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통영시의 면]] [include(틀:통영시의 읍면동)] ||<-2> '''[[파일:통영시 CI.svg|height=15]] [[통영시|{{{#000000,#dddddd 통영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광도면}}}'''[br]光道面 | Gwangdo-myeon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통영시 || || '''행정표준코드''' || 5330034 || || '''관할 법정리''' || 7리 || || '''하위 행정구역''' || 56행정리 190반 || || '''면적''' || 40.91㎢ || || '''인구''' || 30,614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748.3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통영시·고성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점식]] ,,(재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강성중 ,,(초선),, || ||<-2> '''통영시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상준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배윤주]] ,,(3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전병일]]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노산길 115 (노산리 391-1) || || [[https://www.tongyeong.go.kr/00001/00286/00358.web|광도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통영시]] 소속의 면이다. 북쪽으로 [[경상남도 고성군]]과 인접해있고, 남쪽으로는 [[무전동]]이 있다. 한편 서쪽으로 도산면, 남동쪽으로는 [[용남면]]이 있다. [[통영시]]에서 인구도 3만명으로 가장 많고[* [[통영시]]의 유일한 읍인 '''산양읍'''보다 약 7.5배 정도 인구가 많다.], 면적도 약 40㎢로 가장 넓다. 2021년 기준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면인데, 이렇게 성장한 이유는 2000년대 들어 실시한 죽림지구 개발로 공공기관과 주거지구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통영종합버스터미널]]로서 통영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등, 사실상 '''신통영'''이라 불러도 부족하지 않은 지역인 셈. 면의 북부에는 안정공단이 있어서, 통영시의 지역경제 또한 책임지고 있다. == 주요시설 == === 공공기관 ===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대전통영고속도로]] [[북통영IC]] 인근에 있어 바로 연계된다. 광도면이 통영의 관문인 가장 큰 이유.] * [[통영소방서]] * 통영경찰서 * 통영해양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통영지사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통영지원 * [[부산지방고용노동청 통영지청]] * [[국민연금공단]] 통영지사 * 통영교육지원청 * 한국가스공사 통영기지본부 === 학교 === * 제석초등학교 - 2015년 3월 1일 개교 * 죽림초등학교 - 2007년 3월 1일 개교 * 동원중학교[* 정량동에 있던 학사를 광도면으로 이전하였다.] - 2012년도 이전 * [[통영동원고등학교]][* 동원중학교와 함께 정량동에 있던 학사를 광도면으로 이전하였다.] -2012년도 이전[* 공식적으로는 1947년 개교] * 광도초등학교 - 1938년 3월 17일 개교 * 벽방초등학교 - 1922년 4월 15일 개교 === 기타 === * [[이마트 통영점]] * 통영서울병원 * 통영중앙병원 * 내죽도공원 * 죽림종합문화센터 * [[북통영IC]] * [[안정국가산업단지]] == 주거시설 == 거의 모든 주거시설이 죽림지구에 있다. * 현대성우오스타1~2차 * 통영안정LH아파트 * 통영코아루2단지 * 통영코아루1단지 * 죽림듀크하임빌 * 한선파라빌리지 * 한선파라타운 * 한선파라디움3차 * 죽림주공아파트 * 일성유수안1~2차 * 주영 1~7차 아파트 * 신원 아르시스 * [[통영 죽림 푸르지오|죽림대우 푸르지오 1~3차 아파트]] * 신우희가로아파트 * [[힐스테이트 통영]] * 통영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 * 디엘본S136아파트 == 교통 == === 시내버스 === 종점이 [[거제대교]]가 아닌 이상 시내버스는 대부분 [[통영종합버스터미널]]을 종점으로 삼는다. 따라서 어느 시내버스를 타든 광도면 지역은 경유할 수 있다. 통영시 전역이 아닌 광도면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시내버스를 본다면 크게 한선APT 경유와 향교/죽림마을 경유로 나눌 수 있다. 만약 죽림/제석초등학교나 푸르지오, 한선APT로 가야 한다면 한선APT를 경유하는 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 한편 주영 더팰리스 1, 2, 3차나 일성유수안 단지로 가려면 향교/죽림마을 경유 버스를 타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통영시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할 것. === 시외/고속버스 === 무전동에 있던 구 터미널이 노후화되자 죽림지구로 이전하였고 이것이 [[통영종합버스터미널]]이다. 이 곳에서 모든 시외/고속버스가 출발한다. 시외버스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운영하는 노선은 '''[[시외버스 부산서부-통영]] 노선'''이다.[* 통영종합버스터미널의 최대 수요처라고 불러도 좋을 정도로 배차시간이 짧다.] 거의 10분 당 1대 꼴로 무정차 편수가 있다. 그 다음으로 활발한 노선은 '''[[시외버스 서울남부-장승포|서울남부]]/[[고속버스 서울경부-통영|서울경부]]행'''이며, 각각 30~40분 당 1대씩은 꾸준히 있다. 심지어 서울경부 행 심야고속 막차는 0시 30분이며, 남부터미널 행도 밤 10시 30분 운행편까지 있다. 철도가 없고 인근 지형적인 한계로 인해 대도시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광도면에 터미널을 건설한 것이 통영시 나름대로의 신의 한 수라고 할 수 있겠다. === 도로교통 === 고속도로인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고 [[북통영IC]]가 죽림지구 바로 옆의 노산리에 있기 때문에 도로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단, 용남면 방면으로는 진입이 불가능하다.] 국도로는 [[14번 국도]]가 지나가고 [[77번 국도]]도 지나가고 있다. 그래서 인근 [[경상남도 고성군|고성군]], [[거제시]], [[창원시]]로 나가기 편리하다. 단, 명절이나 연휴때는 차량통행량이 많은 편이고, 평일에도 출퇴근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교통정체가 조금 있는 편이다. == 기타 == * 안정공단 쪽에 안정사와 벽방산이 있어, 광도면 내의 관광지로 기능하고 있다. * [[통영시]]의 유일한 읍인 산양읍보다 인구가 많지만, 동은커녕 읍으로의 승격 움직임도 없다. 이는 농어촌지역혜택을 노린 주민들의 입김이 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 통영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인 주영더팰리스5차가 죽림지구에 있다. * 통영에 있는 한려운전학원과 신세계운전학원이 모두 광도면에 있다. 또한 2곳은 그렇게까지 멀지 않다. 걸어서 약 5분거리. *[[부산교통]] 통영영업소가 광도면에 있다. * 죽림해안로에서 보이는 풍경이 꽤나 괜찮아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 죽림지구는 대부분이 매립지라 시가지 도로망이 반듯반듯하다. 인구추이를 보면 구도심에서 빠진 인구가 대부분 광도면으로 들어온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