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곽태진}}}'''[br]'''郭泰珍'''}}}}}}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022/2006/04/13/1328-7.jpg|width=100%]]}}} || || '''창씨명''' ||츠토야마 타이친(苞山泰珍)[*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3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695&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1945년 8월 15일 형사사건부]]] || || '''호''' ||해파(海波) || || '''본관''' ||[[현풍 곽씨]] [* 청백리공 안방(安邦)파-죽재공파(竹齋公派) 30세 태(泰) 항렬.] || ||<|2> '''출생''' ||[[1917년]] [[5월 18일]]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답곡리 || || '''자녀''' ||[[곽정희]] [*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전문배우] || ||<|2> '''사망''' ||[[2006년]] [[4월 12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25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授勳)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이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授與)받았다. == 생애 == 1917년 5월 18일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답곡리에서 아버지 곽종의(郭鍾義, 1879.00.00 ~ 1960.02.07)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금선(金琴仙, ? ~ ?.07.29)[* 김무(金武)의 딸이다.] 사이의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상경하여 [[성동고등학교|중앙기독교청년회학교]] 중등과에 입학하였으나 3학년 때 [[http://db.history.go.kr/id/im_101_20345|중퇴하였으며]], [[8.15 광복]] 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42년 3월 [[성일영]]·도종표(都鍾杓) 등 동지 100여 명을 규합하여 항일 비밀결사인 호의단(護義團)을 조직해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현풍신사(玄風神社)에 방화하는 등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고령군·[[청도군]] 등의 경찰서에서 무기를 탈취하여 무장 봉기를 계획하던 중, 1945년 5월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야산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고,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사형선고를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수감되었다. 그러다가 같은 해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으며, 같은 날 대구지검에서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3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695&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출옥할 수 있었다. 광복 직후 양조업 및 농업에 종사하다가 고령군 우곡면장에 임명되었으며, [[우익]] 정치인으로 정계에 입문, [[한국민주당]]에 입당하여 경상북도당 청년부장 겸 사무총장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고령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족통일본부 [[김상덕(1892)|김상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49년 [[민주국민당]]이 창당되자 당적을 옮겨 경상북도당 사무국장에 임명되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고령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김상덕(1892)|김상덕]]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고, 민주국민당 중앙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 2대 국회 기간인 1951년 2월 [[거창 양민 학살사건]]이 일어났을 때 [[신성모]] 당시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의 면전에서 신랄하게 비판을 가했으며, 그 해 3월 29일에는 [[서민호]]·[[엄상섭]]·[[고영완]] 등의 동료 국회의원들과 [[국민방위군 사건]]의 진상을 폭로하기도 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홍식(1912)|김홍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5년 통합야당 [[민주당(1955년)|민주당]] 창당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중앙상무위원에 임명되었고, 계보상으로는 구파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정남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당 정남택 후보에 설욕하고 당선되었으나[* 2위로 낙선한 무소속 김홍식 후보와 274표차였다.],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가 해산되면서 1년이 채 되지 않아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5대 국회 기간 동안에는 교원노조 설립을 격하게 반대하다가 시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63년 [[민정당]]이 창당되자 당적을 옮겨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지구당 위원장 및 [[전당대회]] 부의장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성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신민당(1967년)|신민당]]이 창당되자 당적을 옮겨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경산군 지구당 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상조(1915)|이상조]]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복수[[공천]]으로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경산시|경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박준규(1925)|박준규]] 후보와 친여 [[무소속]] [[박주현(1923)|박주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신민당 지도위원에 임명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전국구]] 국회의원 제4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민권당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이후 건국대학교 기성회 이사, 독립운동가연맹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2006년 4월 12일 [[서울특별시]]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다. 그의 유해는 2006년 4월 1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안장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1선거구([[고령군]]) || [include(틀:한국민주당)] || 7,555표 (31.55%) || 낙선 (2위)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3선거구([[고령군]]) || [include(틀:민주국민당)] || '''10,456표 (41.29%)''' || '''당선 (1위)''' || '''초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3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5,240표 (20.52%) || 낙선 (2위)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는 정태진(鄭泰珍)으로 오기되어 있다.]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7선거구)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6,562표 (24.51%) || 낙선 (3위)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는 정태진(鄭泰珍)으로 오기되어 있다.]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7선거구) || '''12,551표 (42.51%)''' || '''당선 (1위)''' || '''재선'''[*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의원직 상실.]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8지역구) || [include(틀:민정당)] || 13,122표 (19.02%) || 낙선 (2위) || || || 1969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7선거구)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8,282표 (13.35%) || 낙선 (4위)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국회의원) || [include(틀:민권당)] || 1,088,847 (6.7%) || 낙선 (4번)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국민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고령군 출신 인물]][[분류:현풍 곽씨]][[분류:1917년 출생]][[분류:2006년 사망]][[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