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공주시)] [목차] == 삼국시대 == [[원삼국시대]]에 [[삼한]] 중 [[마한]]의 독자적인 거수국이 있었는지는 문헌상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 공주 수촌리에 기원전 4~3세기부터, 고조선이 연나라에게 크게 패배하여 요동과 청천강 이서 일대를 상실할 때 대규모로 발생한 고조선 난민 중 한 부류가 자리잡은 것으로 고고학적으로는 확인된다. 이후 주변 마한 세력과 교류하면서 마한의 일원으로 자리잡은 것인데, 지금이야 백제의 상징 중 하나로 자리매김되었지만 적어도 개로왕 시기 이전까지의 [[한성백제]]에겐 목지국과 마찬가지로 어떻게든 직접 지배 지역으로 편제해야 할 다른 마한 거수국들 중 하나에 불과했다.[* 한성백제는 고구려계 유이민 세력과 경기충청전라 서해안 일대의 토돈분구묘제 집단의 연합으로 탄생했기에, 엄연히 마한 주류와는 좀 다른 세력이었다. 개로왕 시대에는 마한 주류 집단과 적극적 융합이 진행된 그 시절에도 200여 년이 넘은 시점이었지만 건국 초기에는 그랬다.] 그러나 이 일대는 [[삼국시대]]에 들어서 [[백제]] [[문주왕]] 때 처음 백제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인 [[웅진성]]이 되면서 백제의 핵심지로 떠오른다. 웅진성은 원래 [[대성팔족]] 중 백씨(苩氏)의 근거지로 추정되며 백씨는 특히 [[동성왕]]대에 적극 등용되었으나 이후 위사좌평 [[백가]]의 난으로 몰락하게 된다. 웅진성은 [[성왕(백제)|성왕]]에 의해 천도할 때까지 5대 63년(475~538)간 백제의 중심지였으며, 이후로도 성왕대 개편된 지방구획인 5방 중 북방의 중심지가 바로 웅진성이었다. [[의자왕]]이 660년 [[백제멸망전]]에서 사비성을 떠나 웅진성에서 마지막으로 항거했으나 북방령 겸 웅진성주였던 [[예식진]]의 배신으로 사로잡혔고[* 백씨가 몰락한 뒤 [[무령왕]]의 근왕세력으로 보이는 예씨가 웅진성 일대를 관리하게 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후 당나라는 사비성 대신 웅진성을 백제 지역의 중심지로 파악해 이곳을 중심으로 [[웅진도독부]]를 설치했다.[* 어차피 도독부를 설치한 거 자체가 군정을 실시했다는 것인데 사비성은 물산은 풍족하나 평지 지형이라 군사적으로는 영 좋지 못했던 반면 웅진성은 뛰어난 요새로 중요한 군사거점이었다. 당측도 백제의 수도가 어디였는지 몰랐을 리는 없고 [[소정방]]이 이끌던 당군의 약탈과 학살로 인해 백제 유민들의 반감이 극에 달했던 때인데 군사요새가 아닌 곳에 거점을 두긴 어려웠을 것이다.] == 신라 후기 ~ [[후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신라]] [[문무왕]]이 [[나당전쟁]]에서 당군을 축출한 이후 [[신문왕]] 때 [[9주 5소경]]을 정비하며 웅천주(熊川州)를 설치, [[경덕왕]] 때 웅주(熊州)로 개칭했다. 웅주는 13개 군 29개 현, 5소경 중 서원경([[청주시]])을 관할하였다. 또한 청음현(淸音縣, 신풍면), 이산현(尼山縣, [[논산시]] 노성면)의 2개 현을 직속 영현으로 두었다. 이후 [[후삼국시대]]에는 900년대 초반에 [[홍기(후삼국시대)]]라는 [[호족(한국사)]]이 항복하며 궁예의 '고려'에 속하게 되는데, 궁예는 청주 일대를 비롯한 백제계 유민의 정서를 민감하게 신경썼고 오히려 패서 호족을 좀 경계했던 편이기에 궁예의 마진-태봉 국호 변경을 통한 고구려 정체성 초월은 공주 일대 호족에겐 나쁠 것 없는 변화였다. 그러나 918년도에 궁예가 쓰러지면서 왕건이 국호를 [[고려]]로 되돌리며 고구려 계승성을 분명히 하자 이때부터는 얘기가 좀 달라지게 된다. 왕건도 백제계 호족들을 포용하려고 애쓰지 않은 건 아니었지만 패서 계열 호족들은 궁예에게 받은 탄압이 워낙 막심했기에 궁예에게 아무래도 좀 더 가까웠던 백제계 호족들에게 상당히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고, 이로 인해 숙청이 끊이지 않게 되자 끝내 918년 말에는 견훤의 [[후백제]]로 귀부하게 되어 오랜만에 다시 백제와 인연을 맺게 된다. 이후 934년 [[운주성 전투]]의 패배로 견훤의 후백제 패망이 돌이킬 길이 없이 가시권에 들어서자 왕건의 고려에게로 다시 귀부했다. == 고려시대 == [[고려시대]]에는 동남쪽 별개의 군현이었던 [[대전광역시]] 동북부의 비풍군(比豊郡)[*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우술군(雨述郡)이었으며 경덕왕의 한화정책으로 비풍군이 되었다. 둘 다 [[순우리말]]로 '비술/비수리' 정도로 발음되었을 동일한 지명을 한자로 다르게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이 회덕현(懷德縣)으로 격하돼 공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으며 여타 대전 일대의 현들인 유성현(儒城縣), 덕진현(德津縣), 진잠현(鎭岑縣) 또한 공주의 속현이 된다. [[성종(고려)]]대에 설치된 [[10도]] 체제에서는 [[하남도]]에 속했으며 12목 중 하나인 공주목으로 격상되었으나 이후 [[현종(고려)]]대 개편된 [[5도 양계]]가 적용되며 [[양광도]]에 속하게 되었고 그냥 공주로 다시 격하된다. 속현이었던 회덕현과 진잠현은 [[명종(고려)]]대에 주현으로 승격되며 공주에서 떨어져나가게 된다. 또한 [[망이·망소이의 난]]이 일어난 걸로 유명한 명학소(鳴鶴所)도 공주의 관할 하에 있었다. [[충혜왕]] 2년에는 공주목으로 다시 승격되었다. == 조선시대 이후 == [[조선시대]]의 공주목은 충청도 전체를 관할하는 충청[[감영]]과 [[관찰사]]가 주재하던 곳으로 명실상부한 충청도의 중심도시였다. [[충청도]]는 이름이 자주 바뀌었다 보니 [[청주시|청주]], [[홍성군|홍주]], [[충주시|충주]]와 이름을 같이 쓴 '공충도', '공홍도', '공청도' / '충공도', '청공도' 등으로 쓰인 적도 있다('홍공도'와 '청충도'는 쓰인 적이 없다). 다 잠깐씩만 썼지만 '공홍도', '공청도', '공충도'는 한 30년씩 썼다. 다 공 자가 들어가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감영 소재지답게 충청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1906년 대대적으로 [[월경지]], [[땅거스러미]]를 정리할 때 구 회덕현 일대는 [[회덕동(대전)|회덕군]]으로 넘어갔으나 [[유성구|유성]] 지역은 계속 공주에 잔류했다. == 일제강점기 == 남은 유성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옆의 [[진잠동|진잠군]], 회덕군이 통합되어 생긴 대전군에 편입되어 현재의 대전광역시 시역을 형성하게 된다.([[대전광역시/역사]] 문서로.) 같은 해 명탄면, 양아리면 등의 지역이 [[연기군]]에 흡수되었고, [[금남면(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 [[충청남도청]]의 대전 이전이 결정된 직후 공주면이 공주읍으로 승격되었다. == 대한민국의 == 1986년에는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1월 [[행정구역 개편]] 때 [[공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같은 해 3월 유구면이 유구읍으로 승격되었다. 2012년 7월 1일 [[장군면|장기면]] 일부, 의당면 일부, 반포면 일부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주시, version=1469)] [[분류:향토사]]