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광명시 버스 목록)] [include(틀:경기도의 폐선된 버스 목록)] [목차] == 개요 == [[광명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지역면허가 변경된 버스 노선, 그리고 계획이 취소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운행경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폐선 직전 노선이며 형간전환되었던 노선의 경우 폐선 직전의 노선 형태 기준으로 작성한다. 지역면허가 변경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한다. 단순히 경로가 변경되거나 소속 차고지가 변경된 경우는 제외한다. === 광명 버스 1-1 === * 광명7동-광명사거리-개봉역을 운행. 이후 [[광명 버스 22|22번]]에 흡수되었다가 사실상 현재의 100번이 대체.~~그와중에 100번 2기 노선도 폐선되었다~~[* [[광명시 버스 목록/폐선|1-1번]]은 [[광명 버스 11-1|11-1번]]의 전신이라 할수있다.] === 광명 버스 2 (1기노선) === * 광명7동 - 중앙하이츠 - 광명사거리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철산동(성애병원) - 3공단사거리(현 한진택배 앞) - 가리봉역(당시 명칭) - 3공단사거리 - 공단오거리 - 구로1공단 - 대림동 - 도림동. [[http://cafe.naver.com/scptus/2767|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광명동 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광명사거리를 거쳐 개봉역까지 갔다오고 광명사거리까지 갔다가 철산대교를 거쳐 구로공단을 뱅뱅돌다가 대림동, 도림동까지 갔던 노선이었다. 7호선 개통 이전에 광명시와 개봉역, 가리봉역을 모두 이어준 노선이었다. * 전성기에는 지선이 3개나 있을 정도였으나,[* ~~번호만 비슷한 11-1번, 11-2번과 달리~~ 2-2를 제외한 세 노선은 모두 가리봉역을 경유했다. 11-1번은 원래 광명7동-개봉역을 운행하던 11번의 자매노선이었다가 노선이 바뀌어 지금같은 형태가 된 것으로 관계가 없지는 않다. 물론 11-2번은 11번과 아무 관계 없이 자매노선의 자매노선이라는 이유로 받은 노선번호..] 이후 지선들은 모두 통합되어 [[광명 버스 21|21번]]이 되었고, 2번은 2000년 2월에 7호선이 개통하면서 폐선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명 버스 2, version=115)] === 광명 버스 2-1 === * 광명7동 - 광명사거리 - 구도로 - 광명병원(현 광명성애병원) - 가리봉역, 1990년대 초 2-3번과 합쳐 [[광명 버스 21|21번]]으로 재편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명 버스 2, version=115)] === 광명 버스 2-2 === * 광명7동 - 광명사거리 - 광명경찰서 - 철산대교 - 철산주공13단지 - 모세로삼거리 - 광명북고 - 광복시장 - 원풍아파트 - 개봉역 * 광복아파트 재건축(현재의 광복현대아파트)으로 수요가 사라지면서 폐선되었다. 사실 운행 당시에도 '''언제 올지 모르는 버스''' 소리를 들었던 노선이다. 정확히는 24분 간격운행. * 정식으로 승계된 노선은 없으며, 2-2번이 폐선된 이후 광복시장-우성아파트 구간에는 버스노선이 전멸했다. 광복아파트 이남이야 우성아파트까지 걸어가서 버스를 타면 됐지만 제일아파트, 삼각주마을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 현재는 광명7동에서 광명북고까지 [[광명 버스 광명01|광명01번]]이, 광명북고에서 개봉역까지는 [[광명 버스 17|17번]]이 전담하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명 버스 2, version=115)] === 광명 버스 2-3 ===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철산역(광명사회체육센터) - 철산주공13단지 - 모세로삼거리 - 도덕초교 - 철산대교 - 가리봉역, * 2-1번과 통합되어 21번이 되었다 * 통합 직전에는 도덕초등학교가 아닌 광명북고 앞을 경유했으며 개봉고가~세풍운수차고지구간이 121번과 완전중복이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명 버스 2, version=115)] === 광명 버스 3 === * 화영운수의 원년 3대 노선 중 오류동-도창리 시외버스로 출발한 노선이다. 폐선무렵 운행구간은 화영운수차고지 - 광명사거리 - 개봉사거리 - 오류동역 - 천왕동 - 옥길동 - 과림동 - 무지동 - 도창동 - 매화동 (7호선 건설 우회). 현재는 [[광명 버스 39]]가 사실상 승계했다. === 광명 버스 5 === * 광명시 순환노선. 개봉역 → 광명사거리 → 구도로 → 하안동 → 소하동 → 일직동 → 범고개 → 안서국민학교 → 도고내 → 학온동사무소 → 영서변전소 → 광명사거리 → 개봉역. 12번과 22번에 흡수. === 광명 버스 6 === * 광명시 순환노선. 5번의 역순. 12번과 22번에 흡수. === [[광명 버스 77|광명 버스 7]] === [[파일:광명7.jpg]] * 해당 문서 참조. 원래는 [[광명 버스 77|7번]]이었다가 [[따복버스]]로 전환되면서 [[광명 버스 77|77번]]으로 바뀌었다. === [[광명 버스 7-1]] === * 광명역-가학광산(당시 광명동굴 명칭)구간을 운행하던 단거리 노선이었으나 [[광명 버스 17|17번]]이 학온동주민센터에서 광명동굴 입구로 들어가게 연장되면서 노선이 100% 겹치게 되어 폐선되었다. 해당 문서 참조. === 광명 버스 21 (1기노선) === * 화영운수차고지 - 광명사거리 - 구도로 - 철산교 - 가리봉역 - 구로공단 - 구로공단역. 90년대초반 2-1번과 함께 2번을 보조하던 노선이었으나, 잠시 운행하고 폐선. === 광명 버스 23 === * 2000년경 폐선된 33번을 대체하여 철산우성아파트-충현고등학교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 현재는 11-2번과 17번이 사실상 승계하였다. === 광명 버스 25 === * 아파트형공장 - 광명실내체육관 - 철산동 - 광명사거리 - 화영운수차고지 구간 운행. [[광명 버스 12|12번]]에 흡수. === 광명 버스 27-1 === * [[광명 버스 27|27번]]의 자매노선. [[철산역]]이 개업한 2000년부터 하안현대1차~[[철산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2002년 [[광명 버스 27|27번]]에 통폐합되었다. === 광명 버스 33 === 최초에는 화영운수차고지-광명사거리-광명시청-현충공원3거리→광명북중고→철산11단지→도덕초등학교→현충공원3거리-이하역순의 초단거리 노선이었으나, 개통당시 2대만으로 운행하였으므로, 통학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수요는 좋지 않았다. 이후 철산동 지역의 충현고 통학수요를 위해 가리봉역-광명북중고-철산동-하안동-일직동으로 연장되었으나, 2000년경 폐선되고 23번이 운행되었다. === 광명 버스 37 === * 부천역-신천리-광명사거리-광명경찰서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과 [[화영운수]]가 공동배차했다. 1984년 광명경찰서가 개서한 이래 1999년 시흥경찰서가 개서하기 이전까지 소래지역 관할 경찰서가 광명경찰서였기 때문에 개설된 노선이다.[* 아래의 88번도 마찬가지. 1988년 안산경찰서 개서 이전까지는 광명경찰서에서 안산시도 관할했다.] 이후 1990년대에 부천역-신천동 구간이 단축되어 신천동-광명경찰서 구간을 운행하다가 시흥경찰서 개서 즈음에 폐지되고 대신 [[화영운수]] [[광명 버스 1|1번]]이 신천동으로 연장되었다. 과림동-광명사거리 구간은 과림동-능촌사거리-광명사거리로 운행하다가 광명교(일명 천왕교) 개통 이후 옥길동 경유로 변경된 것 같으나 확실하지 않다. === 광명 버스 37-1 === * 2002년경 위의 37번과 비슷한 구간에 37-1번으로 부활한 적이 있다. 다만 화영운수 단일배차였으며 37번 시절 광명사거리-능촌사거리-과림동으로 운행하던 것이 광명사거리-옥길동-과림동으로 변경되었다. 배차간격은 '''2시간'''. === 광명 버스 56 ===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광명경찰서 - 하안동 - 소하동 - 일직낚시터. 이 노선을 안양역까지 연장한 것이 12번이나 현재는 사실상 [[광명 버스 22|22번]]이 동일 구간을 대체했다. === 광명 버스 77(계획노선) === * 현재의 [[광명 버스 77|77번]]과는 다르다. 2000년대 초 광복현대아파트 입주에 따라 개봉역-광복로-철산역-광명역-학온동-광명사거리-개봉역을 운행하는 순환노선으로 계획되어 시정소식지에도 등장했으나 취소되었다. 대신 개봉역-광복로-철산역-소하동을 잇는 17번이 개통. === 광명 버스 88 === ||<-6><:>{{{#ffffff 광명시·안산시 시내일반버스 88번}}} || ||<-2> 기점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철산동) ||<-2> 종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반월공단)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화영운수]],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철산동-광명사거리-애기능입구-목감-수암-부곡동-예술인아파트-중앙동-안산시청-라성-안산역-반월공단 || * [[화영운수]]와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이 공동으로 운행했던 노선. 1998년 폐선되었다. * 1988년까지 시흥군과 안산시가 광명경찰서 관할이기 때문에 운행된 노선. 때문에 1988년에 안산경찰서가 개서한 이후로는 중요도가 많이 떨어져[* 안산시는 물론 구 수암면 지역, 즉 수암, 목감 등도 안산경찰서 관할로 넘어갔다.] 광명-안산을 운행하는 상징성만 남았다. * 그당시 운행 경로는 철산동-광명사거리-애기능입구-목감-수암-부곡동-예술인아파트-중앙동-안산시청-라성-안산역-반월공단 으로, 광명사거리-반월공단 구간은 그 당시의 시외버스와 겹쳤다.[* 시외버스 역시 공동운행했으나, 이후, 경원여객은 300번(지금은 5601번으로 변경)과 320번으로 나뉘어 운행을 했고, [[화영운수]]는 310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했으나, 소리소문도 없이 폐선하였다.] 시외버스가 안산역을 정차하지 않았을 때에는 안산역을 정차한 이 노선이 어느정도는 수익이 되었으나, 시외버스가 안산역에 정차하면서부터는 수요가 줄어들더니 소리소문도 없이 폐선되었다. * 그날의 운행이 종료되면, 장거리 공차회송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는데, [[화영운수]]는 안산역에서 광명시까지, 경원여객은 안산역이나 철산동에서 안양영업소까지 공차회송을 하였다.[* 경원여객이 안산면허로 변경한 시점부터 폐선시까지는 경원여객의 장거리 공차회송은 광명시에서 안산 본사까지 공차회송을 하기도 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명 버스 88, version=11)] === 광명 버스 100 (1기노선) === * 2006년 8월, 5628번이 폐선되면서 공백이 발생한 철산 북부지역과 하안동 지역을 위해 '우성아파트 - 아파트형공장' 간 노선으로 신설했다. 당시 이 구간에 [[광명 버스 11-2|11-2번]]이 있긴 했는데 예나 지금이나 배차간격이 안 좋고 이걸 해결하려면 서울시와 시흥시의 허가를 받아야 했는데 11-2번이 시흥시 구간에서 그닥 수익이 나는 것도 아니었다. 처음에는 5628번의 대체노선으로 구로디지털단지역 연장도 기대해볼 만했으나, 역시나 서울시에서 교통 혼잡으로 거절하면서 폐선되었다. === 광명 버스 100 (2기노선) === 위의 100번과는 무관하며 2018년 8월 1일부터 1년 간 운행중단되었고 8월 3일부터는 GBIS에서도 노선 정보가 말소되면서 폐선이 확정되었다. [[광명 버스 100]] 문서 참고. === 광명 버스 310 === === 광명 버스 3000 === [[광명 버스 3000]] 문서 참고. [[분류:광명시의 버스 교통]][[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