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光明驛勢圈開發事業 }}} [[파일:img_1609_4.jpg]] 개발구획도. [[파일:kje9of9ef.jpg]] [[조감도]] [목차] == 개요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과 [[소하동]] 일대에 추진중인 [[역세권개발사업]]. [[대한민국]] [[KTX]] [[역세권]] [[부동산]] 개발사업으로는 제일 처음으로 시도된 곳이다. == 배경 == [[경부고속선]] [[광명역]]이 만들어 지기 전까지 이 지역은 허허벌판이었다. 그냥 허허벌판도 아니고 지금 광명역 바로 남쪽 땅은 '''일직저수지'''가 있어서 애기능과 함께 양대 낚시터로 각광받았다. 그러나 이 지역에 광명역이 들어서고 나서 이 지역을 [[광명시]]의 신 중심지로 만들기로 하고 [[경기도청]]과 [[광명시청]], [[국토교통부|당시 건설교통부]] 등에서 [[신도시]] 개발사업을 한 것이다. == 추진현황 == [[2004년]] [[광명역]] 신설에 따라 시작되었으나 광명역세권 휴먼시아 아파트단지를 제외하고 한동안은 허허벌판이었다. 일직동 자체도 광명시민 사이에서도 변두리 시골 취급이었다.[* 1990년대에 KTX 남서울역(현 광명역) 계획이 발표되었을때 광명시민들은 '차라리 영등포역이 더 가까운데 저런 시골에 왜...'라고 당황해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2004년]]부터 간신히 구획정리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벌여볼까 했더니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져서 금융권이 죄다 긴축에 들어간지라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된 것은 잘해야 [[2010년]] 정도였다. [[코스트코]] 한국 법인 본사 이전과 [[이케아]] 1호점과 [[롯데몰]]의 입점, 라까사호텔 광명, 석수스마트타운 등 광명역 앞의 상황은 계속 개선되고 있다. 2017년부터 역세권의 아파트, 오피스텔이 입주를 시작하여 역세권에 거주하는 인구가 많아졌고, [[광명역도심공항터미널]]과 같은 시설이 자리를 잡으면서 광명역 일대의 유동인구가 많이 늘어났다. 2021년 말부터 2022년 초까지 미디어아트밸리(AK플라자, 테이크호텔 등), GIDC, [[중앙대학교광명병원|중앙대병원]] 등 여러 인프라가 완공되어 입주할 예정이다. 이후 [[신안산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까지 개통되면 유동인구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역 근처 서독산에 [[무의공 이순신]] 장군 묘가 있다. 광명역 인근에 [[코스트코]]가 2012년 12월 15일에 문을 열었으며 [[코스트코]] 코리아도 그에 맞춰 본사를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코스트코]] 광명점은 시 상인들과 [[코스트코]] 간의 공방 끝에 [[광명시]]/중소기업청의 중재로 오전 8시~오후 9시로 영업시간을 잡았으며 지역 상인들을 위해 무·배추·상추·깻잎·아욱·쑥갓 등 6개 품목의 농산물을 팔지 않는다. 이는 인근 전통시장이나 동네 수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품은 취급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광명역 주변과 서쪽으로 학온동에는 아직 농경지가 많은데, 밭농사 주 작물이 상추 깻잎 등이다.] 주말이면 광명역 주변은 코스트코를 이용하려는 광명, 안양, 군포, 의왕시민과 서울 금천구민들로 붐빈다. 이곳에 영화관이 개장했다. 덕분에 광명시 남부에서도 영화관에 가기 쉬워졌다. 이곳에 개장된건 롯데시네마 '''광명아울렛점'''인데 기존에 있는 롯데시네마 '''광명점'''과 혼동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현재 광명시에는 광명동에 1곳, 철산동에 1곳, 그리고 일직동에 3곳의 영화관이 있다. 중앙대병원 앞 GIDC에 [[CGV 광명역]], AK플라자가 위치한 U플래닛에 [[메가박스]] 근거리에 '''3대 멀티플렉스'''가 모두 입점했다 === 주거지구 === ||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 1 || 광명 역세권 휴먼시아 1단지[* 국민임대] || 1,354 || 2010년 12월 || 남해종합건설 || || 2 || 광명 역세권 휴먼시아 2단지[* 국민임대] || 754 || 2010년 12월 || 남해종합건설 || || 3 || 광명 역세권 휴먼시아 3단지 || 797 || 2011년 2월 || 동원시스템즈, 용광산업개발 || || 4 || 광명 역세권 휴먼시아 4단지 || 730 || 2010년 11월 || [[계룡건설산업]], 동성건설 || || 5 || 광명 역세권 휴먼시아 5단지 || 407 || 2011년 2월 || [[진흥기업]] || || 주1 || [[광명역 써밋플레이스]] || 1,430 || 2018년 2월 || [[호반건설]] || || 주2 || [[광명역 푸르지오]] || 640 || 2017년 8월 || [[대우건설]] || || 주3 || [[광명역센트럴자이]] || 1,442[* 아파트 1,005세대, 오피스텔 437실] || 2018년 12월 || [[GS건설]] || || 주4 || [[광명역파크자이]] || 1,211[* 아파트 875세대, 오피스텔 336실] || 2017년 7월 || [[GS건설]] || || 복합 || [[광명역 U플래닛 데시앙]] || 1,692[* 아파트 1,500세대, 오피스텔 192실] || 2020년 1월 || [[태영건설]] || === 주요 사업 === [[파일:b3pcgjx.jpg]] [[파일:LMfGFul.jpg]] * [[광명종합터미널]] : 해당 문서 참조 [[파일:NLXP65q.jpg]] * [[이케아]] 광명점 : 광명역 북서쪽에 위치에있는 스웨덴의 가구업체 [[이케아]]의 한국 1호점이 2014년 12월 18일 개업했다. 위 사진에서 왼쪽 파란 건물. * [[롯데몰]] 광명점 : [[이케아]]가 처음 부지를 인수 할 당시 단독으로 쓰기에는 부지가 너무 크다고 판단, 이 중 절반 정도의 부지를 롯데그룹에 임대[* 한 필지라서 매각은 불가능. 분할해서 매각할 수도 있지만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든다.]하여 추진되는 사업이다. 2014년 12월 5일 개업했다. 위 사진에서 오른쪽 흰 건물. * 광명 U플래닛(미디어 아트 복합문화단지): SBS A&T에서 운영하는 미래형 차세대 뉴미디어 콘텐츠 스튜디오 'Ivex Studio'와 숙박시설인 'Take Hotel', 업무시설인 'U Planet Tower'와 'T Tower', 대규모 판매시설인 '어반브릭스'와 'AK플라자 광명점' 등으로 구성된다. 2021년 8월 13일에 준공했다. [[파일:NIjlS1J.jpg]] * 석수스마트타운 : 광명역 북동쪽, 석수동 5만8936㎡ 부지에 16개 기업 본사, 연구소 등을 유치하는 사업. 하필이면 여기는 안양시 땅이라 광명시에서 염장이라고 외치면서 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를 더욱 잘 만들겠다고 호기를 부리는 중이다.(......) 2014년 9월 현재 쿨러업체인 [[잘만테크]]와 공기정화기업체인 금강씨엔텍이 입주를 완료했다. [[파일:XTNVrME.jpg]] * 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GIDC): 광명시가 야심차게 준비하던 음악밸리 사업이 무산된 지 5년여만에 새로 나온 테마개발사업. 코스트코 북쪽, 롯데아울렛 동쪽 부지에 (주)이노디자인그룹과 합작으로 개발된다. 2021년 11월 준공 예정이며 800여개 업체가 입주할 규모로 조성된다. [[파일:중앙대 광명병원 조감도.webp]] * 광명의료복합클러스터{[[중앙대학교광명병원]], 광명역 M클러스터} : 지하 7층, 지상 14층, 연면적 9만6천949㎡ 규모의 대학 병원(700병상)과 의료R&D센터, 의료벤처창업지원센터, 의료융합첨단산업센터 등을 갖춘 지하 5층∼지상 17층, 연면적 9만7천385㎡ 규모의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선다. 지식산업센터가 먼저 준공되어 입주하였고, 중앙대병원은 2022년 1월에 준공하여 3월에 개원할 예정이다. [[파일:5mj1GTq.jpg]] * 라까사호텔 광명: 상업지구 서남쪽에 위치한 특2급 호텔. 지하 5층, 지상 16층, 200여실 규모의 객실과 공유오피스가 들어섰다. * 광명 자이타워 : 석수스마트타운 서쪽, 광명시계 내의 업무지구에 설립된 복합생산시설. [[파일:fOGV7WK.jpg]] * 안양새물공원 : 광명역 동편에 자리잡은 안양 박달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하고 그 위에 광명역만한 공원이 들어섰다. * 광명역세권 휴먼시아 1~5단지 * [[광명역 써밋플레이스]], [[광명역 푸르지오]], [[광명역센트럴자이]], [[광명역파크자이]]: 부동산 침체기에 분양 완판된 사례으로 유명하다. * [[광명역 U플래닛 데시앙]]: 다른 주거지구에 비해 나중에 완공되어 2020년 1월 입주하였다. == 교통 == === [[철도]]교통 === [[경부고속선]] [[광명역]]이 있으며, [[신안산선]]과 [[경강선#월곶판교선|월곶판교선]]이 추진중이다. [[KTX]]는 [[광명역]]을 이용하고, 일반열차(무궁화호 등)은 [[안양역]][* 광명역 기준, 시내버스로 2~30분 가량 소요됨] 혹은 [[영등포역]][* 광명역 기준, 석수역 전철환승 포함 한시간정도 소요됨]을 이용해야 한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나 [[서울 경전철 난곡선]] 등을 [[광명역]]으로 끌어오자는 구상도 있다. 물론 [[광명역]]에서 1호선 셔틀전철을 이용할수 있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않으니 다른 곳을 이용하는 것이 속편하다. [[광명 버스 1-1|1-1번]], [[광명 버스 1-3|1-3번]] [[마을버스]]를 타고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석수역]]이나 [[관악역]]을 이용하거나, 시내버스 타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철산역]][* 2, 3, 11-2, 12, 17, 22. 7호선 이용할거면 다른역으로 가지말고 바로 철산역으로 가면 된다. 여담으로 11-2번과 12번, 22번은 하안사거리 일대를 경유하기에 시간을 허비하는데 철산역으로 바로 가는 버스보다 10~15분 가량 더 걸린다. 그냥 철산역으로 바로 가는 2번, 3번, 17번 타자.],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실제로 소하2동 역세권휴먼시아 인근에서부터 출퇴근시간에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가는 버스수요가 폭발한다. 그래서 [[서울 버스 505|505번]]은 사실상 소하동을 위한 출근 전용버스나 다름없다.]을 이용할수있다. 1호선 [[안양역]][* 2, 3, 12]을 이용할수도 있다. [[부천 버스 75|75번]]타고 [[독산역]]이나 [[가산디지털단지역]]을 이용하는것도 가능하다. === [[도로]]교통 === [[광명역]] 주변에 [[서해안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 [[강남순환로]], [[수원광명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광명역IC]]와 [[소하IC]]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 [[버스]]교통 === ||<-2><:>광명역세권지구 운행 버스||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버스}}}]] || [[광명 버스 3001|3001]]ㆍ[[광명 버스 3002|3002]]ㆍ[[광명 버스 8507|8507]]ㆍ[[부천 버스 G8808|G8808]]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 [[서울 버스 505|505]]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 [[서울 버스 5627|5627]]ㆍ[[서울 버스 5633|5633]]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버스}}}]] || [[광명 버스 2|2]][*A 광명역 미경유]ㆍ[[안양 버스 3|3]]ㆍ[[안양 버스 8-2|8-2]]ㆍ[[광명 버스 11-2|11-2]][*A 광명역 미경유]ㆍ[[광명 버스 11-3|11-3]]ㆍ[[광명 버스 12|12]]ㆍ[[광명 버스 17|17]]ㆍ[[광명 버스 22|22]]ㆍ[[안산 버스 50|50]]ㆍ[[부천 버스 75|75]]ㆍ[[광명 버스 77|77]] || || [[마을버스#s-2.2|{{{#FFFFFF 마을버스}}}]] || [[광명 버스 1-1|1-1]]ㆍ[[광명 버스 1-3|1-3]]ㆍ[[광명 버스 88|88]] || || [[공항버스|{{{#FFFFFF 공항버스}}}]] || [[공항버스 6004|6004]]ㆍ[[공항버스 6014|6014]] || 버스는 정말 많이 다닌다. [[광명시]] [[철산동]] 지역 혹은 서울, [[안양역]] 방면 시내버스 노선이 주로 다니고, 수요가 많은 편이다. [[가산동]]을 거쳐 [[부천시]]로 가는 노선도 있으며 [[사당역]]으로 가는 [[광명 버스 8507|8507번]]과 [[송내역]]으로 가는 [[부천 버스 G8808|G8808번]], 인천으로 가는 [[직행좌석버스]]인 [[광명 버스 3001|3001번]], [[광명 버스 3002|3002번]]도 운행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광명역]] *[[광명종합터미널]] *[[광명시]], [[광명시/상권]], [[소하동]] *[[역세권개발사업]], [[역세권]] [[분류:광명시의 개발사업]][[분류:역세권개발사업]][[분류:광명역]] [include(틀:포크됨2, title=광명역세권개발사업, d=2022-07-10 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