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J19_NB106.jpg|width=100%]]}}} NEW BS106 차량 [* 현재 이차량은 22년식 에디슨모터스 스마트110G로 대차되어 동일노선에 운행중입니다..]||{{{#!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정19번_에디슨모터스 스마트110G.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0000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송정1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송정19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차고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2:25 || 막차 || 22:25 || ||<-2> 배차간격 ||<-4> 11~20분[* 광주송정역 주차빌딩 신축 공사로 2022년 10월까지 평일배차와 주말배차가 통합된다.] || ||<-2> 운수사명 || [[현대교통(광주)|현대교통]] ||<-2> 인가대수 || 16대[* 공휴일 14대.] || ||<-2> 노선 ||<-4> 도산동종점 - 공군부대 - 도산동행정복지센터 - 금강1길 - [[광주송정역]] - [[송정공원역]] - [[공항역(광주)|공항역]] - 장암마을 - 서창입구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전남고입구 - [[상무역]] - 상무지구입구 - [[운천역(광주)|운천역]] -서광주세무서 - [[쌍촌역]] - [[화정역(광주)|화정역]] - 서구청 - [[돌고개역]] - [[양동시장역]] - 양동시장교차로 - [[광주일고]]/광주고용센터 - 롯데백화점 - 삼성콜센터([[광주역]]) - 중흥초교 - 4.19기념관 - 서방시장 - 말바우시장(서) - 동부시장 - 북구청 - [[전남대학교|전남대동문]]- [[전남대학교|전남대공과대학]] - 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 오치한전 - 자연과학고 - 문흥라인동산아파트 - [[장등공영차고지]] || ||<-2> {{{#ff0000 '''중간 출발 정류장'''}}} || || '''양 방향''' || 롯데백화점 ^^05:40^^ || == 개요 == 현대교통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133&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60번(장등동 - 호남대광산캠퍼스) 버스가 전신이다. [[광주 버스 송정196|구 555번]]과 함께 [[나주 버스 160|160번]]에 맞서 경쟁했으며, 공격적으로 신차를 투입하는 등 지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 최초로 도입한 게 몇 가지 있는데, 2004년 버스위치정보 시스템을 60번에 시범 도입하였으며[* 현재의 BIS 만큼은 아니며 일부 주요 승강장에만 설치돼 있었고 몇 정거장 전이라고만 표시되었다.] [[천연가스버스]] 차량을 최초로 투입하기도 했다. 반면 160번은 이에 맞서 고급차량으로 물량공세를 벌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경쟁은 2006년 개편 때 [[광주 버스 문흥39|송정39번]]이 추가되어 39+19 vs 160이라는 구도로 재편되었다. 다만 이 때 19번의 배차간격이 60번 시절의 두 배 이상으로 벌어졌다. * 그러나 2008년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전구간 개통하기 전이란 걸 감안하더라도 [[상무역]]부터 [[금남로5가역]]까지 구간이 완벽하게 중복되는 특성 때문에 중복 노선에 대한 정리의 필요성이 생겼고, [[평동역]]까지 전 구간 개통이 되자 39번은 새로 조성되는 수완지구로 노선을 보냈고, 19번만이 홀로 남아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이 때 박호동, 소촌동 일대의 [[광주송정역]] 연계를 위해 공군부대 후문과 광주송정역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장대노선 운전기사의 피로경감을 위해 '광산구청 - [[광주송정역]] - 신동사거리 - [[도산역]] - 공군부대 - 공군부대후문 - 송정호반아파트 - 도산동행정복지센터 - 송정초교 - 송정대덕아파트 - 상전 - 송정모아아파트 - 송정파출소' 구간을 영광통과 [[송정공원역]] 경유로 직선화하였다. [[http://jungheung2.bukgu.gwangju.kr/board.es?mid=e20104000000&bid=0080&act=view&list_no=2910|관련 공지사항]] * 주민 반발로 1주일도 안 되어 [[광주송정역]]까지만 찍고 가는 것으로, 다시 2달여 만에 원래대로 돌아왔다. 사실 이 땐 대체노선도 없이 바꾼 것이라 반발이 더 컸다. 2017년 개편에선 45번과 101번을 대신 투입시키는 것으로 불만을 달랜 셈이다. 물론 주민센터쪽으로 재조정받긴 했지만. * 2017년 2월 25일에 [[상무대로]]를 따라 [[광주송정역]]을 경유하여 도산동 종점으로 변경되면서 북구 문흥동, 오치동, 용봉동 쪽에서 광주송정역으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 되었다. [[http://www.bukgu.gwangju.kr/board.es?mid=a10801010400&bid=0114&act=view&list_no=8492|관련 공지사항]] 중흥동 구간은 삼성콜센터를 양방향 경유한다. 개편으로 노선 거리는 줄어들고 간선 시절의 현대교통 소속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번]] 철수분이 이 노선 증차분으로 투입되어서 차량 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배차간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현재 33번은 지선으로 전환되었으며 [[대창운수]]에서 단독 운행중이다.] 도산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은 '금강1길 ~ 공군부대' 구간만 운행하며, 전체적인 구간은 [[광주 버스 지원45|지원45번]]이 대체 노선으로 투입되고, 박호동 및 소촌동 일대에서 [[광주송정역]]을 연계하는 역할은 [[광주 버스 수완11|수완11번]]과 통합한 [[광주 버스 선운101|선운101번]]이 운행 중이다. * 2017년 4월에 도산역 직통으로 가던 것을 개편 전에 다니던 도산동 남쪽 구간을 살려서 일부 구간을 재 경유하게 되었다. 단, 개편 전과 경유하는 방향이 다르므로 방향을 구분해서 타야 된다.[* 도산동 방향은 광주송정역(동) 정류소에 정차한다.] * 2019년 7월 24일 선운14번, 송정98번의 차량이동으로 인하여 4대가 감차되었다. 160번, 지하철과의 심한 겹침 때문의 수요 부족이 원인인 듯. == 특징 == * 광주송정역~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구간은 (문흥지구 구간과 광주역 왕복 경유를 제외하면) [[나주 버스 160]]과 100% 일치한다.[* 단, 19번은 양방향 광주역 앞으로 가는 반면 160번은 영산포방면만 광주역 앞으로 가고, 문흥동방면은 구시청사거리로 간다. 문흥지구에서는 이 노선은 [[광주 버스 운림35|운림35번]]처럼 용봉중 방향으로 가서 오치한전에 정차하지만 [[나주 버스 160|160번]]은 [[광주 버스 문흥80|문흥80번]]처럼 운행해 오치한전옆 정류장만 정차한다.] * 2017 충장축제로 일부시간대에 문화전당~수창초교 구간이 통제됨에 따라, 이 노선도 우회하여야하지만 정작 안내문에선 빠져있다.[* 삼성콜센터에서 양동시장 가는데는 제봉로 경유로 충분하나, 반대쪽은 대인광장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한 관계로 NC백화점 쪽으로 우회할 것으로 보인다.] * 저상버스가 9대 운행 중이며, 불법주차 단속차량도 5대 운행 중이다. * [[나주 버스 160|160번]]과 인연이 깊은 노선이라 그런지, 두 노선 기사들끼리 서로 손인사를 자주 한다. 은근 사이가 좋으신듯. * 2018년 들어 저속주행이 매우 심해졌다. 저상버스가 40km/h도 겨우 넘길 정도로 매우 느려졌다. 나주 160번과 19번 둘 다 타보면 확연히 차이가 날 정도로 느릿느릿하게 간다. 그러나 감차된 이후에는 고속주행하는 경우가 은근히 늘어났다. * 전체적으로 수요 패턴은 [[나주 버스 160|나주 160번]]하고 비슷하지만 이 노선은 예전부터 그랬고 5대를 증차한 개편 이후에도 마찬가지지만 [[나주 버스 160|나주 160번]]에게 많이 밀린다. 환승을 하려면 이 노선을 타는게 좋지만 160번이 더 자주오고 더 신속하다 보니 이 노선의 인식은 160번 안 올때 타는 노선이라는 인식이 박혀 있다. 심지어 상기한 저속주행등의 사유로 인해 고의로 기피하는 사람들까지 생기고 있었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입석 채우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고 160번의 배차가 은근히 잘 깨지는 편이라 증차 이후로는 보조 노선으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져서 없애기도 곤란한 노선이다. 게다가 상술했듯이 감차 이후에는 은근히 과속하고 있다. 그리고 선형이 100% 일치하는 게 아니고 기점부근인 문흥동에서는 그래도 어느 정도 타는 편이라 더욱 애매한 노선이다. 하지만 텅텅 비어가는 일이 더 많아 이대로 계속 두면 심각한 적자가 초래될 지도 모르니 개선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노선과 [[나주 버스 160|160번]]의 관계와 비슷한 예시를 꼽자면 바로 [[광주 버스 지원25|지원25번]]과 [[화순교통]](318, 318-1 제외). 그나마 지원25번은 개편 이후 신규 구간(벽진동 오지지역, 상무중앙로 경유)이 생겨 수요가 살짝이라도 늘었지만 이 노선은 신규 구간도 없고 이후 재개편된 구간도 본래 다니던 도산동 구간을 살짝 꼬아논거라 신규 수요는 전무하다. 그나마 [[광주역]]을 양방향 경유하게 되었지만, 기존 정류장과 그리 멀지 않아 별 효과가 없다. 하다못해 광주역에 [[KTX]]라도 들어왔으면 그나마 나았을것이다.][*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은 요금이 비싸고 정류장이 얼마 없는데다가, [[나주 버스 1160]]번은 38분이라는 긴 배차간격에 [[광주송정역]]과 [[광주공항]]만을 훑고 지나가는 특성상 이 노선이 혁신도시 내 아파트 단지와 교통이 심각하게 불편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돌아준다면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은 자명하겠지만, 지금도 노선 길이가 상당히 긴데 혁신도시까지 연장할 경우 [[광주 버스 송암72|송암72]]를 넘어서는 초장거리 노선이 탄생한다. 다만 화순 방면의 또 다른 시계외 버스인 [[광주 버스 지원152]](특히 능주역 운행 시간대) 역시 이에 못지 않은 장거리 노선이다.][* 사실 나주 시내든 혁신도시든 이 버스가 나주 시계 내로 들어가는 순간 나주교통이 가만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이 노선을 거의 복붙한 송정39번이 진곡196번과 통합하여 나주터미널까지 들어갔다가 당시 160번을 운영하고 있던 광신고속의 반발로 2주일만에 철회했던 일이 있기도 했고, 02번도 혁신도시로 진입하는 걸 나주교통(과 나주시)에서 반대하는 바람에 한동안 도산동에서 타절했다가 국토부 조정까지 거쳐서 겨우 혁신도시로 들어갔다. 그러나 혁신도시의 인구 비중이 크지 않던 조성 초기와 달리 현재는 나주 11만 5천명 인구 중 4만명이 혁신도시 주민이기 때문에 나주시에서 노선 연장 시 직접적인 수혜를 볼 혁신도시 주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가 없다. 즉, 나주교통이 반발해도 옛날만큼 나주시가 강경하게 나가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후 혁신도시 LH4, 5, 6단지, 부영1, 3단지 등 아파트 단지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재학생 및 방문객의 민원으로 인해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의 한국에너지공대 연장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나주시]]에서도 혁신도시 주민들의 요구를 예전과 같이 묵살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1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워낙 길어 시 입장에선 대중교통 지원에 중복된다는 점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안 그래도 1호선 이용객이 적어 운영적자가 어마어마 하다 보니 문제를 삼지 않을 수 없다. 빨리 노선 개편을 하는 게 답일것이다. * 빛고을 아트버스 1대를 운행했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도시철도)|광주송정역]], [[송정공원역]], [[공항역(광주)|공항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상무역]], [[운천역(광주)|운천역]], [[쌍촌역]], [[화정역(광주)|화정역]], [[농성역]], [[돌고개역]], [[양동시장역]], [[금남로5가역]][* 롯데백화점 또는 광주일고/광주고용센터 하차 후 도보로 이용(약 1~2분).] * 일반 철도역: [[광주송정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간선]][[분류:199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