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동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 [br] '''{{{#ffffff 2007, 2010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 [br] '''{{{#ffffff 2009 KBO 퓨처스 남부리그 최우수 평균 자책점}}}'''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8번}}}''' || || [[김영복]][br](2003~2006) || {{{+1 →}}} || '''{{{#074ca1 곽동훈[br](2007~2009)}}}''' || {{{+1 →}}} || [[채상병]][br](2010~2014)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7번}}}''' || || [[김문수(1979)|김문수]][br](2007~2009) || {{{+1 →}}} || '''{{{#074ca1 곽동훈[br](2010~2011)}}}''' || {{{+1 →}}} || [[이정식]][br](201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20/2008/10/11/200810110171.jpg|width=100%]]}}} || ||<-2> '''{{{+2 곽동훈}}}[br]郭東勳 | Dong-Hoon Kwak''' || ||<|2> '''출생''' ||[[1981년]] [[7월 13일]] ([age(1981-07-13)]세) || ||[[부산직할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감천초 - [[부산대신중학교|대신중]] - [[부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공고]] - [[세한대학교 야구부|대불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s-3.2|2005년 2차 5라운드]] (전체 36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05~2011) || || '''프런트''' ||[[삼성 라이온즈]] 전력분석원 (2012~201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인]]. == 선수 경력 == [[세한대학교|대불대]] 졸업을 앞두고 [[2004년]]에 있었던 병역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입단 계약을 하자마자 '''현역 포병'''으로 입대하게 되었다. 계약금이 깎인 것은 덤. 그래서 제대 후인 [[2007년]]부터 실질적인 선수 활동을 하게 되었다. 군 제대 후 시즌인 2007 시즌 2군 남부리그에서 '''9승'''을 올려 남부리그 '''다승왕'''을 수상했으나 1군에는 오르지 못했다. 2010 시즌 2군 남부리그에서는 '''11승'''을 올려 또 남부리그 '''다승왕'''을 수상했다. 2011 시즌을 앞두고 전지훈련이나 시범경기에서 계투로서 나름대로 좋은 모습을 보여 개막전 엔트리에도 포함되었지만 2경기에 등판해 3실점, 평균자책 20.25를 기록하고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로는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2군에서는 선발, 계투, 마무리를 오가는 전천후로서 활약했지만 나이[* [[배영수]], [[윤성환]]과 동갑이다. [[윤성환]]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창이다.]나 여태까지 1군 성적을 보면 앞으로 1군에서 활약은 [[우린 안될꺼야 아마|어려울 듯….]] 결국 2011 시즌 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며 방출되었다. 일부 팬들은 이 선수의 존재 가치가 2군에서 키워서 1군에 올리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2군의 원활한 투수 운용을 위한 2군 전문 특급 이닝이터라고 주장했다. 2군에서 잘 던지는 투수는 1군으로 차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런 투수의 공백으로 인해 생기는 로테이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존재라는 것. 보류명단 제외 후 삼성에서 기록원 및 전력분석원으로 일하다가 2013년 말 [[오승환]]의 에이전트사인 스포츠인텔리전스에 입사했고, [[오승환]]이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하면서 전담 매니저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npb&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393562|맡게 되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5 ||<|7> [[삼성 라이온즈|삼성]] ||<-13><|2> 군복무([[현역병|현역]]) || || 2006 || || 2007 ||<-13> 1군 기록 없음 || || 2008 || 7 || 11 || 0 || 0 || 0 || 0 || 4.91 || 9 || 1 || 6 || 0 || 3 || 1.36 || || 2009 || 2 || 5 || 0 || 0 || 0 || 0 || 16.20 || 10 || 2 || 5 || 0 || 0 || 3.00 || || 2010 ||<-13> 1군 기록 없음 || || 2011 || 2 || 1⅓ || 0 || 0 || 0 || 0 || 20.25 || 3 || 1 || 0 || 0 || 0 || 2.25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11 || 17⅓ || 0 || 0 || 0 || 0 || 9.35 || 22 || 4 || 11 || 0 || 3 || 1.9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곽동훈, version=27)]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분류:2011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부산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대불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