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남55.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남.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금남5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금남55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2> 종점 || 광주광역시 남구 덕남동(시립제2요양병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2> 평일배차 || 15~25분 ||<-2> 주말배차 || 25~35분 || ||<-2> 운수사명 || [[을로운수]] ||<-2> 인가대수 || 12대[* 공휴일 10대.] || ||<-2> 노선 ||<-4> 장등공영차고지 - 농산물공판장 - 각화무등파크 - 두암초교 - [[동강대학교|동강대후문]] - 북구청 - 전남대사거리(동) - (→ 광주역(동) →/← 광주역 ←) - 산수동우체국 - ~~(→ [[조선대학교|조선대]] →) -~~ 서남동행정복지센터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충장치안센터 - 중앙대교(동) - 학강초교 - 수피아여고 - 서광중 - 백운우체국 - 남구청 - 봉선대화아파트 - 진월리채3차 - 진월저수지 - 빛고을노인건강타운 - (→ 빛고을전남대병원 →) - 시립제2요양병원 || == 개요 == 장등동과 시립2요양병원을 잇는 ~~간선~~ [* 북구, 동구, 남구를 지나간다. 충장로는 물론 남구 봉선동(남구청~문성고)까지도 경유한다. 이렇게 지선을 빙자한 간선 노선급 버스는 송암72, 송암74도 있다. 이 3개 노선은 2007년 개편 때 노선이 급격히 길어진 경우이다.] 지선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16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6년 개편 때 신설되었다. 원래 계획은 구 2번(장등동 - 말바우시장 - 광주고 - 도청 - 전대병원오거리 - 양림동 - 봉선동)의 일부를 살린 '문화전당역 - 기독병원 - 남구문화예술회관'이었으나, 개편 직전에 문화전당역에서 조선대를 거쳐 지산동 단사공원까지 연장된 '단사공원 - 봉선동'으로 신설되었다. * 2007년 노선 재조정 때 단사공원 구간이 없어지는 대신 '계림초교 - 광주역(구 9번의 도청-북구청 노선) - 말바우시장 - 문화초교 - 장등동' 구간이 연장되면서 간선이 되었다. 이 때 대형 차량들이 잠깐 투입되기도 했다. * 2008년 경에 '봉선대화아파트 - 조봉초교 - 남구문화예술회관' 구간을 '봉선대화아파트 - 진월리채3차 - 송화마을3단지' 구간으로 변경시켰고, 송화마을4단지를 종점으로 하였다. * 2009년 2월 22일에 빛고을노인건강타운까지 연장되었다. 이 시기에 다시 지선으로 전환되고 중형 차량으로 격하되었다. * 2014년 6월 14일에 시립제2요양병원까지 연장되었다. * 2017년 2월 25일부터 [[을로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하며, [[동화운수]] 차량은 [[광주 버스 지원56|지원56번]]으로 이동했다. == 특징 == *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번]]과 기점과 종점이 동일한데 송암47번은 '[[유스퀘어]] - 원광대한방병원' 방향으로, 이 노선은 '북구청 - 문화전당' 방향으로 운행한다. * 금남로 일대(1~3가)에 행사가 있을 경우 '충파 - 예술의거리 - [[전남여자고등학교]] - [[동구청(광주)|동구청]] - 서남동주민센터'로 우회한다. 단 금남로5가까지 통제될 경우 '학강초교 - 양림교 - 금동시장[* 임시정류장. 전대병원5거리에서 양림교 사이에 있다. 06년 이전에는 2번이 다녔던 정식승강장이었다.] - 전남대병원5거리 - 서남동주민센터'로 우회한다. 구 2번 노선대로 가는 것. * 이 노선도 약간의 굴곡이 좀 있다. 4.19 기념관에서 문화전당역으로 갈 때는 광주고 방향으로 우회전 하면 얼마 안 걸리지만, 이 노선은 무등로 단독구간으로 직진해 [[굴곡 노선/버스|산수오거리, 조선대로 빙빙 돌아가므로]] 4.19 기념관 에서는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번]][* [[광주역]]에서 주월중입구 구간은 남광주사거리,대인시장 경유구간 노선이다], [[광주 버스 228|228번]] [* 문화전당역에서 광주역까지 노선구간중 마찬가지로 송정98번 구간과 겹친다], [[광주 버스 518|518번]]을 이용하자. 배차간격이 짧아 이용하긴 쉽다. 또 동강대 후문에서 충장로 갈 때도 [[굴곡 노선/버스|말바우시장, 전남대사거리로 뱅뱅 돌아간다.]] 그러므로 동강대후문에서 충장로, 백운교차로 갈 때는 귀찮아도 조금 걸어서 [[광주 버스 매월06|매월06번]]을 이용해주자. * 단독구간이 많기 때문에 수요가 괜찮은 수준이며 평시에도 자리를 채우고 다닌다. 학강초등학교, 광주계림초등학교, 서광중학교, [[광주석산고등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간호대학 같은 학교들을 지나다니는 건 이 버스 밖에 없기 때문에 통학수요가 있다. 그리고 --전설의-- 옛 [[서남대학교]] 병원인 녹십자병원 앞을 지나다니는 것도 이 노선 뿐이다. 이밖에도 [[사직공원(광주)|사직공원]], 광주기독병원 등도 금남55만이 지난다. 기독병원과 이름은 비슷한 기독정신병원은 [[용산동(광주광역시 동구)|용산동]]에 있으므로 헷갈리지 말자. 금남55를 타고 기독정신병원으로 가려면 진월리채3차에서 내려서 약 1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또는 봉선대화아파트에서 내려서 [[광주 버스 봉선27]], [[광주 버스 송정98]] 셋 중 하나로 환승해서 용산지구대성베르힐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 눈이 많이 내릴때는 [[광주 버스 금남59|금남59번]], [[광주 버스 송암68|송암68번]]과 다르게 문성고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진월동 구간 (진월대주아파트 - 동성고)으로 우회하며, 해당 구간 내의 정류장들은 무정차 통과한다. * [[2022년]] [[1월 21일]]부터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시립2요양병원 행으로 운행 시에만 정차했던 조선대(1047) 정류소를 정차하지 않는다. == 연계 철도역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문화전당역]] * 일반 철도역: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