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광종(고려))] [include(틀:광종(고려))] [목차] == 개요 == 대중매체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뤄지는 경향이 있는 [[고려]] 초기의 [[임금]]들 중에서는 가장 많이 출연한 [[군주]]. 뿐만 아니라 현대의 대중매체에서는 고려의 창건자이자 아버지인 [[왕건]]보다도 많이 주역으로 등장하는 편이다. == [[게임]] == === [[태조 왕건 : 제국의 아침]] === 2001년 발매된 게임. 정규 캠페인 외에 패치로 추가된 '제국' 캠페인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는데 해당 캠페인에서 [[왕건|아버지]]와 유닛 스킨을 공유했다. == [[드라마]] == === [[태조 왕건]] === 2000년 [[KBS 1TV|KBS1]]에서 방영되었다. 드라마 제목처럼 태조 왕건이 주인공이라 후반부에 어린 시절 모습으로 가끔 나오며 비중은 없으나 [[내레이션]] 성우 [[김종성]]이 광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준다. === [[제국의 아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kbs.co.kr/20040227_101843.jpg|width=100%]]}}} || ||<:> '''드라마《[[제국의 아침]]》에서의 광종''' || 2002년 [[KBS 1TV|KBS1]]에서 방영되었다. 배우 [[김상중]]이 연기했다. 드라마는 부진했으나 연기가 매우 출중했기에 [[2002년]]의 [[KBS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주인공]]답게 비범한 인물로 그려지는데 군주가 되기 전과 후의 인물상이 매우 다르게 그려져 [[한국]] 사극 사상 손꼽을 정도로 독특한 [[캐릭터]]이다. 군주가 되기 이전에는 뛰어난 통찰력과 더불어 능력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인자한 성품이 강조된다. 광증에 시달리는 [[혜종(고려)|혜종]], 숙부 [[왕식렴]]에게 휘둘리며 자신을 핍박하는 [[정종(고려 3대)|정종]] 두 형에게도 매우 깍듯히 대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형인 혜종을 [[시해]]하는 일에 기꺼이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 본인의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지만 괴리감 있는 부분. 그러나 혜종의 딸, 즉 조카와 혼인한 이후에는 그런 모습은 아예 나오지 않는다. 또한 동시에 [[백성]]들을 깊이 생각하고 왕식렴의 무리한 [[평양시|서경]] 천도에 반대하며 나중엔 유신성, 균여와 손잡고 가산을 털어 고생하는 역부들과 같은 밥을 먹으며 보살피는 모습을 보여 군주가 된다면 당연히 [[성군]]이 될 것이라 누구나 생각할 정도다. 이 일로 인해 서경은 이후 [[개성시|개경]]과 함께 광종의 양대 친위 세력이 된다. 왕위에 오른 이후에는 쌍기를 얻고 과감한 [[개혁]]과 호족 견제 [[정책]]들을 펴나가며 이 와중에 반발하는 [[호족(한국사)|호족]]들은 엄청난 포스를 앞세워 찍어누른다. 하지만 [[평산군|평주]] 세력의 [[반란]]으로 죽을 뻔한 위기를 겪고 [[유신성]]을 잃은 후반부에는 제대로 [[흑화]]하여 역모와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는 자들은 모조리 쓸어버리는 [[폭군]]의 모습도 보여준다. 이를 두고 군주가 되기 전에는 [[세종(조선)|세종]]이 될 줄 알았는데 군주가 되니 [[태종(조선)|태종]]이 되더라는 반응도 있었을 정도. 이방원의 별명인 [[킬방원]]에 대응하여 '''킬소'''라는 별명도 생겼다. 하지만 목숨을 건 [[균여]]의 간언을 받아들이면서 반성의 기미를 보이는데, 작품이 낮은 인기로 인해 조기 종영되면서 광종 재위의 후반부를 충분히 다루지 못해 이런 모습이 깊이 다뤄지진 못했다. ===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 === 2009년 [[KBS 2TV|KBS2]]에서 방영되었다. 작중에서 회상으로만 나왔다. [[역사]] 속의 대[[숙청]]을 벌이는 것은 같지만 그 와중에 의심병과 편집증적인 증세가 도져 끝내는 자신의 이복동생들인 [[대종(고려)|왕욱]]과 [[선의왕후]]마저 처형했다. 아들에 대한 의심병마저 커진 탓에 아들을 위협하다가 그를 보호하는 자신의 아내 [[대목왕후]]를 손수 살해하기까지 하는 [[패륜]]을 저지르는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천추태후라는 드라마 자체가 역사 왜곡 투성이라 당연히 실제 광종의 모습은 결코 아니다. 극 중 장성한 [[경종(고려)|경종]]에 대해 과장된 면은 많지만 초반에 막나가며 화를 내고 비아냥거리며 그 유명한 "[[풍악을 울려라]]"라고 외치는 등 주색만 탐닉하는데 천추태후의 회상 장면에서 광종이 당시 [[태자]]인 경종을 어떻게 대했는지 보면 광종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해가 가는 측면이 있다. === [[빛나거나 미치거나(드라마)|빛나거나 미치거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ile2.instiz.net/a17b97f0aa15993f177190b3926e22cc.jpg|width=100%]]}}} || ||<:> '''드라마《[[빛나거나 미치거나(드라마)|빛나거나 미치거나]]》에서의 광종''' || 2015년 [[문화방송|MBC]]에서 방영되었다. 배우 [[장혁]]이 연기했다. 특히 드라마 제목이 '고려의 기틀을 완비한 빛나는(光) 군주'임과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을 미치광이처럼(狂) 처형해버린 군주'라는 양면성을 가진 광종을 잘 빗댄 제목이라는 호평이 있었다. 드라마에서는 왕소의 [[왕자]] 시절만 다룰 뿐 광종으로 즉위한 뒤의 행보는 다루지 않았다. 하지만 작품 후반 분위기를 보면 원래 역사와 마찬가지로 피바람이 불어닥칠 것은 확실히 보인다.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2016년 [[SBS]]에서 방영되었다. 배우 [[이준기]]가 연기했다. 자세한 내용은 [[왕소(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문서참조. == [[만화]] == === [[맹꽁이 서당]] === 1982년부터 잡지 보물섬에 조선시대부터 연재되었다. [[맹꽁이 서당/에피소드/12권|맹꽁이 서당 고려 편]]에서 광종을 다룬 [[에피소드]]에서는 '''호족들의 저승사자'''라고 나오는데 표지부터 살벌하게 눈을 희번뜩하는 광종 앞에 한 호족이 벌벌 떨면서 "죽어줄께, 살려줍쇼~"라고 빌고 있고 다른 호족은 죽어서 묻힌 모습이 나왔다. === [[문아]] === 2011년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되었다. 광종 연간을 무대로 전개되는데 작중의 시대적 배경은 광종 7년(956년)이다. 작중에 실제로 등장하며 자세한 내용은 [[광종(문아)|해당 문서]] 참조. 작중 묘사처럼 광종은 기록으로도 꽤나 수려한 [[외모]]를 지녔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종(고려), version=1005, paragraph=7)] [[분류:인물별 창작물]][[분류:광종(고려)]][[분류:고려/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