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부산김해경전철의 전철역, rd1=공항역(부산))] {{{+1 空港驛 / Airport Station}}} ||<-3> {{{+2 '''공항역'''}}} || ||<-3>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30]] || || [[녹동역|{{{#!html
녹동 방면}}}]][[김대중컨벤션센터역|{{{-2 김대중컨벤션센터}}}]][br]{{{#!html
← 하저터널 통과 }}} ← 2.9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15)
}}}]] || [[평동역|{{{#!html
평동 방면}}}]][[송정공원역|송정공원]][br]1.1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공항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Airport || || [[한자]] ||<-2> 空港 || || [[간체자]] ||<-2> 机场 || || [[가나(문자)|가나]] ||<-2> [ruby(空港, ruby=くうこう)] || ||<-3> '''주소''' || ||<-3>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416-99 (신촌동) || ||<-3> '''운영 기관'''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광주교통공사|[[파일:광주교통공사 좌우CI.svg|height=20&theme=light]][[파일:광주교통공사 좌우CI_white.svg|height=20&theme=dark]]]] || ||<-3> '''개업일'''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2008년 4월 1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공항역(광주) 내부.jpg|width=500]] 공항역 대합실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15번.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416-99 (신촌동)[* 신촌동 682-29번지] 소재. == 역 정보 == [[상대식 승강장]]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역에서 극락교 하저터널로 연결된다. === 승강장 === [[파일:external/tv02.search.naver.net/8.jpg|width=560]] 승강장 [[파일:attachment/공항역(광주)/gwangjuairportst.jpg|width=560]] 역 안내도 ||<-4> [[김대중컨벤션센터역|김대중컨벤션센터]]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송정공원역|송정공원]] || || {{{#ffffff 상}}} ||<|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상무]]·[[농성역|농성]]·[[금남로4가역|금남로4가]]·[[녹동역|녹동]] 방면|| || {{{#ffffff 하}}} ||[[송정공원역|송정공원]]·[[광주송정역]]·[[도산역|도산]]·[[평동역|평동]] 방면|| 이 역과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사이의 역간거리는 2.9km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구간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먼 구간이다. 단, 역간 소요시간이 가장 긴 구간은 아니다. 이 역과 송정공원역 사이의 역간거리는 1.1km인데, 가는 시간,정차시간 다 포함해서 단 1분 밖에 걸리지 않는다. 역간 거리가 1.1km인 구간을 정차시간 포함 1분 만에 간다는 건 전국 어떤 도시철도에서도 절대로 볼 수 없는 속도이다. 여기서도 1분은 당연히 페이크고 실제로는 정차시간 포함해서 2분 가까이 걸린다. == 역 주변 정보 == [[광주공항]]이 있어서 공항역이라 붙여졌으며, 역 주변은 [[광주공항]]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시설이나 인프라가 없다. 특히 [[광주공항]]과 함께 [[공군]] [[제1전투비행단]]이 주둔해 있어 민항기 뿐만 아니라 전투기와 군용 수송기도 자주 이착륙하기 때문에 역 인근이 매우 시끄럽다. 또한 항공기 운항 및 군사보안 문제로 인해 각종 시설과 주거지역 건설에 제한이 많고 소음이 심해 시민들이 꺼리는 지역이다. [[광주공항]]으로 가려면 2번 출구로 나가서[* 공항 이용객들 편의를 위해 에스컬레이터도 설치되어 있다.] 도보로 5~7분 정도 이동하면 된다. [[광주공항]] 이용 편의를 위해 2번 출구에서 공항 주차장 입구까지 햇빛 가리개가 설치되어 있다. 처음 가본 사람은 역에서 공항을 찾아가나, 공항에서 역을 찾아가기 어려울 수 있다. 역에 광주공항 방향은 2번 출구로 안내되어 있다. 2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광주공항일 줄 알겠지만, 공항은 보이지 않고 가로수길과 논밭, 비닐하우스만 보이며 여기서부터 광주공항을 안내하는 문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어디로 가야 할지 헷갈린다. 2번 출구로 나오면 당황하지 말고 출구 바로 앞 햇빛 가리개가 설치된 인도를 따라 약 3분 정도 가면 광주공항 주차장이 나오며 인도를 따라 계속 가면 광주공항이 나온다. 반대로 [[광주공항]]에서 역으로 가려면 공항 밖으로 나와 오른쪽 인도를 따라 공항입구 쪽으로 나가면 햇빛 가리개가 설치된 인도가 나오는데, 그 인도로 계속 가면 지하철 역이 나오며, 2번 출구와 연결된다. 처음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미리 스마트폰 앱이나 지도를 통해 역 위치를 확인하거나 역무실 또는 공항 1층 안내데스크에 문의하도록 하자.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주공항/공항 이전)] 2021년 [[광주공항]]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되며, 현 광주공항 부지는 [[솔마루시티]]라는 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이다. 신도시 이름으로 솔마루역이나 동 이름인 신촌역이나 근처 동송정신호장의 이름을 따 와 동송정역으로 역명이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승강장 규모가 이용객과 어울리지 않게 무척이나 크다는 점인데 승강장의 면적이나 규모는 보통 예상 이용객 수나, 역의 상징성 등으로 건설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광주송정역(도시철도)|광주송정역]]보다 승강장이 훨씬 큰 공항역은 상당한 괴리를 불러일으킨다. 노선계획 당시 광주국제공항이 [[무안국제공항]]과 [[호남고속철도]] 때문에 지금의 수준으로 몰락할 줄 어느 누가 예상이나 했겠냐만은.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8년[br]~[br]2015년 || 자료없음 || || || 2016년 || 1,929명 || || || 2017년 || 1,900명 || || || 2018년 || 1,959명 || || || 2019년 || {{{#009088 2,147명}}} || || || 2020년 || 1,697명 || || || 2021년 || 1,983명 || || || 2022년 || 2,02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26&q_fdate=2020|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 * 공항역 바로 북쪽에 위치한 [[경전선]] 너머로 극소수의 저층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이 있지만, 철길 너머이기 때문에 접근이 불편한 편이고 거주 인구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 외엔 주유소, 편의점, 장례식장 정도가 있으나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며, 역 이용객 9할 이상은 공항 이용객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고속철도 개통한 후 광주공항 이용객이 눈에 띄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항역 이용객은 의외로 낙폭이 크지 않다. 예전부터 공항 이용객 중 지하철을 이용해 공항을 오가는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광주 1호선의 한계 때문에 애초에 이용률이 높지 않아 줄어도 티가 나지 않는다. * 해마다 역 이용객이 조금씩 줄고 있는데, 공항역이 개통된 2008년 4월 [[무안국제공항]]도 비슷한 시기에 개항함에 따라 [[광주공항]]에 있는 국제선 항공편이 [[무안국제공항]]으로 모두 옮겨갔고, 2013년 [[양양국제공항]]을 운항하는 코리아익스프레스가 이용객 저조로 단항, 2016년 3월 [[대한항공]]이 [[김포국제공항]] 노선을 폐지[* 2015년 4월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어 KTX가 최대 1시간 30분대로 빨라짐에 따라 여객기를 이용하여 서울을 오가는 승객이 급감하였다. [[광주공항]]과 [[광주송정역]]은 차량으로 10분 이내 거리, 지하철로는 두 정거장 거리에 있고 SRT도 개통한 상황이라 소요시간, 접근성(광주시내 접근성은 비슷하지만 서울에서의 접근성은 서울역, 용산역과 수서역이 김포공항에 비해 매우 유리) 측면에서 항공편이 고속철도에 비해 불리해졌다. 그나마 아시아나항공의 요금 인하와 진에어의 진출로 항공 요금이 낮아져서 가격 경쟁력은 생겼으나, 그만큼 항공사 입장에서 얻을 수 있는 마진은 줄었다.], 하는 등 노선 감축으로 인해 [[광주공항]] 이용객이 크게 줄었다. 그나마 [[티웨이항공]]이 제주와 양양에 취항하고 2017년 3월 [[제주항공]]도 제주에 취항을 시작해 광주 - 제주 편성은 종전보다 조금 늘었다. [[아시아나항공]]과 [[진에어]]는 KTX, SRT보다 저렴하게 [[김포국제공항]]을 이어주고는 있으나, 현재 하루 네 편 뿐이고 사전예약을 통해 평일에만 선착순 특가 혜택이 있으므로 현재 [[광주공항]]을 이용하는 사람은 대부분 제주를 오가는 승객이다. 그 여파로 공항역 이용 승객도 덩달아 줄고 있으며, 비행기가 끊긴 저녁시간 대엔 단 한 명도 타고 내리는 승객이 없을 때도 있어 유령역으로 변모한다. 역 인근에 [[광주공항]] 외에는 특별한 시설이나 인프라가 없어 이용객이 없는 원인도 있지만, 공항 이용객은 공항 바로 앞까지 오가는 --공항버스 1000번--[* 버스 이용 저조 및 누적 적자가 커 2019년 1월부터 6개월간 운행 중단한다고 공지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운행되지 않고 있다. 공항버스 노선에 있던 정류장 노선 안내판이 모두 제거된 것으로 보아 정황상 노선이 폐지된 듯하다.] 택시, 자가용을 이용하는 게 더 편리한 편이어서 공항에서 5분 정도 떨어져 있는 역까지 걸어서 이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김포공항 국내선/국제선 청사에서 [[김포공항역]]까지의 거리보다 더 가깝지만[* 김포공항에서 김포공항역까지 약 800m, 광주공항에서 공항역까지 약 400m로 절반도 안 되는 거리다. 그러나 김포공항역은 공항 내부에서 지하철로 바로 연결되어 있고, 무빙워크가 있어서 체감상 800m로 느껴지진 않는다.], 김포공항역은 공항 내에서 지하철 출구가 바로 연결되어 있고 개찰구 부근까지 무빙워크가 설치돼 있는 반면, 광주공항은 지하철 출구 위치가 공항 밖으로 나가 5분 거리에 있고 지상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에 거부감을 일으킨다. 거기에 공항에 지하철역 안내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거리는 가까워도 이용하기엔 불편하다. * 광주공항이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되고 공항 부지에 신도시가 들어선다면 역 이용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완지구보다 규모가 더 큰 신도시가 들어설 것으로 보이나 신도시 건설 계획과 역 접근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 사건 사고 == [[2023년]] [[5월 5일]] 2023년 남부권 폭우 사태로 인해 공항역 대합실이 침수되어 오후 4시 40분부터 5시 53분까지 1시간 10분가량 열차가 무정차 통과 운행했다. 공사는 역사 외부의 승강기 신설 현장에서 약 200톤의 빗물이 유입돼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으며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를 진행 중이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68727|#1]] [[https://v.daum.net/v/20230505191642307|#2]] [[https://v.daum.net/v/20230505190207063|#3]]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해 [[평동역]]이 침수된 적 있는데 이 일이 데자뷔처럼 다시 일어난 것. == 연계 교통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공항역(5202)'''}}}}}} {{{#!wiki style="text-align:left" 송정파출소(북) 방면, 6번 출구 앞 }}} || ||<-2>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급행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좌석02|{{{#ffffff 좌석02(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본관)}}}]]}}}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19|{{{#ffffff 송정19(도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일곡38|{{{#ffffff 일곡38(송산유원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지원45|{{{#ffffff 지원45(도산동)}}}]]}}}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첨단20|{{{#ffffff 첨단20(첨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상무62|{{{#ffffff 상무62(상무지구종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암73|{{{#ffffff 송암73(도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진월75|{{{#ffffff 진월75(도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99|{{{#ffffff 송정99(용봉마을)}}}]]}}} || ||<-2> '''[[전라남도 시내버스|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 || || [[나주시 시내버스|{{{#ffffff 나주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349a4; font-size: .95em" [[나주 버스 160|{{{#ffffff 160(영산포터미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b19; font-size: .95em" [[나주 버스 600번대|{{{#ffffff 600번대(영산포터미널)}}}]]}}} || || [[함평교통|{{{#ffffff 함평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aa; font-size: .95em" [[함평 버스 500|{{{#ffffff 500(함평터미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공항역(5203)'''}}}}}} {{{#!wiki style="text-align:left" 장암마을 방면, 4번 출구 앞 }}} || ||<-2>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급행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좌석02|{{{#ffffff 좌석02(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19|{{{#ffffff 송정19(장등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일곡38|{{{#ffffff 일곡38(살레시오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지원45|{{{#ffffff 지원45(월남동)}}}]]}}}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첨단20|{{{#ffffff 첨단20(월드컵경기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상무62|{{{#ffffff 상무62(상무지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암73|{{{#ffffff 송암73(서광주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진월75|{{{#ffffff 진월75(송암공단)}}}]]}}}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97|{{{#ffffff 송정97(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99|{{{#ffffff 송정99(양동시장역(천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광주 버스 송정100|{{{#ffffff 송정100(도산동)}}}]]}}} || ||<-2> '''[[전라남도 시내버스|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 || || [[나주시 시내버스|{{{#ffffff 나주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349a4; font-size: .95em" [[나주 버스 160|{{{#ffffff 160(문흥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b19; font-size: .95em" [[나주 버스 600번대|{{{#ffffff 600번대(공항역)}}}]]}}} || || [[함평교통|{{{#ffffff 함평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aa; font-size: .95em" [[함평 버스 500|{{{#ffffff 500(광천터미널)}}}]]}}}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광주 도시철도 1호선]][[분류:광주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