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3716-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정부상징.svg|width=20]] {{{#0ff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53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M533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동안경찰서·범계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잠실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30 || 막차 || 23:30 || ||<-2> 평일배차 || 15~35분 ||<-2> 주말배차 || 25~40분 || ||<-2> 운수사명 || [[삼영운수]] ||<-2> 인가대수 || 9대[* 예비차량 1대] || ||<-3> {{{#0ff 경유 정류장}}} || || '''안양(범계)''' ||<|9> ↔ || '''서울(잠실)''' || || 동안경찰서.범계역(상)[br]롯데백화점.범계역(하) || 삼성서울병원정문건너편(상)[br]삼성서울병원정문(하) || || 진흥아파트.비산대교(상)[br]비산농협(하) || 수서역.로즈데일빌딩(상)[br]수서역.KT수서지점(하) || || 남부시장(상)[br]벽산상가.2001아울렛(하)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 안양1번가.안양역(상)[br]중앙시장(하) || 송파역 || || 대동문고(상)[br]시외버스터미널.교보생명(하) ||<|2> 석촌호수.한솔병원 || || 안양대교 || || 석수현대아파트(상)[br]석수시장.석수현대아파트(하) ||<|2> 잠실역1번.11번출구(상)[br]잠실역9번출구(하) || || 석수역 || == 개요 == [[삼영운수]]가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7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603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7년 3월 6일에 개통되었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42|삼영운수 공지사항]] * 공사로 인하여 2017년 6월 5일부터 잠실역 1·11번 출구에 정차하지 않고,[* 9번 출구에서만 승하차가 가능하다.]잠실 방향만 일원본동주민센터([[일원역]] 4번 출구)에 정차하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infra/70164|관련 게시물]]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45|삼영운수 공지사항]] * 2017년 8월 7일부터 비공식적으로 정차하던 안양대교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2018년 2월 7일에 2대 증차되어 총 10대로 운행한다. * 2018년 9월 6일부터 다시 잠실역1.11번출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http://gall.dcinside.com/transit/86415|관련 게시물]] * 2020년 3월 21일부터 다시 안양대교 정류장에 정차한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67|삼영운수 공지사항]] *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 [[경기도 공공버스]]와는 관련없으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일명 대광위)에서 추진하는 준공영제이다.]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2020년 11월 26일부터 준공영제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동시에 2대가 감차되어 최초 인가대수인 8대로 돌아왔다. * 2021년 12월 23일부터 석수현대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다. == 특징 == * [[안양시]] 면허 최초의 [[광역급행버스]]이자 [[삼영운수]]의 유일한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며, 유일하게 [[잠실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구리 버스 1650|1650번]]은 [[구리시]] 면허.] 또한 [[삼영운수]]의 [[안양시·군포시·의왕시 버스 목록/폐선|9-1번]]이 폐선된 지 20년 만에 2번째로 등장한 양재동 경유 노선이다.[* [[안양 버스 11-3|11-3번]]과 [[안양 버스 917|917번]]은 잠실역까지 안가고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에서 회차한다.]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아닌 [[석수역]]을 경유해 [[강남순환로]]를 이용하여 [[잠실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여기에 [[SRT]] 연계 혹은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및 [[분당선]]과의 환승을 위해 [[양재대로]] 직통이 아닌 삼성서울병원을 지나 [[수서역]]을 우회하는 선형을 가지고 있다. 사실 [[안양시]]는 [[광명역]]이 매우 가까이 있으니 굳이 멀리있는 [[수서역]]으로 가서 SRT를 이용할 이유는 없다.[* 특히 해당 구간에서의 [[광명역]]을 통한 [[KTX]] 연계는 이미 동사의 [[안양 버스 3|3번]]이 담당하고 있다.] * 원래 [[잠실역]] 회차는 [[잠실광역환승센터]]를 통해서 이뤄질 것으로 예정되었다. 그러나 [[삼영운수]] 홈페이지에서 밝힌 바로는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3_01&wr_id=4697|잠실역1번.11번출구 정류장(24134)과 잠실역 9번출구 정류장(24135)]]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http://m.dcinside.com/view.php?id=infra&no=41320&page=1|공식 노선도]]가 나오면서 [[잠실광역환승센터]]에 진입하지 않는 것이 확정되었다.[* 해당노선 버스기사에 따르면 환승센터 용량부족을 이유로 진입이 거부되었다고 밝혔다.] * 대부분의 수요가 노선의 중간부분인 '''석수역 - 삼성서울병원'''에서 나온다.[* 특히 출근 시간대의 석수역과 퇴근 시간대의 삼성의료원 앞은 줄이 정말 길며, 만석으로 못타게 되는 경우가 아주 흔하다.] 승객들도 대부분 삼성의료원 방문객들이다. *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과연 이 노선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는 어려울거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안양역 - 잠실역의 경우 [[구리 버스 1650|1650번]]이 이미 있으며, 안양시 뿐만 아니라 석수역에서는 환승 연계로 수원([[수원 버스 900|900번]]), 인천 남부([[광명 버스 3001|3001번]], [[광명 버스 3002|3002번]]), 시흥시([[시흥 버스 5602|5602번]], [[시흥 버스 5604|5604번]]), 안산 북부([[안산 버스 5609|5609번]]) 등지에서 서울로 빠르게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석수역 -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의외로 빠른 속도로 정착하며 수요가 늘었다. 또한 석수역에서 수서역까지 갈 경우에도 출퇴근 시간대가 아니라면 전철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 다만 석수역 - 삼성서울병원을 제외한 노선 양 끝의 범계역 - 안양역 구간과 수서역 - 잠실역 구간은 수요가 적다. 안양역 - 잠실역간 이동시 [[구리 버스 1650|1650번]]이 더 빠르고 배차간격도 더 좋아서 M5333을 탈 이유가 적으며, [[강남순환로]] 및 [[양재대로]] 구간과 수서역 - 잠실역 구간의 상습정체로 인해 범계역 - 안양역, 수서역 - 잠실역 두 구간에서는 출퇴근 시간대가 아니면 승객이 적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상습정체로 인해 배차 간격이 너무 들쑥날쑥한 것도 문제점. 현재는 매헌지하차도가 개통되어 이전보다는 나아졌으나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엄청난 정체로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카카오맵 등의 지도앱을 확인하고 애매하다 싶으면 [[구리 버스 1650|1650번]]이나 전철 등을 이용하자. * 게다가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월곶-판교 구간 착공으로 인해 [[안양역]]에서의 미래도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수서역]]으로 가는 승객은 상당수가 전철로 떨어지겠지만, [[잠실역]]으로 가는 경우는 [[신분당선]]의 살인적인 요금도 있고, 신분당선을 피해 [[이매역]]에서 갈아타더라도 현행 M5333과 거의 다를 바 없어 아직까지는 모르는 일. [[파일:image_5659410541518050264741.jpg|align=center]] * 최저임금 상승과 관련하여 경영난을 이유로 더 많은 사람들이 M5333 버스를 이용하도록 홍보해달라고 호소문이 붙어있었다. 다만 M버스 규정상 입석이 불가능해 출근길에 버스를 못타는 사람이 충분히 많은 상황이라 홍보를 해봐야 수익이 더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구리 버스 1650|1650번]]보다 배차간격과 소요시간에서 경쟁력이 밀려서, 잠실역 및 송파대로 일대가 목적지인 사람들은 계속 1650번을 타는 경향이 크다. 준공영제 편입 이후에는 그나마 나아진 상태. * 일요일 기준 [[범계역]]에서 [[수서역]]까지 약 45~50분 걸린다. 첫차가 [[범계역]]에서 오전 5시에 출발하므로, 이른 아침에 [[SRT]]를 이용해야 한다면 범계역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면 수서역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새벽시간대에는 차가 몇 대 없으므로 수서역까지 30분 안팎 소요된다.] * 중간의 염곡사거리에도 세워달라는 민원이 많이 올라온다. 염곡사거리는 주변에 LG전자 서초R&D캠퍼스,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 본사, KOTRA 등의 회사가 있고 코스트코 양재점, 하나로클럽 양재점, 이마트 양재점이 있어서 확실한 수요창출은 가능해지지만 M버스 규정상 정차 정류장을 늘릴 수 없고, 설령 늘릴 수 있더라도 M버스 규정상[* 암묵적으로 허용되는 노선도 있긴 하나 소수이며, 원칙상으로는 입석이 금지되어 있다.]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진다. 이미 정차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수요가 뒷받침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염곡사거리 정차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 또한 이미 양재~과천~안양 라인에 기존 입석버스 노선들이 있기 때문에([[서울 버스 441|441번]], [[안양 버스 11-3|11-3번]], [[안양 버스 917|917번]]), 광역급행버스이긴 해도 강남순환로 - 안양 만안구 라인으로 돌아가는 선형을 지닌 급행버스 M5333번까지 굳이 정차할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일부 버스 동호인들, 석수동 주민들은 양재 진입을 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곤 한다. 수요가 충분히 자리잡은 수서까지 진입하는 데에도 은근히 시간을 잡아먹어 송파구 일대에 편하게 도달하기에 딱히 좋다고 말하기 힘드니 처음부터 잠실은 포기하고 수요가 더 확실한데다 거리상 더 가까운 양재 일대나 수서, 강남역까지만 운행하는 등으로 노선을 정했다면 더 효율적이었을거라는 것.] 어차피 염곡사거리에 세워봤자 직전 정류소인 삼성의료원에서 무조건 만석이 되기 때문에 못탈 확률이 99%다. * [[현대 유니버스]]로 운행한다.[* 첫 출고 당시 일반형 리클라이닝 시트가 아닌 헤드레스트 분리형(일명 돌베게) 시트를 전문형 37인승으로 출고하였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vmflajtm13&logNo=220942676935|#]][[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42643|#]] 다만 2018년 1월 말에 전 차량 37인승에서 45인승으로 개조되었으며, 증차분도 45인승으로 출고하고 있다.][* 2020년 말부터 기존 차량을 예비용 1대 제외 [[군포 버스 3030|3030번]]으로 보내고 새로 출고한 차량으로 운행중이다.] * 신차가 출고되었을 때에는 [[석수공영차고지]]에 있었으나, 종점인 롯데백화점, [[범계역]] 정류소를 지난 후 안양시청 부근에서 [[안양 버스 3|3번]]이 주박하는 평촌차고지 방면으로 가는 것이 목격되었고, 3월 7일 [[안양 버스 3|3번]]과 [[안양 마을버스 5|5번 마을버스]]의 차고지인 평촌영업소에 이 노선의 차량이 주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가스 충전 및 운행 종료 후 차량 입고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고속화도로]]인 [[강남순환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석수역/삼성서울병원 정차 후 기사님이 안전벨트를 착용해 달라고 안내하며 이와 관련된 안내방송이 나온다. 상습 정체 등으로 인해 운행속도가 빠른 편이니 안전벨트를 매는것을 권장한다. * 평일 오후 4-5시 내외에는 삼성의료원 앞에 안양 방향 M5333 줄이 엄청나게 길기 때문에 혹시 본인이 삼성의료원에서 버스를 타려고 하는데 줄이 너무 길 경우 M5333의 현재 위치를 잘 보고 가능하다면 차라리 [[서울 버스 3426|3426번]]이나 삼성의료원 셔틀버스를 타고 전 정류장인 [[수서역]](1번 출구)로 가서 타는게 낫다. '''M버스라서 규정상 [[입석금지|입석이 안 되기 때문]]에 잘못하면 못 타는 수가 있다.''' 실제로도 만석이 돼서 수십분을 추가로 더 기다리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 [[석수역]](잠실 방향)과 [[삼성서울병원]](안양 방향), [[가락시장역]](안양 방향)은 M5333 전용 줄 서는 곳이 따로 있으니 '''반드시 바닥의 줄서는 표시에 맞게 줄을 서자.''' 여담으로, 안양 방향 삼성의료원 정류장은 대학병원 앞 특성상 고령의 승객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이때 [[틀딱충|은근슬쩍 새치기하는 양심 없는 노인들]]이 상당히 많으니 주의하자. 온갖 거짓말과 핑계를 대며 새치기를 하려고 들며, 새치기를 눈감아주면 애써 줄선 사람만 바보가 되고 심하면 '''[[만석|본인이 못 타게 될 수도 있다.]]'''[* 앞서 말했듯이 M버스는 규정상 입석승차가 불가능하다.] 그러니 끼어들려고 해도 단호하게 거부하자. * 정체가 너무 심할 때는 오히려 [[주객전도|빠르게 가라고 만든 지하 차도가 지상으로 가는 것보다 더 느리기 때문에]] 기사들이 재량껏 구룡지하차도, 염곡동서지하차도, 매헌지하차도를 가지 않고 지상으로 거쳐서 가기도 한다. === 시간표 === * 2022년 1월 11일 기준 시간표.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77|삼영운수 공식 홈페이지]]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석수역]], [[안양역]][* 안양1번가. 안양중앙시장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가락시장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범계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석촌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파일:SRT BI.svg|width=35]] 일반 철도역: 안양역(무궁화호), [[수서역]](SRT)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양시의 버스)]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분류:광역급행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안양시의 시내버스]][[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안양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