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파일:북구788_1010.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북구78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북구788_노선도.png|width=100%]][* 2022년 9월 노선 개편 전 사진이다.]}}} || ||<-2>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남부대학교)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시화문화마을문화관) || ||<|2> 종점[br]행 || 첫차 || 06:55[* 토,공휴일 07:08] ||<|2> 기점[br]행 || 첫차 || 06:40[* 토,공휴일 06:50] || || 막차 || 20:24[* 토,공휴일 19:25] || 막차 || 20:40[* 토,공휴일 19:30] || ||<-2> 평일배차 || 20~40분 ||<-2> 주말배차 || 30~50분 || ||<-2> 운수사명 || [[광남고속관광]] ||<-2> 인가대수 || 평일 7대, 공휴일 4대 || ||<-2> 노선 ||<-4> 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 첨단2동행정복지센터 - 우편집중국 - 교통공원 - 광주은행양산동지점 - 양지초교 - 양산호수공원 - 코카콜라 - 국제고 - 고려고 - 북부경찰서 - 오치한전 - 도로교통공단 대신파크 - 전남대공과대학 - 전남대동문(← 전남대스포츠센터) - 북구청 - 말바우시장 - 덕산아파트 - 두암중(→ 삼정초교) - 문화초교 - 각화무등파크 - 시화문화마을문화관 || == 개요 == 광남고속관광에서 운행하는 북구 마을버스 노선으로, 운행거리는 18.4km이다. == 역사 == * 2021년 12월 31일에 개통된 마을버스 노선이다. 당초 개통일은 2021년 12월 20일 월요일이었지만 연기되었다. * 2022년 09월 13일부터 첨단지구 구간의 경로가 '첨단부영아파트 ~ 첨단롯데마트'에서 '무양서원입구 ~ 우편집중국'으로 변경되었다. 추가로 전남대스포츠센터 정류소가 남부대 행 편도 정차로 변경되었고 두암초교 정류소와 각화중 정류소를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 특징 == * 북구 면허 중 두번째의 마을버스 노선이다. 첫 번째의 북구 면허 마을버스는 [[광주 버스 북구777|북구777번]]. * 개통식을 2021년 12월 30일 오후 3시, 시화문화마을문화관 주차장에서 진행하였다. * [[남부대]]는 [[조선대]], [[전남대]]에 이어 광주광역시 대학 캠퍼스 내에 버스 정류장이 있는 세 번째 대학이 되었다. * 노선의 상당 부분이 [[광주 버스 첨단23|첨단23번]]과 겹친다.[* [[첨단지구]]부터 [[오치동]]까지 매우 비슷하다.] 기점 부분에서는 첨단사거리에서 첨단2동행정복지센터 쪽으로 꺾고, 종점 부분에서는 서하로에서 용봉중 방향이 아닌 오치한전, 전남대 후문 방향으로 꺾는다. * 전남대스포츠센터, 전남대동문, 전남대공과대학 정류장에 '''모두''' 정차한다.[* 단, 전남대스포츠센터는 남부대 방면만 정차한다.] 오치한전과 [[광주 버스 운림54|운림54번]]의 편도 정류장인 오치한전(북)에도 모두 정차한다. * 두암동 일대의 노선이 특이하다. 덕산아파트에서 군왕로를 따라 문화초교로 가는 것이 아닌 두암중, 대주빌라, 두암라인동산아파트를 C자 형태의 탁영로, 삼정로를 경유하여 문화초교로 향한다. 두암중 정류장은 이 노선 운행으로 신설된 버스정류장이다. * 두암중~문화초교 구간에서 안 그래도 좁은 도로에 불법주차 차량이 많아 운행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 운전자 단말기는 구형을 쓰다가 2022년 12월 중에 운전석 단말기만 [[C-ITS]] 신형단말기로 바꿨다. 내부 LED의 경우 [[삼원FA]] 제품인데, 특이하게 [[나라교통]], [[광주 버스 북구777|777번]] 차량에 나오는 마을버스식 표출방식이 아닌 시내버스의 표출방식으로 나온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 둘러보기 == [include(틀:첨단2지구 연계 노선)]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마을]][[분류:202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