毌丘興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인물이자 [[관구검]]과 [[관구수]]의 아버지. == 생애 == [[조조]] 때 안정태수가 되어 임지로 나아가려고 했는데, 조조로부터 강족, 흉노의 교류에 대한 충고를 들었다. 안정에 도착한 후에 범릉을 강으로 보내 속국도위로 삼아주도록 요구받았다. 황초 연간[* 220 ~ 226년이다.]에 무위태수를 지내 [[국연(삼국지)|국연]]이 반란을 일으켜 [[장진(조위)|장진]], [[황화(삼국지)|황화]] 등이 호응하고 무위군의 이민족들이 노략질하면서 길이 단절되자 [[소칙]]에게 위급함을 알렸으며, [[학소]], 소칙 등이 지원해서 이민족들을 격파하자 이들과 함께 장진을 공격했다. 반란들을 진압하고 복종하는 자를 어루만져 하우를 개통해 그 명성이 소칙에 버금갔다고 하며,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고양향후에 봉해졌다가 조정에 들어와 장작대장이 되었다. [[장기(삼국지)|장기]]가 그에 대해 올린 표를 올려 그의 치적에 대해 언급했다. 후에 [[관로]]가 그의 묘에서 아들인 관구검의 일족이 멸망할 것이라 예언했으며, 결국 관구검이 반란을 꾀했다가 그 말처럼 되었지만 관구검의 차남 [[관구종]]과 그의 아들 관구오, [[관구전]]의 손자인 [[관구중]], [[관구지]]가 살아남아 반쯤은 맞게 되었다. 관구흥가 아니고 무구흥라는 논란이 있는데 관구검 항목에 어느 정도 설명이 되어있다.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 == 창작물에서 == || [[파일:관구흥.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4, 지력 50, 정치 68, 매력 70이며 일러스트는 왼손에 검을 쥔 상태로 팔짱을 끼고 있다. 개성은 축성, 위무, 친강,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분전, 견제, 매성, 친애무장은 [[소칙]], [[장기(삼국지)|장기]], 혐오무장은 없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아들인 관구검의 부하로 배치되어 있다. [[화봉요원]]에서는 남군 공방전 때 등장하고 [[사마의]]가 오나라 군사에게 붙잡혀 죽을 뻔 하다가 부상을 입고 탈출했는데, 사마의가 깨어나자 [[조비]]가 퇴각하고 부상병들만 남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아군이 초성에 있는 오군을 격파해 보급을 없앴다는 소식을 듣고 학창, 사마의와 함께 이 일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유비]]군이 아군으로 위장해 오군의 보급 초소를 습격한 것을 알게 된다. 유비군이 영채를 습격하면서 시균(柴均) 등 여러 병사가 살해당하고 사마의와 함께 맞서는데, 부상병들과 사마의를 피신시켜 했지만 부상병들이 주력 부대가 자신들을 위해 놔둘 수 없다는 것과 사마의가 모두와 함께 갈 것이라는 것을 하자 맞서 싸우기로 하며, 사마의의 계책에 따라 버티면서 유비군과 손권군이 마주치도록 하고 부상병들을 모두 퇴각시켰다. 소설 삼국지 유지경성에서는 촉한이 장안을 공격했을 때 [[학소]]가 이를 물리치자 원군으로 온 양주의 군사들과 함께 촉군을 공격해 [[조운]]을 기습하다가 창에 참수되어 사망했다. [각주] [[분류:조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