일:윤이건_조휘.jpg|width=100%]]||[[파일:박한수_정동화.jpg|width=100%]]||[[파일:박한수_신성민.jpg|width=100%]] || || '''{{{#fff 윤이건 역:}}}''' [[이지훈(멀티 엔터테이너)|'''{{{#fff 이지훈}}}''']] || '''{{{#fff 윤이건 역:}}}''' '''{{{#fff 조휘}}}''' || '''{{{#fff 박한수 역:}}}''' [[정동화(배우)|'''{{{#fff 정동화}}}''']] || '''{{{#fff 박한수 역:}}}''' [[신성민|'''{{{#fff 신성민}}}''']] || || [[파일:정화인_문진아.jpg|width=100%]]|| [[파일:정화인_김나영.jpg|width=100%]]|| [[파일:문수경_효은.jpg|width=100%]]|| [[파일:문수경_최지혜.jpg|width=100%]] || || '''{{{#fff 정화인 역:}}}''' [[문진아|'''{{{#fff 문진아}}}''']] || '''{{{#fff 정화인 역:}}}''' [[김나영(1995)|'''{{{#fff 김나영}}}''']] || '''{{{#fff 문수경 역:}}}''' [[효은|'''{{{#fff 효은}}}''']] || '''{{{#fff 문수경 역:}}}''' [[최지혜(뮤지컬 배우)|'''{{{#fff 최지혜}}}''']] || || [[파일:허인구_박시원.jpg|width=100%]]|| [[파일:허인구_권동호.jpg|width=100%]]|| [[파일:이기백_주민진.jpg|width=100%]]|| [[파일:이기백_장민수.jpg|width=100%]] || || '''{{{#fff 허인구 역:}}}''' [[박시원(배우)|'''{{{#fff 박시원}}}''']] || '''{{{#fff 허인구 역:}}}''' [[권동호|'''{{{#fff 권동호}}}''']] || '''{{{#fff 이기백 역:}}}''' [[주민진(배우)|'''{{{#fff 주민진}}}''']] || '''{{{#fff 이기백 역:}}}''' [[장민수(배우)|'''{{{#fff 장민수}}}''']] || }}} || 2022.04.15 ~ 2022.05.01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 윤이건: [[이지훈(멀티 엔터테이너)|이지훈]], 조휘 * 박한수: [[정동화(배우)|정동화]], [[신성민]] * 정화인: [[문진아]], [[김나영(1995)|김나영]] * 문수경: [[효은]], [[최지혜(뮤지컬 배우)|최지혜]] * 허인구: [[박시원(배우)|박시원]], [[권동호]] * 오활사제: 이동준 * 이기백: [[주민진(배우)|주민진]], [[장민수(배우)|장민수]] * 거리천사: 김아영, 김은숙 * 김창석: 김태문 * 장삼년: [[원우준]] * 오용수: 문남권, [[이봉준(뮤지컬 배우)|이봉준]] * 시민군: [[김보현(배우)|김보현]], [[송상훈(배우)|송상훈]], 김동현, 신은호 * 광주시민: 강하나, 신진경, 민정아, 이예지, 서은지, 임상희 * 편의대원: 백시호, 진우태, 임동섭, 이재혁, 현익창, 안준혁, 김한결 === 2023년 공연 === * [[http://www.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9&category=126&item=&no=30071|네 번째 시즌을 앞두고 캐스팅을 공개했다]]. 2023.05.16 ~ 2023.05.21 광주광역시 빛고을시민문화관 * 윤이건: [[김찬호(배우)|김찬호]] * 박한수: [[김진욱(뮤지컬 배우)|김진욱]] * 정화인: [[김수(뮤지컬 배우)|김수]] * 문수경: [[효은]], [[최지혜(뮤지컬 배우)|최지혜]] * 허인구: [[박시원(배우)|박시원]] * 오활사제: 이동준 * 이기백: [[장민수(배우)|장민수]] * 거리천사: 김아영 * 김창석: 김태문 * 장삼년: '''[[조배근(배우)|조배근]]''', 원우준(문성일) * 오용수: 문남권 * 시민군: '''구자언''', '''황수빈''', '''나승현''' * 광주시민: '''이수정''', 김은주, 강하나, 신진경, 민정아, 서은지, 신은호 * 편의대원: 양찬주, 백시호, 전우태,임동섭, 이재혁, 안준혁, 김한결 == 기타 == * 2021년 4월 6일에 배우 장은아와 민우혁이 [[SBS 나이트라인]]에 출연하여 뮤지컬을 홍보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269304|영상]] === 재관람혜택 === ||<-2> {{{#fff '''삼연'''}}} [[https://twitter.com/livecorp2011/status/1514849305458515968?s=21&t=WHZiQg8V6etEG9m5ZG2Dqg|재관람 카드]] || || '''3회 적립'''[br]50% 할인권 || '''5회 적립'''[br]50% 할인권, City of Light 아크릴 무드등 || === MD === || {{{#white 공연}}} || {{{#white 제품명}}} || {{{#white 가격}}} || {{{#white 실물/링크}}} || ||<|2> 삼연 || 프로그램북 || 13,000원 || [[https://twitter.com/livecorp2011/status/1514909339446038532?s=21&t=WHZiQg8V6etEG9m5ZG2Dqg|#]] || || 빛의 도시 유리컵 || 10,000원 || [[https://twitter.com/livecorp2011/status/1517071557897895936?s=21&t=WHZiQg8V6etEG9m5ZG2Dqg|#]] ||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선웅 작/각색/윤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