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000,#ddd 쓰촨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广元, ruby=Miányáng)][ruby(市, ruby=Shì)] }}}'''[br]광위안시 | Guangyu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广元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쓰촨성]] 광위안시 리저우구[br]런민루 북단24호[br]四川省广元市利州区人民路北段24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6,313.7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4현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305,657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41명/km² || ||<-2> '''{{{#ffff00 서기}}}''' || 허수핑(何树平) || ||<-2> '''{{{#ffff00 시장}}}''' || 둥리(董里)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21억 1,700만 ^^(2018)^^ || || '''{{{#ffff00 1인당}}}''' || $4,549 ^^(2018)^^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백일홍]] || || '''{{{#ffff00 시목}}}''' || [[측백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川H'''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利'''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108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39''' || ||<-2> '''{{{#ffff00 우편번호}}}''' || '''628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C-08''' ||}}}}}}}}} || ||<-3> [[https://www.cngy.gov.cn/|홈페이지]] || || [[파일:광위안 중국 2.jpg|width=100%]] || || 시가지의 전통식 다리 || || [[파일:잔도 중국.jpg|width=100%]] || || 자링강의 촉 잔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쓰촨성]] 북부의 지급시. [[청두]]에서 동북쪽으로 200km, [[한중]]에서 서남쪽으로 10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23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60만이 거주한다. 시가지는 쟈링강 동안에 자리하며, 사천에서 한중-관중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한 요충지에 위치하여 천북문호(川北門戸)라 불렸다. 이를 상징하듯 [[삼국지]]에 등장하는 [[검각]]과 [[가맹관]]이 관내에 있으며 [[제갈량의 북벌]] 시에 사용된 촉의 잔도(棧道) 역시 남아있다. 중세 들어 특산물을 교역하는 상업 도시로 성장하였고, 전자/기계 및 광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재에도 한중-[[광위안]]간 일반/고속철과 [[란저우]], [[바오지]]와의 일반철 및 [[난충]]과의 고속철이 지나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시가지 서쪽에는 광위안 공항이 있다. 배우 [[구오청]]의 고향이다. 21세기 들어 생태 환경 도시 정책으로 청정 자연을 자랑한다.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당시 피해를 입어 4,800여명이 사망하였다. == 역사 == ||[[파일:중국 광위안 1.jpg|width=317]]||[[파일:광위안 중국.jpg|width=640]]|| || 황택사의 [[측천무후]] 불상 || 바오링강, 쟈링강의 합수구에 위치한 소화고성 (昭化古城). 일명 [[가맹관]] || 기원전 316년 [[진나라]]가 파국을 멸하고 가맹현(葭萌縣)을 설치하였다. 한대에는 광위안, 더양과 함께 익주 광한군(廣漢郡)에 속하였고 [[마초]]와 [[장비]]가 겨룬 가맹관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촉한]]에 속하였고, 217년 가맹현은 한수현으로 개칭되었다. 서남쪽 25km의 검각은 촉의 운명과 함께 하였고, 후일 그곳 동쪽에 흥안현이 설치되었다가 소화현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자오화진으로 남아있다. 한편 한수현은 [[서진]] 시기에 다시 진수현으로 개칭되었다. [[남북조]] 들어 [[소량]] 시기에 이주(黎州)가 설치되었고, [[서위]] 시기인 554년 비슷한 음의 한자인 이주(利州)로 개칭되었다. 당대에는 산서서도 이주의 치소였고, 진수현에서 면곡현(綿谷縣)으로 개칭되었다. [[당고종]]의 황후를 거쳐 중국의 유일한 여황제에 오른 [[측천무후]]가 이곳 출신이며, 그녀의 모습을 한 불상이 모셔진 황택사(皇澤寺)가 남아있다. 송대에는 이주로가 설치되었고, 원대부터 현 지명인 광원(廣元)으로 불렸다. 그리고 명대인 1381년 광원현이 세워졌다. 현대에 들어 1935년 중국 공산당과 농민들이 소비에트 정부를 세웠고, 1985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 교통 == 관내에 광위안 판룽 공항(广元盘龙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의 경우 [[광위안역]](广元站)이 존재하고 바오청철도(宝成铁路), 란위철도(兰渝铁路), 시청고속철도(西成客运专线)가 지나간다. 여담으로, 광위안 내에는 광위안역 외에도 광위안둥역(广元东站), 광위안시역(广元西站), 광위안난역(广元南站)도 있으나 모두 화물전용역으로, 여객업무는 수행하지 않는다. [[분류:쓰촨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