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7년 2월 24일까지 존재했던 노선, rd1=광주 버스 상무22)]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621c7050-4f98-4a69-9521-75578456095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oto_Blur_Jan112018_11501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첨단{{{#red 2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첨단2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국립광주과학관)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2:40 || 막차 || 22:50 || ||<-2> 평일배차 || 10~25분 ||<-2> 주말배차 || 25~32분 || ||<-2> 운수사명 || [[대창운수]] ||<-2> 인가대수 || 10대[* 공휴일 8대.] || ||<-2> 노선 ||<-4> [[장등공영차고지]] - 각화중 - 농산물공판장 - 문흥지구 - 자연과학고 - 북부경찰서 - 고려고 - 국제고 - 향토음식박물관 - 양산호수공원 - 양산초교입구 - 용두주공 - 교통공원 - 농산물품질관리원 - 첨단라인아파트 - 첨단초교 - 첨단금호아파트 - 광주과학기술원 - [[국립광주과학관]] || == 개요 == 대창운수가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이다. [[https://m.map.naver.com/bus/lane.nhn?busID=52003|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장거리 노선이었던 [[광주 버스 상무22|상무22번]]이 2017년 2월 25일에 이 노선과 첨단22번으로 분리되었다. * 각화동 힐스테이트 입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12월부터 정차를 개시하였다. [[광주 버스 두암81|지선]] [[광주 버스 용전86|노선들]]에 비해선 몇 달 늦었다. == 특징 == * 장등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문흥지구 방면으로 바로 가지 않고 [[광주 버스 용전86|용전86번]]처럼 각화초교, 농산물공판장 방면으로 돌아간다. 이후 문흥지구입구~첨단사거리는 기존 [[광주 버스 상무22|상무22번]]과 동일하게 운행 후 첨단라인아파트에서 첨단초교, 과학기술원 방면으로 틀어 대창운수 차고지로 들어간다. * 기존 [[광주 버스 상무22|22번]]과 다르게 [[첨단2지구]]를 경유하지 않으니 문흥동, 삼각동에서 2지구로 갈려면 복룡입구 정류장에서 도보 이동하거나 향토음식박물관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일곡10|일곡10번]], 양산타운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송정700|700번]]과 --[[광주 버스 북구799|799번]]--[*휴업][* 여기서도 10번으로 갈아탈 수 있다.]으로 갈아타면 된다. 또한, 롯데칠성 정류장에 내려서 사거리 근처에 있는 한양아파트 정류장까지 이동해서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번]]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다. * 첨단2동행정복지센터(LC타워) 앞에 정차하지 않으며 첨단사거리 또는 첨단우리은행에서 하차하여 도보 이동해야 한다. * 수완지구 방면으로 이동 시에는 첨단사거리나 첨단라인아파트에서 하차하여 [[광주 버스 일곡10|일곡10번]], [[광주 버스 문흥39|문흥39번]],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 [[광주 버스 상무22|기존 22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다소 길어져 불편이 우려된다. KT&G광주공장 정류소에서 1대 놓치면 대창운수 방향 다음 버스는 이제 막 문흥지구를 빠져나왔고, 장등차고지행 다음 버스는 아직 첨단지구를 못 빠져나왔다. * 빛고을 아트버스를 이 노선에서 1대 운행했었다. * 2차고 기사들이 정규직으로 올라오면, 본사 소속 기사들과 마찬가지로 [[광주 버스 첨단22|형제 노선]]부터 시작한 후. 일정 기간 이후로 위 노선으로 오게 된다.[* 회사 사정에 따라 기간은 다르다. ] 2017년 노선개편 이전에는 [[광주 버스 첨단95|첨단95]] 노선을 운행하다가, 일정 기간 이후에는 [[광주 버스 문흥39|문흥39]] 노선으로 이동하였다. * [[광주 버스 문흥39|문흥39번]]과 기종점이 같지만, 중간경유지는 완전히 다르다. 문흥지구에서 첨단으로 빨리 가려면 이 노선을 타자. 39번은 말바우시장, 금남로, 양동시장, 서구청,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동천마을, 수완지구로 엄청나게 '''[[굴곡 노선/버스|뱅뱅 돌아간다.]]''' 1시간 30분~2시간[* 시에서 제공하는 39번의 편도 주행시간은 95분(1시간 35분)이다. 하지만 퇴근시간대에 이용한다면 터미널, 수완지구에서 극심한 정체현상으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따라서 23번을 놓쳤더라도 다음 23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을 날리기 싫으면 주의하자. 이 노선은 30분 정도면 충분하다. *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난다. 주말 시간표는 20~25분으로 안내되지만, 실제로는 35~40분까지 간격이 벌어질 정도로, 이 버스를 눈앞에서 놓치면 환승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이 노선의 평일 배차 간격도 짧은 편은 아니지만, 주말에 특히 이 노선을 이용하려 한다면 버스앱 등을 이용하여 버스 현황을 확인한 후 이용하도록 하자. * 확실히 [[광주 버스 상무22|노선분리 전 시절]]이 리즈 시절이였고, [[광주 버스 첨단22|첨단22번]]과 첨단23번으로 나누어진 지금은 수요가 많이 줄었다. 분리하면서 [[광주송정역]], [[광주공항]]을 미경유하게 되었고, 광주송정역에서 북구지역(연제/신용/양산/일곡/문흥)와 첨단지구를 빠르게 이어주던 노선도 옛말이 되었다.[* 광주송정역 출발 기준으로 연제동은 33번이, 일곡동은 원래 있던 29번이, 문흥동은 19번 또는 160번이 대체한다. 신용-양산동은 33번 타고 중간에서 10번이나 23번으로 갈아타야 한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 관련 문서 == * [[광주 버스 상무22]] ==# 둘러보기 #== [include(틀:첨단2지구 연계 노선)]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