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廣濟寺 大雄殿. [[조선]] [[세조(조선)|세조]] 13년인 1467년에 당시 왕이었던 세조의 명을 받아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의 광제사(廣濟寺)에 만들어진 [[대웅전]]. 현재 [[북한]]의 [[북한의 국보|국보]] 제150호이다. == 내용 == 1467년에 조선 세조의 명에 따라 대덕산 큰 골에 있던 하천사와 용흥암(龍興庵)을 대덕산 중턱으로 옮겨 광제사를 창건할 때 함께 만들어진 대웅전이다. 1735년([[영조]] 11년)에 중수하였고 1871년([[고종(대한제국)|고종]] 18년)에는 화재를 겪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합각식 건물로, 현재 남아있는 포식과 익공식이 혼용된 전통 건물 중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하고 있어 조선조 건축양식 연구에 중요한 문화재이다. 현재 북한의 국보 제15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북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자세한 연구는 힘들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0862&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광제사 대웅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53652&cid=58028&categoryId=58036|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광제사 대웅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21569&cid=46629&categoryId=4662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광제사대웅전]] [[분류:북한의 국보]][[분류:조선/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