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촉서)] 霍峻 (177년 ~ 216년) [목차]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며 자는 중막(仲邈)으로 형주 남군 지강현 사람. [[곽익]]의 아버지다. == [[삼국지(정사)|정사]] == 그의 형 [[곽독]](霍篤)은 고향에서 군사 수백 명을 모아 거느리고 있었다. 이들은 형주를 차지한 [[유표]]에게 예속되었고, 곽독이 사망하자 곽준이 병사들을 이어받아 관리했다. 유표 사후 곽준은 유종 대신 유비에게 의탁해 중랑장이 되었다. 유비의 익주 침공 중에 가맹관의 수비를 담당했다. [[장로(삼국지)|장로]]의 명을 받은 [[양앙]]은 곽준을 꾀어 같이 성을 지키기를 구했으나, 곽준은 자신을 유인해 관을 빼앗으려는 양앙의 수작을 간파하고 "소인의 머리는 얻을 수 있어도 성은 얻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여 양앙을 물러나게 했다. 유장의 부하 부금, [[상존]]이 만여 명에 달하는 군대로 공격하자 수백의 군사만 가지고 무려 1년을 버텨냈다. 그리고 적군이 방심한 틈을 노려 정예를 선발하고 기습해 적의 대장 상존을 죽이는 공을 세웠다. 익주가 평정된 후 [[유비]]는 곽준의 공로를 칭찬하며 광한군을 분할해 재동군으로 만들고 곽준을 재동태수 겸 비장군으로 삼았다.[* 『화양국지』에 의하면 재동군이 설치된 것은 217년의 일이다.] 그러나 새 관직에 머무를 수 있었던 시간은 겨우 3년여에 불과했다. 곽준이 40세로 세상을 떠나자 그의 죽음을 애석해한 유비는 직접 신하들을 이끌고 곽준의 제사에 참석하고 그 묘 위에서 묵었다. 그의 아들은 [[촉한멸망전|촉한 멸망]] 때까지 살아남아 열후에 봉해진 영창태수 [[곽익]]이다. 정사에서의 기록이 매우 적지만, 그가 일찍 죽자 유비가 그의 죽음을 매우 애석하게 여겼고, 불리한 조건 속에서 성공적으로 수성을 해낸 것으로 미루어 유능한 인물이었다. == [[삼국지연의|연의]] == [[맹달]]에 의해 [[유비]]에게 추천되어 맹달과 함께 가맹관의 수비를 맡았는데, 곽준은 관에서 지키고자 하는 입장을 고수했고 맹달은 나가서 싸우자고 했다. 맹달이 곽준의 말을 듣지 않고 싸우러 나갔다가 [[장합]]에게 패하면서 급히 성도로 보고를 올렸다. 정사와 다르게 수명이 연장되어 [[한중 공방전]]에도 참전한다. 맹달과 함께 가맹관을 방어하며 [[황충]]과 [[엄안]]의 원군이 올 때까지 [[조조]]의 부하 [[장합]]의 공격을 막았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Huo_Jun_%281MROTK%29.webp]] || || 100만인의 삼국지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83.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기록이 부실하지만 위의 일화를 반영해서 그런지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작 중 한 거에 비해 능력치가 좋은 편. 특출난 능력치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70언저리는 다 찍어줘서 총 능력치 합도 340~350 언저리. 유비군이라면 아쉬운 능력치지만 [[유표]]군 소속으로 등장할 때는 이 정도도 쏠쏠하다.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2, 수전지휘 18, 무력 67, 지력 65, 정치력 52, 매력 73 매력이 높다는 장점은 있지만 지휘력이 낮아 일제를 못 쓰고 무력도 장군이 되기엔 기준 미달이라 무관으로서의 입지가 없는데 지력과 매력에 비해 정치력도 낮게 평가받아 문관으로도 쓸모가 적다. 그래도 무관보다는 문관이 굴리기 요긴한 삼국지 3의 특성상 문관으로 굴리는게 더 합리적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2/지력 72/정치력 68. 분전, 연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병법으로는 공성계 병법인 정란과 지식계 병법인 조영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65/지력 71/정치력 64/매력 70에 특기는 보수, 치안, 화시, 진정, 저지, 지리로 총 6개. 특기 자체는 좋은 게 별로 없는데 그나마 가장 높은 능력치인 통솔력을 살릴 수 있는 치안 특기가 있다. 200년, 207년에는 유표군 소속이라 유표군으로 플레이 시엔 쏠쏠한 캐릭터. 물론 감녕, 위연, 황충의 S급, A급이라 할 만한 문빙엔 밀리지만 채모에는 크게 떨어지지 않는 비슷한 수준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66/지력 73/정치력 62/매력 70. 특기로 [[불굴#s-3]]을 가지고 있어 무력만 높여주면 꽤 괜찮은 장수다. [[삼국지 12]]에서의 전법은 전군원사. 일러스트는 왼손에 창을 들고 앉아 있는데 연의에서 그의 몇 없는 비중인 가맹관에서 적의 모습을 관찰하는 상황으로 추측된다. 정사라면 수백의 병사로 유장의 군대를 상대로 방어하면서 적의 빈틈을 확인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6/지력 73/정치력 62. 특기는 농업 4, 순찰 2.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궁병속공진. 어째서 곽준이 특기와 전수특기에 농업이 있는지는 미지수로, 연의나 정사나 그가 수비에 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은 수의 병력으로 반격을 하여 적장을 격퇴하는 활약을 보여줬으니 차라리 연전과 견수로 했어야 고증에 맞는다. 특이하게 젊은 장수임에도 불구하고 노장 음성이 들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 무력 65, 지력 72, 정치력 63, 매력 70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3,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담력, 견뢰,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투석, 전법은 철벽, 고무, 투석, 친애무장은 [[맹달]], 혐오무장은 없다. === [[영걸전 시리즈]] ===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평범한 맹수부대 장수로 성도 전투에서 등장하고 등용할 수 있다. 원래라면 유표군에서 시작하는 장수지만 유장군의 장수로 나와 있다. 정사에서 곽준은 수성의 달인이었는데 정작 병과인 맹수부대는 종잇장 수비력이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방어왕곽준.png|width=600]]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도 출연한다. === [[삼국전투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곽준(삼국전투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곽준,version=49)]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촉한의 인물]][[분류:177년 출생]][[분류:216년 사망]][[분류:후베이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