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 [목차] == 개요 == >{{{+1 '''과학 시설'''}}}, 科學 施設, Science Facility, 사이언스 퍼실러티 >---- >[[테란]]의 연구 인력들이 연방을 위한 새로운 무기와 방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공밀레|강제로]]''' 일하는 곳이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발달한 [[프로토스]]의 과학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 곳에서 [[외계인]]들의 발달된 기술 문명을 조금이라도 따라잡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중이다.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테란]] 연구 건물이다.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1]]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테란)] {{{#!wiki style="float:left; text-align:center; margin-right:20px" [[파일:SCR_309_Science_Facility.gif]] [br] 작동 시 [*평상_시 [[파일:SCR_309_Science_Facility.png]] ]}}}{{{#!wiki style="float:left" || 건설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100,vespene=150,time=60)] || || 요구사항 || [[우주공항|스타포트]] || 단축키 || I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21]] 85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공중, 건물, 기계 || 크기 || 대형 || || 면적 || 4 × 3 || 시야 || 10 ||}}}[clearfix] ||
<:>'''착륙 [br] 시''' ||{{{+1 연구는 아래 연구 목록 참조}}} ---- {{{#!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117_Cobert_Ops.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비밀 작전실]] 건설''' (C) [br] Build Covert Ops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 mineral=50, vespene=50, time=4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118_Physics_Lab.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물리 연구실]] 건설''' (P) [br] Build Physics Lab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 mineral=50, vespene=50, time=4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82_Liftoff.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이륙''' (L) [br] Liftoff}}}}}}}}} || ||<:>'''이륙 [br] 시''' ||{{{#!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28_Move.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이동''' (M) [br] Mov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29_Stop.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정지''' (S) [br] Stop}}}}}}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117_Cobert_Ops.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비밀 작전실 건설''' (C) [br] Build Covert Ops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 mineral=50, vespene=50, time=4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118_Physics_Lab.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물리 연구실 건설''' (P) [br] Build Physics Lab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 mineral=50, vespene=50, time=4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83_Land.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착륙''' (L) [br] Land}}}}}}}}}|| [[파일:attachment/과학 시설/Science facility.png|align=right]] [[우주공항|스타포트]]에서 [[과학선|사이언스 베슬]]을 생산하고 관련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물이다. 어쩌면 사이언스 베슬을 뽑게 해 주는 용도 이상으로 중요하다고도 볼 수 있는 기능으로 테란의 모든 유닛 공격력·방어력 업그레이드 2단계, 3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지원한다. [[공학 연구소|엔지니어링 베이]]에서 업그레이드를 하는 바이오닉의 경우는 사이언스 베슬이 필수이기 때문에 별 상관 없지만 [[업테란]]을 하는데 사이언스 퍼실리티는 커녕 스타포트도 없어서 [[무기고(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머리]]가 멈추는 불상사가 종종 발생하니 사이언스 퍼실리티를 제때 제때 올려줘야 업그레이드에 차질이 생기지 않는다. 특히 테테전은 공 2업이 공방 1업보다 훨씬 우월한데도 많은 유저들이 공방 1업을 하는 이유 역시 과학 시설의 부재라고 볼 수도 있다. 부속 건물에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리 연구실|피직스 랩]]과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고스트]]를 생산하기 위한 [[비밀 작전실|커버트 옵스]] 중 한 가지를 붙일 수 있다. 물리 연구실에서는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 비밀 작전실에서는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고스트]]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고스트가 저그전에, 배틀크루저가 토스전에 무력한 것을 보면 최종 테크 유닛을 종족에 맞춰 선택해서 뽑으라는 설계인 듯하다. 고스트나 배틀크루저가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정찰&시야밝힘용으로 공중에 종종 뜨기도 한다. 이레디에이트나 EMP 업그레이드를 하고 나면 땅에 박아둘 이유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스가 150이나 들어가면서 내구력은 850으로 배럭보다도 약하고, 사이언스 베슬이 3종족전 모두 잘 쓰이기 때문에 너무 전방에 띄워놓았다가 터지면 곤란하다. 건설 단축키가 I로 왼손으로 바로 찾아 누르기 힘든 위치라서 바꾸는 게 추천된다. 스2에서 우주공항 다음이라는 비슷한 테크의 건물인 [[융합로]]가 C인데, 위치도 적절하고 통일시켜두면 떠올리기 쉬운 글자라 C로 두는 것이 좋다. 그리드 배치를 쓴다면 문제없다. 클릭시 엔지니어링 베이와 같이 물을 끓이는 소리가 난다. 아마도 연구실이라서 그걸 반영한거 같다. 위의 지붕 모양이 농구공을 닮아서 농구공으로 불리기도 한다. 퍼실리티라는 단어가 어렵다보니 과학 연구소라고 많이 불렀다.[* 이는 로보틱스 퍼실리티도 마찬가지로 로보틱스 시설이라고 많이 부른다. 물론 이쪽은 아예 '로봇공학 시설'로 번역된 터라 지금은 '로공'으로 더 줄었다.]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는 하나만 지어도 되는 이 건물을 네개나 지어 그 당시 교육과정 기준으로 [[과탐]]의 각 구성과목이었던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과 연결시켜 '물화생지 테란', '과학테란'이란 별명이 붙었다. 1.05 패치: 건설 비용 150/200 → 100/150 로 버프되어 가격 부담감이 없어졌다. 1.08 패치: 건설 시간 80 → 60, 방사선 연구 비용 150/150 → 200/200 [[이레디에이트]] 연구비용은 증가했지만 건설 시간이 꽤 크게 줄어들어서 빠르게 [[사이언스 베슬]]을 갈 수 있게 됐다. === 연구 목록 === 사용, 적용 유닛은 모두 [[과학선]]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41_EMP_Shockwave.png|width=80]]}}} ||'''EMP 충격파 연구''' Research EMP Shockwave (E)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200,vespene=200,time=120)]  /  [[파일:SC_Energy.png|height=21]] 100 EMP 발전기를 장착한 과학선은 사정거리는 짧지만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켜 가까운 적 유닛의 보호막과 전자 장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42_Irradiate.png|width=80]]}}} ||'''방사선 연구''' Research Irradiate (I)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200,vespene=200,time=80)]  /  [[파일:SC_Energy.png|height=21]] 75 핵 폐기물 처리법을 연구하는 도중 우연히 발견된 방사능장 발생 기술은 최근 들어 과학선의 주요 연구 분야가 되었다. 오염의 효과는 정해진 목표를 주변으로 한정된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48_Titan_Reactor.png|width=80]]}}} ||'''[[티탄|타이탄]] 반응로 연구''' Research Titan Reactor (T)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150,vespene=150,time=166)] 탐험용 과학선에 탑재되면, 이 거대한 핵반응로는 과학선의 에너지 보유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 * '''[[EMP]] 충격파 연구''' 과학선이 [[EMP]] 충격파를 쓸 수 있게 된다. * '''[[이레디에이트#s-2|방사선]] 연구''' 과학선이 [[이레디에이트|방사선]]을 쓸 수 있게 된다. * '''타이탄 반응로 연구''' 과학선의 최대 에너지가 200 → 250으로 증가하고, 초기 에너지가 50 → 62.5로 증가한다. 과학선이 마법 유닛 중에선 기동성이 좋은 편이라 스킬을 쓰기 수월하다. 에너지가 가득 찬 상태에서 방사선을 연속으로 3회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과학선은 원체 에너지가 남아돌 만큼 방치하지 않고 수시로 출격시키는 데다 메카닉 체제든 SK 체제든 난전 상황으로 가면 베슬 자체가 계속 살려두고 오래 쓸 수 없는 유닛인지라[* 플레이그라도 한 방 맞으면 꼼짝없이 뮤커지의 밥으로 전락한다. 리스토레이션이나 수리로 무마시킬 수는 있지만 유닛 하나라도 더 뽑아야 하는 상황에서 손이 가기 어렵다.]잘 연구하진 않는다. 그래도 저그전에서는 연구해주면 갓 뽑은 과학선이 전장에 도착할 때쯤 바로 방사선을 날릴 수 있게되기 때문에 도움이 되므로 가스가 널널한 SK테란 체제에서 종종 연구된다. 각 기술의 성능은 [[과학선]], [[이레디에이트|방사선]] 항목으로.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테란)]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terran-sciencefacility.png]]}}}||{{{+1 '''과학 시설'''}}} ,,Science Facility,, 과학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진 시설입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SC2Pic_1WOTL_science_facility.png|width=30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terran=, m=400, t=100)] || || 체력 || 1000 || 방어력 || 1 || || 크기 || 5 x 5 || 시야 || 6 || || 특성 || 구조물 || ||<-4>{{{#!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upgrade-terran-buildingarmor.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테란 건물 장갑''' [br] ,,Terran Building Plating,,}}}}}}}}}||}}} [[스타크래프트 2]]에는 섬멸전(래더)에 등장하지 않는다. 해당 테크인 우주공항 다음의 테크 건물은 [[융합로]]로 기능이 옮겨갔으며 이 건물을 지어서 가능해지는 3/3업 해금 기능은 무기고로 넘어갔다. 모델링은 남아 있어서 캠페인이나 협동전에 등장한다. 군단의 심장에서는 혼종 버전이라는 모델링도 추가되었지만 별반 차이는 없다. 블리자드 공식유즈맵인 [[사지의 사투]]에서 생체 자원을 이용해 업그레이드를 하는 건물로 등장한다. 포트레이트는 [[이곤 스텟먼]] === 캠페인 === [[자유의 날개 캠페인]]중 "언론의 힘"에서 오른쪽 구석에 하나가 있다. ||
{{{+1 '''비밀 문서'''}}} ,,Science Facility,, 자치령 기밀문서입니다. 유닛을 가까이 가져가면 비밀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 공격해서 파괴하면 '비밀 문서' 아이템이 나오는데 먹으면 임무 완료 후 [[카스타나]]의 비밀 임무를 할 수 있게 된다. [[군단의 심장 캠페인]]에서는 차행성 임무 노병에서 파괴해야할 보너스 목표 건물로 2개가 등장하며 스카이거 임무 감염에서는 3개가 등장하는데 그 옆에 점막종양을 심어서 감염시키는게 그 임무의 보너스 목표이며 파괴는 불가능하다. 울트라리스크를 토라스크로 진화하는 임무에서는 무기시설이란 이름으로 파괴해야할 건물로 등장한다.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는 전우 임무의 보너스 목표에서 뫼비우스 특전대에게 공격받는 자치령의 연구 시설로 등장한다. 해당 건물을 적의 공격으로 구해주면 의무관, 과학선, 의료선을 전선에 지원해주고 해당 시설의 프로토스 자료를 전부 댈람에게 양도한다는 발레리안의 요청으로 인해 보너스로 태양석을 준다. [[노바 비밀 작전 캠페인]]의 밤의 공포 임무와 검은 하늘 임무에서 보너스 목표와 관련된 과학 시설이 있지만 건물의 형태는 전혀 다르다. === 협동전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공허의 출격|공허의 출격]]에서 아나운서가 소속된 자치령 연구팀의 기지 건물로 2개가 등장한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안갯속 표류기|안개속 표류기]]에서 "스텟먼의 시설"이란 이름의 중립 건물로 하나 등장한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죽음의 요람|죽음의 요람]]에서 "스톤의 수송 시설"이란 이름으로 각 플레이어당 하나씩 2개가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