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제자유구역]] [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 || [[파일: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개발계획도.jpg|width=100%]] || || {{{#fff '''개발계획도'''}}} || ||<-3>{{{#!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CI.svg|height=40]]}}}'''{{{+2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br]光阳湾圈经济自由区域厅[br]{{{-3 Gwangyang Bay Area Free Economic Zone; '''GFEZ'''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청사.jpg|width=100%]]}}} || ||<-3> {{{#fff '''청사'''}}} || ||<-2> {{{#fff '''소재지'''}}}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인덕로]] 1100 || ||<-2> '''지역''' ||<(> [[광양시]], [[광양읍]] || ||<-2> '''면적''' ||<(> 6개 지구, 17개 단지 57.03㎢ || ||<-2> '''사업기간''' ||<(> 2003 ~ 2030 || ||<-2> '''사업비''' ||<(> 160,247억 원 || ||<-2> '''홈페이지''' ||<(> [[https://www.gfez.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youtube(XNtYRb5H4K4)] || || {{{#fff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fff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의 홍보영상'''}}} || [목차] == 개요 ==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은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와 경상남도 하동군을 아우르는 곳이다.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을 목표로 2003년 10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동북아 해운 물류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산업 인프라, 법령에 의한 각종 규제완화 및 지원 정책으로 기업 진화적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57.03㎢ 면적에 17개 산업단지가 개발 중이다.(2023.6.기준) 율촌산단에 포스코퓨처엠 등 이차전지 소재 앵커기업들이 포진해 있어 이차전지 메카로 성장하고 있다. == 개발구역 == === 광양지구 === ==== 광양컨테이너부두 ==== || [[파일:광양 컨테이너 부두.jpg |width=900]] || ||<-2> '''위치''' ||<(> 광양시 황금․황길․도이동(면적 6.17㎢) || ||<-2> '''규모''' ||<(> 25선석(5만톤급 20, 2만톤급 5) - 885만TEU/년 || ||<-2> '''사업기간''' ||<(> 1987 ~ 2020 || ||<-2> '''사업기간''' ||<(> 컨테이너 화물 적양 및 보관 || ==== 컨부두배후지(동측, 서측) ==== || 컨부두 배후부지 서측 [[파일:컨부두 배후부지 서측.jpg |width=900]]|| || 컨부두 배후부지 동측 [[파일:컨부두 배후부지 동측.jpg |width=900]] || ||<-2> '''위치''' ||<(> 광양시 황금․황길․도이동 || ||<-2> '''규모''' ||<(> 2개 지구 448만㎡(서측 194만) || ||<-2> '''사업기간''' ||<(> 2003 ~ 2012 || ||<-2> '''사업기간''' ||<(> 화물의 유통, 가공, 포장, 물류보관 등 || ==== 포스코터미널CTS ==== || [[파일:포스코터미널 CTS1.jpg |width=850]] || ||<-2> '''위치''' ||<(> 광양시 금호동 일원 || ||<-2> '''규모''' ||<(> 1.11㎢ || ||<-2> '''사업기간''' ||<(> 2003 ~ 2014 || ||<-2> '''사업기간''' ||<(> 광양제철 광물 야적장 및 물류기지, 페로니켈 생산 || ==== 황금산업단지 ==== || [[파일:황금산단.jpg |width=800]] || || [youtube(FlId60-vVTw)] || || {{{#fff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fff '''황금산단'''}}}]]'''의 홍보영상'''}}} || ||<-2> '''위치''' ||<(> 광양시 황금동 일원 || ||<-2> '''면적''' ||<(> 1.12㎢(34만py) * 해면부 0.83, 육지부 0.29 || ||<-2> '''사업비''' ||<(> 2,587억 원 || ||<-2> '''사업기간''' ||<(> 2010 ~ 2025 || ||<-2> '''유치업종''' ||<(> 1차금속, 금속가공, 전기장비 제조업, 전기 공급업 등 || === 율촌지구 === ==== 율촌제1산업단지 ==== || [[파일:율촌1산단.jpg |width=850]] || ||<-2> '''위치''' ||<(> 여수 율촌면, 순천 해룡면, 광양 광양읍 해면 일원 || ||<-2> '''면적''' ||<(> 9.11㎢, 276만py(분양면적 6.24, 공공시설 등 2.87) || ||<-2> '''사업비''' ||<(> 1조 2,596억 원 || ||<-2> '''사업기간''' ||<(> 1994 ~ 2023 || ||<-2> '''유치업종''' ||<(> 1차금속, 조립금속, 기계장비, 제조업 등 || ==== 율촌제2산업단지 ==== || [[파일:율촌 제2산단.jpg |width=850]] || || [[파일:율촌2산단 조감도.jpg |width=850]] || ||<-2> '''위치''' ||<(> 여수시 율촌면·소라면·중흥동 해면 일원 || ||<-2> '''면적''' ||<(> 3.79㎢(115만py) - 1단계(2.1), 2단계(1.69) || ||<-2> '''사업비''' ||<(> 9,269억 원 || ||<-2> '''사업기간''' ||<(> 2010 ~ 2030 || ||<-2> '''유치업종''' ||<(> 기계(운송장비), 전기전자, 비금속, 철강연관산업 등 || ==== 율촌항만부지 ==== || [[파일:율촌항만부지 .jpg |width=850]] || || [[파일:율촌 항만부지 조감도.jpg |width=850]] || ||<-2> '''위치''' ||<(> 여수시 율촌면, 소라면, 중흥동 해면 일원 || ||<-2> '''규모''' ||<(> 513만㎡(156만py)→ 1단계 326만㎡(99만py) || ||<-2> '''사업기간''' ||<(> 2010 ~ 2030 || ||<-2> '''주요기능''' ||<(> 산업·물류기능(상업·업무, 교육․연구기능, 공원, 녹지 등 친수공간) || === 신덕지구 === ==== 신대배후단지 ==== || [[파일:신대배후단지.jpg |width=850]] || ||<-2> '''위치'''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일원 || ||<-2> '''면적''' ||<(> 2.86㎢(86만평) || ||<-2> '''사업비''' ||<(> 5,600억 원(민자 100%) || ||<-2> '''사업기간''' ||<(> 2003 ~ 2022 || ==== 해룡산업단지 ==== || [[파일:해룡산단.jpg |width=850]] || ||<-2> '''위치''' ||<(> 순천시 해룡면 호두‧신성‧선월리 일원 || ||<-2> '''면적''' ||<(> 1.59㎢(48만py) - (임대용지 0.33㎢, 분양용지 1.26㎢) || ||<-2> '''사업비''' ||<(> 3,315억 원(임대용지 453, 분양용지 2,862) || ||<-2> '''사업기간''' ||<(> 2003 ~ 2023 || ||<-2> '''유치업종''' ||<(> 1차금속, 금속가공, 전자부품 등 || ==== 세풍산업단지 ==== || [[파일:세풍산단 수정.jpg |width=850]] || || [youtube(ityx21LSGGo)] || || {{{#fff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fff '''세풍산단'''}}}]]'''의 홍보영상'''}}} || ||<-2> '''위치'''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일원 || ||<-2> '''규모''' ||<(> 2.42㎢(73만평) || ||<-2> '''사업비''' ||<(> 6,005억 원 || ||<-2> '''사업기간''' ||<(> 2010 ~ 2030 || ||<-2> '''유치업종''' ||<(> 기능성 화학·바이오패키징 소재, 광양제철 연관산업 등 || ==== 선월하이파크단지 ==== || [[파일:선월하이파크단지.jpg |width=850]] || ||<-2> '''위치''' ||<(> 순천시 해룡면 선월리 일원 || ||<-2> '''규모''' ||<(> 0.96㎢(29만평) / 3,665억원(민자 100%) || ||<-2> '''사업기간''' ||<(> 2012 ~ 2025 || ||<-2> '''유치업종''' ||<(> 주거, 복합상업/계획인구 14,567명(5,395세대) || === 화양지구 === ==== 화양복합관광단지 ==== || [[파일:화양복합관광단지.jpg |width=850]] || ||<-2> '''위치''' ||<(>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일원 || ||<-2> '''규모''' ||<(> 6.43㎢(194만평) || ||<-2> '''사업비''' ||<(> 1조 524억원(국 537, 지 852, 민 9,135) || ||<-2> '''사업기간''' ||<(> 2003 ~ 2024 || === 경도지구 === ==== 경도해양관광단지 ==== || [[파일:경도해양관광단지.jpg |width=850]] || ||<-2> '''위치''' ||<(> 여수시 경호동 대경도 일원 || ||<-2> '''규모''' ||<(> 2.15㎢(65만py) || ||<-2> '''사업비''' ||<(> 1조 5,000억원 (100% 민간투자) || ||<-2> '''사업기간''' ||<(> 2017 ~ 2029 || ||<-2> '''투자계획''' ||<(> 호텔, 콘도 등 숙박시설, 워터파크, 상업시설 등 || === 하동지구 === ==== 갈사만조선산업단지 ==== || [[파일:갈사만조선산단.jpg |width=850]] || ||<-2> '''위치''' ||<(>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가덕리 일원 || ||<-2> '''규모''' ||<(> 5.61㎢(170만평, 해면부96 육지부 74) || ||<-2> '''사업비''' ||<(> 1조 5,970억원(국‧도비 498, 민자 15,472) || ||<-2> '''사업기간''' ||<(> 2008 ~ 2023 || ||<-2> '''유치업종''' ||<(> 조선소, 조선기자재, 해양플랜트, 연구시설 등 || ==== 대송산업단지 ==== || [[파일:대송산단.jpg |width=850]] || || [youtube(zsfpE41SCEg)] || || {{{#fff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fff '''대송산단'''}}}]]'''의 홍보영상'''}}} || ||<-2> '''위치''' ||<(> 하동군 금남면 대송․진정리 일원 || ||<-2> '''규모''' ||<(> 1.37㎢(41만평) || ||<-2> '''사업비''' ||<(> 2,767억원(국‧도비 487, 군비 2,280) || ||<-2> '''사업기간''' ||<(> 2009 ~ 2024 || ||<-2> '''유치업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업(기타발전업, 태양력발전업, 송전 및 배전업) 1차금속제조업, 비금속광물제조업, 식료품제조업,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 ==== 두우레저단지 ==== || [[파일:두우레저단지 .jpg |width=850]] || ||<-2> '''위치''' ||<(> 하동군 금성면 궁항․고포리 일원 || ||<-2> '''규모''' ||<(> 2.72㎢(82만평) || ||<-2> '''사업비''' ||<(> 3,139억 원(민자 3,139) || ||<-2> '''사업기간''' ||<(> 2012 ~ 2024 || ||<-2> '''유치업종''' ||<(> 관광·레저시설(골프장 27홀, 레저테마파크 등) 및 주거시설 등 || == C.I == === 심볼마크 === || [[파일:워드마크.jpg |width=450]] || 한국을 대표하는 경제자유구역을 의미하며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의 지리적 특수성을 한국적인 디자인 정서로 표현한 마크이다. 로고상단의 물결 및 역동적인 생명체는 해양도시, 자유로운 경제자유구역을 의미하며 상단의 적색 원은 떠오르는 광양만권의 새로운 역동성, Global Rising을 의미한다 광양만권의 자유로운 물류교환과 인적자원의 이동을 통해서 Global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으로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 === 마스코트 === || [[파일:마스코트기본.jpg |width=450]] || 해양경제도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을 상징하는 “파도리 (Padori) "는 파도형태의 머리로 귀엽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마스코트이다. 파도모양의 머리결은 역동성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의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의 미래를 상징하고 있다. 가슴에 위치한 별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이 세계 해양경제도시 중에서 가장 으뜸이 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컬러는 푸른색으로 Global Standard Service를 상징한다. === 캐릭터 === || [[파일:캐릭터기본.jpg |width=450]] || “광양 프렌즈(Gwangyang Friends)"의 Blue man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원들과 지역민을 상징하며 또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이 제공하는 안정적 인프라를 상징한다. Green man 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에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하는 수많은 고객들을 의미한다. 이들이 함께 파트너쉽을 발휘하여 모든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간다는 것을 Orange Star로 표현해 Global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으로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시각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