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관광전용패스 폐지와 함께, 2015년 5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판매했던 관광통합패스 - [[나드리 패스]] * 현재 판매중인 레일 패스 - [[내일로]], [[문화누리레일패스]] [목차] == 개요 == 코레일에서 판매하였던 구, 관광전용패스들 중 폐지된 패스권을 다루는 문서이다. == O-Train Pass(오-트레인패스) == [[코레일]]이 기차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야심차게 도입했던 [[중부내륙순환열차]]와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같이 내놓은 패스. [[내일로]]와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 기간 및 이용 요금 === 어른: 만 26~54세, 시니어: 만 55세 이상, 청년: 만 13~25세, 어린이: 만 12세 이하 || 구분 || 1일권 || 2일권 || 3일권 || ~~5일권~~ || ~~7일권~~ || || 어른(기준가격) || 54,700 || 66,100 || 77,500 || ~~100,300~~ || ~~123,100~~ || || 시니어, 청소년(30%) || 38,300 || 46,300 || 54,200 || ~~70,200~~ || ~~86,200~~ || || 어린이(50%) || 27,300 || 33,000 || 38,700 || ~~50,100~~ || ~~61,500~~ || * 5일권과 7일권은 수요 저조로 인해 [[2014년]] [[7월 31일]] 자로 폐지되었다. === 이용 가능 구간 === [[중앙선]]: 청량리~부전, 영주~북영천~동대구 [[충북선]]: 대전~조치원~제천 [[경북선]]: 부산~김천~상주~영주 [[태백선]]: 제천~영월~민둥산~태백~동백산 [[영동선]]: 영주~분천~철암~동백산~정동진 [[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 서울~청량리~제천~민둥산~태백~철암~분천~영주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 철암~분천~영주[*A 분천~영주구간은 첫차와 막차 한정][*B 좌석이 없을시 입석으로 이용 가능(단, 레츠코레일패스와 오트레인패스가 있어야한다.)] * 위 구간을 벗어난 구간을 운행하더라도, '''중부내륙순환열차의 정차역과 연계가 된다면''' 이용이 가능했다. * 예를 들어서 영동선 #1671~1674 강릉~동대구 열차와 달리 경북선 1821 ~ 1826 열차는 승차역 혹은 하차역이 영주역이 아니면 좌석지정이 불가능했었다. 후신인 나드리 패스로 계승되면서 좌석지정이 서울~천안구간 제외 전 구간으로 확대되었다. * 서울 출발 충북선 경유 제천행 열차인 #1281, 1282는 다른 충북선 열차들과 달리 경부선 무궁화호 번호(1200번대)를 배정받아 전산상 경부선 열차로 인식되기 때문에 좌석지정이 불가능하다. 최종적으로는 운행계통에 따른 정차역에만 좌석지정 가능하게 되었다. * V-Train 별밤열차도 이 패스로 승차가 가능했었다. === O-Train Pass 발매 이후 === 비싼 가격과 한정된 이용범위 때문에 수요는 적은 편이지만 [[내일로]]에 질린 일부 [[철도 동호인]]이나 여행매니아들 위주로 빠르게 전파되는 중이다. 특히 '''무궁화호 특실'''까지도 탈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무궁화호 특실이 널리고 널린 [[중앙선]], [[태백선]]-[[영동선]]을 다닐 때는 이 패스가 진리. 심지어는 [[중부내륙순환열차]]와 연계가 되는 노선을 거의 대부분 탈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이 패스 끊고 [[부산광역시|부산]]까지''' 다녀오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켠김에 왕까지|끊은김에 부산까지]]~~ 이는 [[중앙선]] [[근성열차/대한민국|#1621 ~ #1624 열차]]가 전부 연계열차로 취급이 되어 [[경주역]] 이남의 [[동해선]] 구간'''까지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패스 사용 마지막 날 출발하는 열차도 종착역까지 탑승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강릉이나 부전에서 청량리까지의 야간열차[* 단, 강릉-청량리 야간열차는 기본적으로는 금토일 운행이며, 여름 성수기에만 매일 운행한다.]를 풀코스로 타서 본전을 끝까지 뽑는 경우도 더러 보였다. 2015년 1월 22일부터 운행하는 정선아리랑열차는 이 오트레인패스로 좌석지정 받을 수 없다. == S-Train Pass(에스-트레인패스) == [[남도해양관광열차]]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O-Train Pass와 거의 비슷한 취지로 만들어진 관광전용패스이며, O-Train Pass와는 패스가격이 약간~~을 가장한 크게~~ 다르다. === 기간 및 이용 요금 === 어른: 만 26~54세, 시니어: 만 55세 이상, 청년: 만 13~25세, 어린이: 만 12세 이하 || 구분 || 1일권 || 2일권 || 3일권 || || 어른(기준가격) || 66,000 || 83,100 || 100,200 || || 시니어, 청소년(30%) || 46,200 || 58,200 || 70,100 || || 어린이(50%) || 33,000 || 41,600 || 50,100 || === 이용 가능 구간 === [[경부선]]: 동대구~부산 [[동해선]]: 포항~경주~부전[* 홈페이지상 부산진으로 되어있으나 부전~부산진구간은 여객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구간이다.], 동대구~영천~경주~부전 [[경전선]]: 전 구간(삼랑진~순천~광주송정) [[전라선]]: 익산~순천~여수엑스포 [[호남선]]: 익산~목포[*C 광주역 포함]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서울~천안~서대전~익산~순천~여수엑스포,[*D 서울~익산은 경부선과 호남선 경유이며, 해당 구간의 일반열차는 이용 불가.] 부산~삼랑진~마산~순천~보성 == 정선아리랑 열차 패스(A-train PASS) == [[정선아리랑열차]]를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관광전용패스이다. 이 관광전용패스는 1일권만 존재한다. 아울러 연계구간이 없으니 패스 구매시 주의해야한다. 같은 구간(청량리~민둥산)을 운행하는 [[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은 이 패스로 탈 수 없다. === 기간 및 이용요금 === 여기서는 1일권만 존재했다. 어른: 만 26~54세, 시니어: 만 55세 이상, 청년: 만 13~25세, 어린이: 만 12세 이하 || 구분 || 1일권 || || 어른(기준가격) || 48,000 || || 시니어, 청소년(30%) || 38,600 || || 어린이(50%) || 27,600 || === 이용 가능 구간 === [[정선아리랑열차]](A-Train): 청량리~제천~민둥산~아우라지 == Let's Korail Pass(레츠코레일패스) == 위 항목에서 설명한 관광전용패스를 아울러서 이용이 가능한 최상위 관광전용패스였다. 선물용으로는 레츠코레일패스 바우처가 있었으며, 처음에는 레츠코레일패스 바우처만 나왔으나, 현재는 레츠코레일 패스로 바로 발권이 가능하다. 레츠코레일패스 바우처는 여행센터가 설치된 역에서만 09:00~18:00 시간대에만 구입이 가능하니 이 점 유의해야하며, 예외적으로 레츠코레일패스 바우처는 발행일로 부터 1년 내에 역창구로 가서 레츠코레일패스로 교환받아 사용했으며, 이는 후신인 나드리패스 바우처로 계승되었다. 당연히 저 위의 이용구간과 장항선 구간 중 천안~익산 구간을 포함하여 위의 전용열차까지도 이용이 가능하나, 경원선 통근열차도 가능했었다. 여담으로 V-Train 별밤열차도 이 패스로 승차가 가능했다. === 기간 및 이용 요금 === 어른: 만 26~54세, 시니어: 만 55세 이상, 청년: 만 13~25세, 어린이: 만 12세 이하 || 구분 || 1일권 || 2일권 || 3일권 || || 어른(기준가격) || 66,000 || 89,500 || 106,600 || || 시니어, 청소년(30%) || 46,200 || 62,700 || 74,600 || || 어린이(50%) || 33,000 || 44,800 || 53,300 || === 이용 가능 구간 === O-Train Pass, S-Train Pass, DMZ Pass, 정선아리랑 Pass의 이용 가능 구간을 전부 포함하여, 장항선구간 천안~익산 구간도 이용가능했다. 연계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의 정차역에서 좌석 지정을 할 수 있었다. ex) 경부선 부산→동대구는 발권이 가능하지만, 경부선 부산→김천은 경북선과 경북관광순환열차만 좌석지정이 가능하며, 경부선열차는 좌석지정 받을 수 없다. * [[경원선]]: 동두천~백마고지 * 통근열차는 패스를 보여주기만 하면 탑승 가능. * [[경부선]]: 동대구~부산 * 조치원~대전 구간은 #1701~1716 열차만 이용 가능. * 김천~동대구 구간은 #1821~1826 열차만 이용 가능. * [[충북선]]: 대전~조치원~제천 * 서울~제천 간 운행되는 무궁화호(1281~1282)는 이용 불가이며, 연계구간내에서도 좌석지정 및 입석 승차 불가.[* 헤당 열차는 경부선 계통으로 취급된다.] * [[경북선]]: 부산~김천~상주~영주 * [[중앙선]]: 청량리~제천~영주~안동~영천~부전 * [[태백선]]: 제천~민둥산~태백~동백산 * [[영동선]]: 영주~분천~철암~동백산~정동진 * [[동해선]]: 포항~경주~부전[* 매주 금요일에 운행되는 경북바다열차 이용 가능 여부 조사 바람] * [[대구선]] 경유: 동대구~영천, 동대구~북영천 * [[중앙선]] 경유: 영천~서경주~경주 * [[경전선]]: 전 구간(삼랑진~순천~광주송정) * [[전라선]]: 익산~순천~여수엑스포 * [[장항선]]: 천안~온양온천~장항~익산 * #1556, #1563 열차는 익산~서대전 구간 이용 불가. * 서울-신창간 운행되는 누리로는 서울~천안 이용 불가. * [[호남선]]: 익산~장성~광주송정~목포 * [[광주선]]: 익산~장성~광주 * 관광전용열차 * [[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중부내륙순환열차)]]: 서울~청주~제천~민둥산~태백~철암~분천~영주 *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백두대간협곡열차)]]: 철암~분천~영주[*A 분천~영주구간은 첫차와 막차 한정][*B 좌석이 없을시 입석으로 이용 가능(단, 레츠코레일패스와 오트레인패스가 있어야한다.)] *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남도해양열차)]]: 서울~천안~서대전~익산~순천~여수엑스포,[*D 서울~익산은 경부선과 호남선 경유이며, 해당 구간의 일반열차는 이용 불가.] 부산~삼랑진~마산~순천~보성 * 서울-여수엑스포 계통: 서울~천안~서대전~익산 구간은 남도해양관광열차만 이용 가능. * [[평화생명관광열차|DMZ-Train(평화열차)]]: 용산-서울~문산~도라산,[* 수도권 광역전철 이용 불가] / 서울~청량리~동두천~백마고지[* 수도권 광역전철 이용 불가] * [[정선아리랑열차|A-Train(정선아리랑열차)]]: 청량리~제천~민둥산~아우라지 * [[서해금빛열차|G-Train(서해금빛열차)]]: 용산~아산~군산~익산[* 2015년 2월 24일부터 가능, 단 온돌마루실은 이용 불가하며 2015년 5월 2일 이후에는 나드리 패스로 계승되었다.] * 용산~아산 구간은 서해금빛열차만 이용 가능하며 천안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이용에 주의.[* 서울~천안은 남도해양관광열차만 이용 가능했다. 그런데 이 열차는 용산역을 서지 않는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교통 패스]][[분류:한국철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