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广州站 | Guangzhou Railway Station'''}}} ||<-3>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국가철로집단|{{{#fff '''중국국가철로집단'''}}}]]|| ||<-3>{{{+2 광저우역}}} || || [[자오칭역|{{{-1 {{{#555,#ccc 자오칭 방면}}}}}}]][br][[포산시역|포산시]][br]← 30 km ||<|2> [[광포자오도시간철도|{{{-3 {{{#fff 광포자오도시간철도}}}}}}]] ||<|3> {{{-1 {{{#585858,#CCC 시종착}}}}}} || || [[포산시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 구이양고속철도 직결}}}]][[포산시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 난광철도 직결}}}]] || || [[베이징역|{{{-1 {{{#555,#ccc 베이징 방면}}}}}}]][br][[광저우베이역|광저우베이]][br]← 28 km || [[징광철도|{{{-3 {{{#fff 징광철도}}}}}}]] || ||<|2> {{{-1 {{{#585858,#CCC 시종착}}}}}} || [[광선철도|{{{-3 {{{#fff 광선철도}}}}}}]] || [[선전역|{{{-1 {{{#555,#ccc 선전 방면}}}}}}]][br][[광저우둥역|광저우둥]][br]8 km → || || [[광마오철도|{{{-3 {{{#fff 광마오철도}}}}}}]] || [[마오밍역|{{{-1 {{{#555,#ccc 마오밍 방면}}}}}}]][br][[포산역|포 산]][br]22 km → || ||<-3> {{{#0066a1 ●}}}{{{#e91a38 ●}}} [[광저우기차역(지하철)|'''광저우지하철 2, 5호선으로 갈아타기''']] || ||<-3>[include(틀:지도, 장소=Guangzhou Railway Station, 너비=100%)]|| ||<-3> {{{#ffffff '''주소'''}}} || ||<-3> [[광둥성]] [[광저우시]] [[웨슈구]] 환시씨루 159호[br]广东省广州市越秀区环市西路159号 || ||<-3> '''철도역 등급''' || ||<-3> 특급(特等站)[br]([[중국철도광저우그룹]] 관할) || ||<-3> {{{#ffffff '''역 운영기관'''}}} || || {{{#fff 모든 노선}}} ||<-2> [[중국 국철|[[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200]]]] || ||<-3> {{{#ffffff '''개업일'''}}} || ||<-3> 1974년 4월 12일 || ||<-3> {{{#ffffff,#000000 '''노선거리표'''}}} || || [[베이징펑타이역|{{{-2 {{{#585858,#dddddd 베이징펑타이 방면}}}}}}]][br][[탕시역|탕 시]][br]← 3 km || '''[[징광철도]]'''[br]광저우 || {{{#808080,#D3D3D3 종점}}} || ||<|2> {{{#808080,#D3D3D3 기점}}} || '''[[광선철도]]'''[br]광저우 || [[선전역|{{{-1 {{{#585858,#dddddd 선전 방면}}}}}}]][br][[광저우둥역|광저우둥]][br]8 km → || || '''[[광마오철도]]'''[br]광저우 || [[마오밍시역|{{{-1 {{{#585858,#dddddd 마오밍시 방면}}}}}}]][br][[광저우시역|광저우시]][br]3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광저우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현 건물은 1974년 4월 12일에 완공되었다. 중국 남부 최대의 철도역으로, [[징광철도]], [[광선철도]], [[광마오철도]] 등의 노선이 지나가며, [[광저우 지하철 2호선]], [[광저우 지하철 5호선]] 등의 지하철 노선도 이 역에 정차한다. 다만, 이 역이 광저우의 모든 철도의 결절지는 아니며, 대부분의 고속열차는 [[광저우 북역]]과 [[광저우 남역]]을 쓰고, 광저우-[[홍콩]] [[홍함역]]간 노선은 [[광저우 동역]]에서 시종착한다. 그래도 전국으로 향하는 장거리 일반열차의 출발역이므로 [[춘절]]에는 20만명, 연중 7~8만명 정도면 큰 역인건 확실하다. 이 역과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간에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중국문물학회 20세기건축유산위원회의 추천으로 2018년 11월 24일에 광저우역을 '''20세기건축유산목록'''으로 지정하였다. == 역사 == 원래 광저우역은 [[웨슈구]] [[장완 대교]] 동측의 바이윈로(白云路)부근에 다샤토우역(大沙头站)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는데 이곳은 1911년 10월 5일에 개통한 [[영국령 홍콩]]과 광저우를 잇는 광주철도 중국구간(广九铁路华段)의 시종착역이었다. [[항일전쟁]] 이후 1947년 우창과 광저우를 잇는 웨한철도(粤汉铁路)와 광주철도(广九铁路)가 연결되면서[* 지금은 중국 본토구간의 경우 [[광선철도]]로 통일되었지만 당시에는 웨한철도와 광주철도가 별개의 노선이었는데 웨한철도의 경우 지금의 광저우철도박물관 자리 그러니까 황샤역(黄沙车站)이 시점이었다. 하지만 이곳도 광주철도와 웨한철도가 연결되면서 화물역사로 변경되었다.] 다샤토우역의 명칭은 광저우둥역으로 변경되었는데 북방으로 가는 여객열차 시점을 기존의 황샤역에서 광주철도의 시발점인 광저우둥역으로 옮겨서 광저우둥역은 광저우의 유일한 철도역이 되었다. 신중국 설립이후 1951년경에는 광저우둥역의 명칭은 광저우역으로 변경되었는데 1957년 [[10월 15일]], 후베이성 우한의 양쯔강 이남과 광저우를 잇는 웨한철도(粤汉铁路)와 양쯔강 이북의 징한철도(京汉铁路)가 [[우한 창장 대교]]라는 교량으로 연결되어 [[징광철도]]로 통합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수도 베이징에서 광저우까지 철도로 한번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고 주장 삼각주 지역을 잇는 광싼철도[* 현 [[광마오철도]]의 일부분]가 다니는 주강대교(珠江大桥)가 1960년 10월에 개통되어 징광철도망으로 연결되는등 광저우역으로 집중되는 여객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협소한 여객시설을 확장 이전해야할 필요성이 상당히 요구되었다.[* 현재는 광저우지역의 철도역이 광저우난역, 광저우베이역, 광저우둥역으로 역할이 분산되어 있지만 당시에는 이곳 다샤토우의 광저우역이 유일한 철도역으로 명절때 인파행렬을 상상하면 생각도 하기 싫어질것이다.] 다행히 1955년부터 광둥성 당서기를 지낸 타오주(陶铸)에 의해 1958년부터 광저우 신역사 건설이 지금의 광저우역 위치에서 시작되었는데 불행히도 [[문화대혁명]]과 함께 마오쩌둥의 엄청난 오점인 [[대약진 운동|제2차 5개년 계획(1958~1962)]]으로 인해 중국 전체가 20년전으로 퇴보하던 시절을 겪으면서 1962년부터 1972년까지 약 10년간 공사는 중단되었고 겨우겨우 공사를 재개하여 1974년 4월 12일 신 광저우역이 개업하게 된다. 한편 여객취급이 중단된 다샤토우의 구 광저우역은 도시개발로 구 광주철도의 도심구간 선로가 철거되었는데 아쉽게도 개발논리에 밀려 보존되지는 못하고 현재는 광둥성 교통청이 입주되어 있는 광둥교통빌딩(广东交通大厦)으로 재건축 되었다고 한다. == 연계 교통 == 2013년 12월 28일에 개통한 [[광저우 지하철 2호선]], [[광저우 지하철 5호선]]의 [[광저우기차역(지하철)|광저우기차역]](广州火车站) 지하철역이 역전광장에 위치한다.[* 광저우 판위구에 위치한 고속열차 전용역인 [[광저우난역]]으로 가려면 2호선을 타고 남쪽으로 40분정도 가면 있다.] == 사건 및 사고 == * 2008년 1월 31일, 춘절 귀향행렬로 역구내 진입이 어려워지자 여자친구와 함께 역사 지붕위로 올라가 기차 지붕으로 뛰어내리던 31세 남성이 전철 고압선을 건드려 전신에 50도 화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한 사고가 발생했다. * 2008년 2월 1일, 50년 만의 폭설과 더불어 춘절 귀향행렬로 매우 혼잡한 가운데 후베이성에서 온 20대 여자 농민공이 압사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광저우공안에 따르면 약 26만명이 광장으로 진입하여 매우 혼잡한 상태였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948631?sid=104|#]][* 이 당시 뉴스 상황을 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몰렸는지 알 수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1939009?sid=104|#]]] * 2014년 5월 6일 오전 11시, 역광장에서 4명의 괴한에 의해 칼부림 테러가 발생해 6명이 부상당했으며 이중 여성 1명이 중상을 입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256820?sid=102|#]] * 2015년 3월 6일 오전 8시, 역광장에서 무차별로 흉기를 휘두른 괴한 3명에 의해 시민 9명이 부상을 당하여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449155?sid=104|#]] == 사진 == ||[[파일:1973년 광저우역 광장.jpg|width=445]] || || 초창기 광저우역 광장일대[* 당시는 [[문화대혁명]] 기간으로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마오쩌둥사상 만세(战无不胜的毛泽东思想万岁)와  위대한 중국공산당 만세(伟大的中国共产党万岁)'''라는 표어가 역 양측 상단에 붙어 있었다.] || || [[파일:gz.jpg|width=445]] || || 1974년도 초창기 광저우역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GuangZhou_Train_Rail_Station.jpg|width=445]] || || 비교적 자유로워 보이는 광저우역 앞 옛 풍경[* 현재의 표어 '''통일조국(统一祖国) 진흥중화(振兴中华)'''라는 표어가 역 양측 상단에 붙어있다.] || || [[파일:2023년 춘윈 광저우역.jpg|width=445]] || || 2023년 현재 광저우역 앞은 보안시설로 뒤덮혔다. || [[분류:광둥성의 철도역]][[분류:197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징광철도]][[분류:광선철도]][[분류:광마오철도]][[분류:광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